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복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복
●한복의 역사
●한복의 종류와 특징
●한복의 옷감, 배색
●한복의 우수성
●한복의 진화
●한복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포와 바지를 입고 갖신을 신었다고 한다. 또한, 마한 사람들은 구슬 같은 것을 좋아하여 옷에 장식하기도 하고 목걸이와 귀고리를 하였다고 하며, 변한, 진한 사람들은 흰 옷을 즐겨 입고 고깔을 좋아하였다고 한다. 한편, 호전적인 성향을 지닌 고구려인들은 남자의 경우 저고리 위에 허리띠를 매어 단단히 하고, 머리에는 수건이나 삼각형태의 고유의 모자 ‘절풍(折風)’을 썼으며 장화처럼 생긴 목이 긴 신발을 신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한복에는 각 민족 고유의 성격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4) 한복 다양성의 원인
한복의 다양성이 생기게 된 원인으로는 ‘구별의식’을 들 수 있다. 계급의식, 신분의식이 의복에 반영되어 옷감의 색깔, 무늬, 질이 다양해졌으며, 관모나 장신구와 같은 것들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이렇게 구별의식에서 나온 한복의 다양성은 계급의식이 존재하는 동안 계속되어 후세에까지 이어졌다.
한편, 의식이나 행사 등,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입는 한복이 다른데, 이 또한 한복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5) 외국 문물의 수용
외국 문물의 수용은 한복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 예로는 통일신라시대 때 중국에서 들여온, 머리를 감싸는 복두와 단령, 소매 길이가 반소매에서 민소매까지의 길이인 반비, 여성 전용의 배자 모양을 한 배당, 목도리인 표를 들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 때 당, 송, 원의 문화를 흡수한 것도 한복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왕실 이하 귀족, 양반 계급 내에서는 몽골풍의 복장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고려 말 원의 복속 이후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현상은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조선시대 때에는 이와 더불어 전란 후라는 사회적 요인, 그리고 계급의 평등화, 제도의 자유화 등에 의해 저고리가 짧아지는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이러한 것들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외국 문물의 수용이 한복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은 개화기 때였을 것이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 실학사상에 의해 제기된 의복의 간소화가 갑오개혁 이후 의제 개혁과 서양문물 유입에 의해 가속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복은 새로운 침입자인 양복에 우리나라의 의복 주도권을 내주게 된다.
6) 우리 것에 대한 사랑
비록 한복이 양복에 우리나라 의복의 주도권을 내주기는 했지만, 한복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이는 우리 민족의 우리 것에 대한 사랑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서양식 의복을 주로 입는 오늘날에도 명절이나 특별한 행사 때에 한복을 입는 등, 우리의 한복의 명맥을 지키려는 사람들이 있다. 생활한복 또한 우리 한복에 대한 사랑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한복이 서양의 양복에 주도권을 내주게 된 결정적인 이유라고 볼 수 있는 ‘불편함’을 개선한 생활한복. 생활한복은 편안함과 우리의 전통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전통한복의 진화형’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의 것과 외국의 것을 적절하게 조화시킨 퓨전한복 역시 전통의 멋과 이국적인 멋을 함께 담은 ‘전통한복의 진화형’으로 볼 수 있다. 생활한복과 퓨전한복, 이는 우리 것에 대한 사랑이 만들어낸 한복의 진화 산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한복의 발전방향
한복이 세계인의 사랑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색과 문양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나와 다른 것’, 새로움을 찾는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한복에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한복은 자연색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기 때문에 색감이 아주 다양하며, 그 색상만으로도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호기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문양 중에는 서양의 문양이나 실루엣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들이 많기 때문에, 이질성과 동질성이 교차하는 묘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곡옥(曲玉 장식용 구슬로서 쉼표 모양이다)은 서양에서 늘 이용되고 있는 ‘페이즐리 문양’(paisley 스코틀랜드 직물 원산지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과도 유사한 것으로, 서양인들에게 다르면서도 같은 느낌으로 접근하기 쉽다. 한 때 유행했던 ‘쇼킹 핑크’는 우리의 꽃분홍색이다.
세계 의복과 같으면서도 유사한, 유사하면서도 다른 요소를 가진 우리옷의 비밀을 찾아보면 무궁무진할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한복의 세계화는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우리 복식에서 서양과의 공통점을 찾아 세계인들의 미적 기준으로 재해석하여 응용한다면 한복은 누구나 쉽게 접하고 반할 수 있는 옷이 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22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