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중과 구운몽九雲夢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만중과 구운몽九雲夢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김만중
1) 생애
2) 소설 형성의 배경
3) 사상과 문학
4) 진보적 문학관
2. 구운몽
1) 소설 내용
2) 문학적 가치

Ⅲ. 맺음말

본문내용

학문이 있다. 이것이 서포가 현실에서 추구한 인생관 전부라고 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김만중은 불교를 위시한 삼교사상의 융합설을 역설하였다. ‘교화를 베푸나 신선과 사람과 귀신이 한가지로 한다.’ 바로 이것이 김만중의 사상이다.
다음으로 문체적 문제를 본다면 <구운몽>은 서두의 자연묘사부터가 너무도 사실적이다. 우리말 구사가 근대적 표현에 조금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세련되었고, 정연한 낱말의 순서와 문맥은 어색한 점이 조금도 없다. 직접적 표현과 간접적 표현이 엄격히 구별되어 있고, 때로는 심리적 묘사도 가미하여 여간 정밀하지 않다. 이러한 사실에서 <구운몽>은 다른 소설에 비하여 가장 가까운 근대적 표현과 심리 묘사의 선각적 위치에 놓여 문학적 향취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설적 허구성의 성공여부를 따져본다면 <구운몽>이 서포의 인생관 내지는 종교관의 세계를 일속한 자서전적 소설이긴 하지만 그것이 곧 김만중의 문제는 못된다. 한국 민족의 정신생활과 계급사회의 모순을 풍자, 폭로하여 이상적 세계를 구성하는 욕망을 효과적으로 허구화시켜 본 것이다.
Ⅲ. 맺음말
김만중이 활동한 17세기 후반은 임진왜란, 병자호란 같은 대전란이 가까스로 사라지는 대신 당쟁이 과열되어 가던 시대이다. 벌열정치가 한참인 이 시대에 김만중은 보수적인 성향을 띈 노론 집단에 속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만중은 유불도를 아우르는 진보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문학관에서도 감동과 냉철한 비판적 안목을 중요시 했고 창작과 비평을 다른 차원의 것임을 지적했다. 또한 우리말 우리글로 된 문학인 국어문학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문학의 진실함을 중요시 여긴 김만중은 우리의 글로, 우리의 정서로 글을 써야 한다고 여겼던 것이다. <구운몽>이 한문소설이냐 국문소설이냐에 대한 논의가 분분한데 김만중의 문학적 성향을 고려해 볼 때 국문소설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어머니의 시름을 풀어 드리기 위해 하룻밤에 지었다는 <구운몽>은 소설의 대중화와 상업화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전래과정에서 수많은 이본이 발생했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현실담 - 몽중담 - 현실담'으로 진행되는 '환몽구조'이며 몽유구조의 일종이다.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이 무엇이냐에 대한 논의도 분분하다. 삼교화합설, 불교사상설 등 저마다 타당한 논리를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기 때문에 뭐가 옳다고 확실히 말할 수 없지만 삼교화합설은 인간의 인생 자체를 대변하고 있는 듯하다. 특정한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도 유교, 불교, 도교의 사상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간의 사상 위에 불교적 색채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참고문헌
김만중, 『서포 김만중 소설집』, 해누리, 1994.
민족문화연구소 고전문학분과,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 1999.
정규복 진경환, 『한국고전문학전집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2』, 집문당, 2000.
金一烈, 『古典小說新論』, 새문사, 199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26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