호소 및 저수지 연안대의 생태계 파괴 및 복원에 관한 고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생태계란

3. 조사 방법
1) 조사지점
2) 조사방법
3) 군집분석
(1) 우점도(Dominance index)
(2) 다양도(Diversity index)
(3) 균등도(Evenness index)
(4) 종풍부도(Richness index)

4. 결과에 관한 고찰
1) 예비 조사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2) 어류상
2) 본 조사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 조사시기동안 지점 1에서 우점과 아우점을 차지한 것은 피리미와 밀어로 확인되었으며, 지점 2에서도 역시 우점종은 피라미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살치로 확인되었다.
<표24> 조사수역에서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본 조사 - 1차 시기)
항목
지점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지수
1
Zacco platypus
Rhinogobius brunneus
0.82
2
Zacco platypus
Carassius auratus
0.69
<표25> 조사수역에서 확인된 어류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본 조사 - 2차 시기)
항목
지점
우점종
아우점종
우점도지수
1
Zacco platypus
Rhinogobius brunneus
0.83
2
Zacco platypus
Hemiculter leucisculus
0.85
5. 결 론
연구 결과, 인공식물섬 수역에서 발견된 저서생물군집과 자연연안대 수역에서 발견된 저서생물군집간에 조사시기에 따른 특이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줄새우나 징거미새우와 같은 일부 종이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인공식물섬 수역에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됨에 따라 Pilot model로 제작된 본 인공부도의 역할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이들 갑각류 뿐만 아니라 포식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잠자리류나 노린재류의 경우에서도 강우와 같은 급격한 유량변동을 초래하는 외부 환경요인에 좀더 쉽게 종 보존을 할 수 있는 서식처 제공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무척추동물 보전생물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본 종과 같은 종들은 우산종(Umbrella species)과 같은 대표 특이종으로서의 역할을 보여준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이러한 각 개체군의 군집내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반면 이러한 결과는 인공섬이 설치된 직후 약 6개월이 경과하면서 그 변화 양상을 점차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효과가 추후 어느 정도 유지될 수 있을련지는 본 인공식물섬에 식재한 여러 종류의 식물생장 조건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Pilot model이 설치된 인공 부두 수역에서 1, 2차 본 조사동안 저서생물과 마찬가지로 피라미와 밀어 등과 같은 일부 어종에 있어선 손상된 자연 연안대보다 본 인공 부도 수역에서 보다 많은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많이 성장한 2년생 이상의 성체보다는 어린 치어와 당년생인 작은 크기의 물고기가 많이 발견되어 결국 이러한 현상은 본 인공 부도가 일부 어종에 있어서 효과적인 서식처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으며, 추후 지속적으로 본 Pilot model 설치 수역에 대하여 정밀한 조사가 선행된다면 그 효용성 및 차이에 대하여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적으로 복원한 수변대가 호소와 같은 정수성 수생태계내에서 훼손된 자연연안대를 그대로 방치하기 보다는 인공섬 등과 같은 자연형 인공서식처를 제공함으로서 많은 저서생물과 어류의 서식과 분포에 매우 좋은 서식처로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훈수. 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14권 동물편(집게·게류). 문교부
김훈수. 1977.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새우류). 문교부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이경재. 1994. 한강 본류 및 지천의 동·식물 생태계 구조분석, 환경운동연합, pp.2-11.
이도원. 1996. 하천변 식생지대의 생태적 특성과 기능, 환경과조경. 100:86-91.
정문기. 1996. 한국어도보. 일지사
정준.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조영호, 고재기. 1996. 낙동강 생태보고서, 영남자연생태보존회, pp.403-464.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담수어류편. 교육부.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수서곤충류. 문교부
북륭관, 1965. 원색곤충대도감 Ⅰ, Ⅱ, Ⅲ. 동경.
Cummins K.W., 1962.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 477-504.
Hubbs, C.L. and K.F. Lagler, 1958. Fish of the Great Lake region. Univ. Michigan Press 1. pp. 19-26. Margalef, D.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Ludwig, J.A., Ludwig, James F.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obuhiko Mizuno & Kyuemon Gose, 1993, 河川の生態學. 築地書館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168-144.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Pielou,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er. Nat., 100;463-465.
Shannon, C.E. and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ba. 125p
  • 가격2,8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9.01.2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