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화사 경향에서 접근한 옹고집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문화사 경향에서 접근한 옹고집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머리말

2. 내용 살펴보기
1) 이본 연구
(1) 이본 종류
(2) 이본의 변모 과정
2) 구조
(1)인과율 전개
(2) 모티프

3. 옹고집전 바탕에 깔린 사상은?
1) 원문내용을 통해 보기
2) 인물을 통해 보기
3) 성리학
(1) 사회윤리
(2) 가족윤리
4) 불교
(1) 불교의 전개 과정
(2) 주술적 성격
(3) 조선후기 승려의 사회적 위치

4. 작은 것을 통해 보기
 안동
 금강산
 허수아비
 관상보기
 송사

본문내용

3. 옹고집전 바탕에 깔린 사상, 의식은?
조선 후기의 사회가 가지는 불교의 민중화 혹은 불교적 윤리관의 확산은 옹고집전의 배경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며, 또 이것이 옹고집전이 다른 판소리계 소설과는 구별될 수 있는 독자성을 가지는데 도움을 주었다.
1) 조선 후기 시대상
조선 후기에는 신분제 동요에 따라 신분의 하향적, 상향적 이동이 활발해졌다. 양반의 수 가 점점 증가하고, 양반의 규범은 허물어져 갔다. 이런 추세는 17세기경부터 시작되며, 근본적 원인은 양란이었다. 몰락한 양반들은 완전한 농민이 되거나 심지어 머슴으로까지 전락하고, 혹은 상공업에 종사하여 부를 축적하기도 했다. 그들의 이러한 몰락은 성리학적 가치관으로 미루어 볼 때 그들에게 심각한 괴리를 안겨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생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농, 상, 공에 참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특히 농업에 종사한 경우 토지의 이용 방법의 다양화와 재배 방법의 개발로 상당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으므로 소위 경영형 부농의 숫자가 늘어갔다. 부를 축적한 농민은 경제력을 이용하여 신분 상승을 꾀하게 되고 노비를 고용하여 경작하게 되면서 많은 여가를 누릴 수 있었다. 유교적 가치관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위기적 사회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학문적 반성이 일어 실학이 발생하였다. 실학자들은 학문의 영역을 확대하면서 신분제도의 불합리에 대한 견해를 피력하기도 하였다. 더구나 실학은 조선조의 사교(邪敎)로 신앙이 금지된 불교와도 관련을 맺으면서 제도상의 모순들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 인물을 통해 보기
(1) 옹고집
주인공 옹고집은 조선 후기 신분 구조의 동요에 영향을 받아 본래의 신분보다 하강한 인물이다. 그 점은 옹고집의 조상들이 갖던 사회적 위치와 옹고집의 현재 위치의 비교에서 드러난다. 생원이니 양반이니 하는 호칭에서 그의 계층적 성격이 드러나며, 특히 좌수라는 직책을 가진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미를 갖는다. 좌수는 향청의 우두머리로서 수령을 보좌하는 직책이다. 당시 좌수가 실질적인 행정 사무를 맡고 있었으므로 지방의 행정은 좌수에 의해 결정되는 수가 많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0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95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