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개론: 유교의 유아교육 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개론: 유교의 유아교육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교의 아동관
2. 유교의 교육목적
3. 유교의 유아교육사상의 원리
4. 유교의 교육내용
5. 유교의 시기별 교육단계
6. 유교의 교육방법
7. 유교의 교육기관 : 서당
‣ 첨부자료: 우리나라의 서당
8. 유교사상에서의 교사의 소양
9. 유교의 교육사상이 현대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첨부자료: 유교문화 실천모임 ‘갓사모’
‣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암(適庵) 김태중(金泰重, 1649∼1711) 선생이 쓴 [금옹선생유사(錦翁先生遺事)]에도 '公之先業 在雲谷 溪山秀麗 林壑幽邃 公乃於其中 構草屋三間 戚曰拙修庵…'라는 기록이 보인다.운계초당은 초당을 지은지 3년 뒤에 금옹 선생이 고성현령으로 재직한 뒤 이듬해에 금양(錦陽)으로 신거(新居)하다가 현종 14년(1673) 7월 학사촌(鶴沙村) 우사(寓舍)에서 돌아간 뒤 18년간 비어있었다. 이에 고제(高弟)인 적암공은 42세 때인 숙종(肅宗) 16년(1690) 운곡초당(雲谷草堂)을 수리하여 학문과 후진양성에 주력하였다. 후생들이 두 분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힘을 모아 영조 37년(1761) 4월 서당(書堂)을 중건(重建)하였다.
마곡서당
서당의 위치 :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
선조32년(1602)에 사림들의 공론으로 변계손(卞季孫)을 비롯한 일곱 분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서원이었다. 현재는 강당만 남아 있다.
8. 유교사상에서의 교사의 소양
유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스승으로 어머니나 그 밖의 사람들 중에서 바른 성품을 가진 사람에게 어린이를 가르치도록 하였다. 바른 성품은 바른 인격을 의미한다. 유가에서는 인격적 완성의 경지에 이른 사람을 군자 또는 성인, 대장부라 부른다. 이러한 사람이 비로소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유가에서 생각하는 교사의 조건을 살펴본다.
1) 바른 성품을 가진 사람
유가에서는 어머니나 그 밖의 사람 중에서 어질고, 너그럽고 인자하고 온화하고 신중하고 말이 적은 사람에게 어린이를 가르치도록 하였다. 교사의 소양으로 어질고 너그럽고 인자하고 온화하고 신중하고 말이 적은 것을 꼽은 것이다.
2) 교육에 뜻을 둔 사람
유가에서는 학문에 뜻을 두는 것을 입지(立志)라고 하며 이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입지는 자아의식에서 출발한다. 입지는 자아를 분명하게 인식하여 자아를 실현하는 길잡이로, 자아실현에 대한 내적 동기이며 성취동기를 말한다. 유가에서는 교사는 학문에 뜻을 둔 사람이어야 하며 동시에 교육에 뜻을 둔 사람이어야 한다.
3) 우주만물의 이치를 터득한 사람
유가에서는 교사가 되기 위한 첫 번째 과정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를 강조한다. 격물치지란 자연과 인간 삶의 이치를 터득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은 스스로 그 생성과 운행의 이치와 원리를 가지고 있다. 유가에서 교사는 먼저 사물을 궁구하여 우주만물의 이치와 원리를 깨달아 지식을 이루고 인간 삶의 이치를 깨우친 사람이어야 한다. 그래야만 다른 사람에게 사람과 우주만물의 지식이나 이치를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4) 수신(修身)하는 사람
유가의 교사는 자신을 갈고 닦는 사람이어야 한다. 수신의 기본은 성실과 자기 성찰, 스스로를 삼가는 신독(愼獨)을 포함한다. 교사는 성실하고 늘 자신을 성찰하여 분별력이 있으며 집중하며, 홀로 있을 때도 자신을 삼가는 사람(중용, 1장)을 말한다.
5) 대의를 가진 사람
교사는 대인(大人)이어야 한다. 대인은 부와 명예와 권력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을 말한다.
9. 유교의 교육사상이 현대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유교의 교육에서는 유아의 선한 본성을 인정하였으나, 그것을 확충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하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욕망이나 잘못된 행위를 막고 예를 실천하게 하기 위한 매우 자세한 행위지침들에 더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교 교육은 일률적으로 연령이 증가해 감에 따라 달성해야 할 과업이라 할 목표를 설정하여 놓고 그것에 따라 엄격하게 암기식으로 교육하였으므로 현대의 유아관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사회 유지 수단으로 예를 중시하는 도덕교육이었으므로 전인으로서의 교육이라는 입장에서 볼 때 사회성과 지적인 면의 발달은 강조하였으나 신체적 발달에 대하여는 소홀히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유교사상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동안 우리 민족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현대유아교육에 있어서 유교의 유아교육사상이 미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개인의 인성함양은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교육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정교육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가정교육이 점점 약화되고 있고, 2차 교육기관인 학교와 유치원들이 가정교육의 상당 부분을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2차적 교육기관은 지식을 전달하는 데 치중한 나머지 인간으로서 마땅히 갖추어야 할 인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할 경우가 많다. 더욱이 전통적인 미풍양속에 대해서도 소홀히 취급하여 우리 민족의 정체성마저 위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교는 전통적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중시해왔으며 인의와 충효의 유교이념을 토대로, 가정에서 어렸을 때부터 바른 생활습관과 인성, 예절을 교육하였다. 이러한 유교의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부모에 대한 효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가정윤리를 확립하고,
실생활에서의 예의범절을 학습함으로써 생활윤리를 확립하고,
가정과 사회에서의 책임과 의무를 이해함으로써 사회윤리를 정립하고,
우리의 전통교육을 통해 어린이의 인성 및 인격 함양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도, 식사예절 등을 학습함으로써 전통예절의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전통문화를 체험함으로써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유교교육은, 성균관 어린이 예절학교나 각 지방 문화재인 향교 등의 예절교육캠프 등을 통해 단편적으로 그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마침-
참고문헌 및 출처
문미옥, 이혜상, 민행난 공저(2004). 『한국전통문화와 유아교육』. 양서원.
전남련, 김민아, 김덕일 공저(2004). 『유아 전통 교육』. 창지사.
정세화(1997). 『한국교육의 사상적 이해』. 학지사.
김진경(2002). 『전통유아교육원리를 적용한 유아사회생활지도 모형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이원호(2002). 『조선시대 교육의 연구』. 문음사.
조선왕조 아동교육 문화 디지털 콘텐츠 http://edu.culturecontent.com/
유교문화관: 국학진흥원 멀티미디어 DB http://multi.koreastudy.or.kr/
사이버 유교 박물관 http://www.yugyo.org/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3.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0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