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자본의 구성요소, 사회자본의 이론적 검토, 브루되의 사회자본론, 콜만의 사회자본론, 후쿠야마의 사회자본론, 퍼트남의 사회자본론, 인네스의 사회자본론, 힐리의 사회자본론, 사회자본론의 한국적 적실성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사회자본의 이론적 검토, 브루되의 사회자본론, 콜만의 사회자본론, 후쿠야마의 사회자본론, 퍼트남의 사회자본론, 인네스의 사회자본론, 힐리의 사회자본론, 사회자본론의 한국적 적실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1. 신뢰(Trusts)
2. 사회적 연계망(Social Networks)
3. 상호호혜의 규범(norms of reciprocity)
4. 믿음(beliefs)
5. 규율 또는 규칙(rules)

Ⅲ. 사회자본의 이론적 검토
1. 네트웍
2. 교육
3. 지역사회단체

Ⅳ. 브루되의 사회자본론
1. 문화자본
2. 사회자본

Ⅴ. 콜만의 사회자본론

Ⅵ. 후쿠야마의 사회자본론

Ⅶ. 퍼트남의 사회자본론

Ⅷ. 인네스의 사회자본론

Ⅸ. 힐리의 사회자본론

Ⅹ. 사회자본론의 한국적 적실성
1. 저신뢰사회
2. 사회자본의 형성전략

Ⅺ.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서 합의형성 과정(consensus-building process)을 중시한다. 이를 통해 공식적으로 의견이 조율된 계획안 및 정책의 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참여자들간에도 세가지 형태의 공유된 자본 즉 사회자본(social capital), 지적자본(intellectual capital), 정치적 자본(political capital)이 형성되기 때문이다.(Innes et al. 1994) 사회자본은 개인들의 사적 관계와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조정을, 지적자본은 지식의 공유를 통한 조정을, 정치적 자본은 집행이 용이하도록 협력관계를 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자본들은 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자본(capital)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특정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참여자간에 자본이 일단 형성되면, 그 이후에도 계속 살아남아 미래에도 조정과 협력을 촉진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협력과 상호학습 그리고 합의형성(consensus-building)을 통한 문제해결은 새로운 방식으로 계획수립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러한 합의형성은 참여자들의 지적, 사회적, 정치적 자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회자본에 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자들간의 사회자본 형성을 합의형성의 첫째 조건으로 보고 있다. 개인적인 네트워크와 신뢰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간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상충되는 이익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때 반대되는 사람들의 이익과 입장을 이해하고 대화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지역사회의식이 중요하다.(Innes et al. 1994) 이처럼 사회자본을 합의형성의 전제조건으로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인네스 등이 사용하고 있는 사회자본은 신뢰에 가까운 개념이라 할 수 있다.
Ⅸ. 힐리의 사회자본론
힐리의 제도적 자본(institutional capital) 개념은 다양한 가치가 경쟁하고 환경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계획(collaborative planning)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협력적 계획과정을 통해 이해하고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 즉, 제도적 자본의 형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녀에게 있어서 제도적 자본은 한 지역내에 존재하고 있는 관계망(relational webs or networks)의 질(quality)로서, 그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사회구조와 신뢰를 의미한다. 힐리의 제도적 자본은 세 가지 측면을 가지는데, 지적자본으로서 지식자원(knowledge resources: K), 사회자본으로서 관계자원(relational resources: R), 정치적 자원으로서 동원능력(mobilization capacity: M)이 바로 그것이다. 지식자원은 주어진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 지식과 문제 자체를 변형시킬 수 있는 혁신적 지식으로 구분된다. 지식과 인적자원을 연결시켜주는 네트워크 형성을 의미하는데, 공식적인 것과 비공식적인 것으로 구분된다. 동원능력은 지식자원과 관계자원을 정치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이것은 지식자원과 관계자원이 풍부한 경우 더욱 확대된다. 즉 이들 세 가지 자원들간의 순환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을 거쳐 제도적 자본이 확대 재생산된다는 의미이다.
Ⅹ. 사회자본론의 한국적 적실성
1. 저신뢰사회
* Fukuyama
○ 저신뢰사회: 한국은 중국과 함께 저신뢰사회, 가족주의라는 중국문화권의 특징, 수직적 조직의 발달, 가족 중심 경영의 소기업이 발달
○ 고신뢰사회: 미국, 일본, 전문경영인 중심의 대기업 발달
* 한국: 인적자본 추자, 물리적 자본에 투자를 많이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제도의 신뢰와 도덕성의 기반이 되는 사회자본 형성에 소극적이었다.
2. 사회자본의 형성전략
* Putnam의 이태리 연구의 시사점
(1) 자역사회중심의 파트너십 구축, 지역사회의 NGO, 학교, 연구소 기업, 지방자치단체의 파트너십
(2) 자발적 조직의 연계망
(3) 시민침여 및 신뢰회복 : 지방정부가 시민을 참여시킴으로서 시민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평적 결사체와 수평적 네트워크를 발전시켜야 한다.
(4) 제도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 : 특수관계를 만들지 말도록, 법과 제도를 구비
(5) 새로운 법과 제도 도입 : 사회자본의 형성에 유리한 전략, 지역사회의 대학, 복지시설 기부자에 대한 면세 등
. 결론
Morgan과 Vizzini(1999: 51)에 따르면 사회자본 운동은 시민의식의 개념을 확대시켜 지역사회 복지에 영향을 주는 모든 행동을 포함시키며, 정부기관을 운용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고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회자본을 조장하는 것은 시민과 공무원간의 간격을 이어주고, 지역사회 및 시민 거버넌스의 능력을 증진하는 첫 단계일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King(1999: 297)이 지적했듯이 사회자본이 전체적인 선택과 결정을 좌우할 어디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의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질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거버넌스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많은 논의가 있을 수 있는 만큼 이 부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ⅰ. 김남선, 사회자본의 연구동향과 측정방법의 탐색, 지역사회개발연구, 제16권, 제1호, 2001
ⅱ. 김태룡, 시민단체가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6
ⅲ. 김태준, 사회적 자본과 평생학습정책, 한국교육개발원 평생교육센터, 국가평생학습의 총체적 진단과 개선 방향, 학습국가를 향한 성공 전략 2005년 제4차 평생교육 포럼 주제 발표, 2005
ⅳ. 문화적 취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1999
ⅴ. 박희봉·김명환,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2001
ⅵ. 박희봉·김명환, 지역사회 사회자본과 거버넌스 능력, 한국행정학보, 2001
ⅶ. 최창수,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미국의 교훈, 한국지방행정연구 14권 1호,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