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현대무용,한국무용 정의,종류,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발레
1. 1. 발레의 정의
1. 2. 발레의 종류
1. 3. 발레의 특징

2. 현대 무용
2. 1. 현대 무용의 정의
2. 2. 세계의 현대 무용
2. 3. 현대 무용의 특징

3. 한국무용
3. 1. 한국무용의 정의
3. 2. 한국무용의 종류
3. 3. 한국무용의 특징

본문내용

/ 소고춤
3. 2. 3. 가면무용
가면무용은 원시적인 신앙행사나 세시풍속의 행위에서 발생되었다고 할지라도 특정된 지역에 기반을 두고 그 지방에 뿌리를 박고 토착화 되어서, 오랫동안 그 지역의 범위 안에서만 성행하고 성장되어 현재까지 전해진 춤을 말하는 것이다.
현재 각 지방에 남아 있는 탈춤(가면무용)들은 전체적으로 내용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지만, 노는 형태에 있어서나 춤가락면에 있어서는 각각 그 지방대로의 특징이 있다. 멀리 삼국시대에서 근세에 이르는 동안 궁정무인 정재(呈才)에서 서민들의 놀이인 산대춤에 이르기까지 민속예술의 뼈대를 이루어 온 것이 바로 가면무이다.
▶ 지역 분포에 따른 분류
① 중부형 탈춤
중부형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그 근교와 경기도 일원에서 추었던 것이다. 지금은 경기 도의 양주산대(楊州山臺)놀이와 송파(松坡)의 산대놀이에만 보존되어 있다. 이 놀이들은 동일한 계통의 것이지만 아주 근소한 차이점이 있다.
② 경남형 탈춤
경남형은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草溪)의 밤마리라는 포구에서 발생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탈춤이다. 이를 오광대(五廣大)라고 한다. 오광대란 이름은 5행설(五行說)에 의거한 것이고, 이 놀이의 구성에 있어서도 다섯 과장으로 되어 있어, 5방신장(五方神將)·5문둥 이·5양반(五兩班) 등이 등장하여 연희한다. 오광대는 경남 일대의 여러 곳에 전파되어 있 었다가 거의 소멸해 없어지고, 지금에는 통영시와 고성군의 두 곳에 남아 있고, 이 춤들 이 약화되고 변질되어 놀이화하여, 부산 동래구와 수영(水營)에 들놀이(野遊)로 남아있 다.
③ 해서형 탈춤
해서형은 황해도 봉산군을 주축으로 삼고, 근접한 해안선 지역과 내륙지방을 포함하여 여러 곳에 산재해 있던 탈춤이다. 봉산탈춤과 강령탈춤이 그 대표적인 탈춤으로, 같은 계통의 춤이지만 독특한 점을 지니고 있다.
④ 기타 지역의 탈춤
기타지역으로는 함경도 북청사자놀이와, 강원도 대관령 단오제의 관노가면(官奴假面)놀 이와, 경북 안동의 하회별신굿놀이에서의 탈춤 등이 있다.
▶ 한국 가면무용의 특징
① 얼굴 위에 가면을 쓰고 춤을 춘다.
② 연희자 전원이 남자로 구성된다.
③ 춤에 노래와 대사가 곁들여진 종합예술이다.
④ 벽사진경의 의식무,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계급에 대한 모욕, 남녀간의 갈등1부(夫) 대 처첩(妻妾)의 삼각 관계, 서민생활의 빈곤상의 폭로 등 어떤 가면극이든 공통되는 주 제를 가졌다.
⑤ 과장(科場)마다 독립성을 가졌다.
⑥ 사회성을 띠고 있다.
3. 2. 4. 의식무용
의식무용은 불교의 재의식(齋儀式)과 문묘·종묘의 제사에서 추는 춤이다. 이외에도 과거에는 원구단, 사직단(社稷壇-地神) 제사에서도 노래와 춤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제사마저 폐지되었기 때문에 춤은 소멸되었다.
먼저 불교계통의 무용은 5종이 있는데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 목어, 타주(打柱)가 그것이다. 불교 재의식 절차 중에는 '식당작법(食堂作法)'이라고 하는 순서가 있어서, 반드시 상기 5종의 춤을 추는 대목이 있다. 5종의 춤은 불경의 범음(梵音)과 북·징·장고·호적 등이 반주로 사용된다.
이외에 문묘와 종묘에서 추는 일무(佾舞)가 있다.
▶ 한국 의식무용의 특색
① 의식 절차에 따라 춤이 진행된다.
② 춤으로서의 독자성·독립성이 희박하다.
③ 의식의 주체가 되는 사람의 신분직위(身分職位)에 따라 무원수(舞員數)가 결정된다.
④ 무용종류에 따라 무용도구가 달라진다.
3. 2. 5. 신작무용
신작무용신작무용은 전통무용의 형식이나 현대무용의 형식을 토대삼아 창작되는 새로운 무용을 말하는 바, 이런 의미의 신작무용은 많이 창작된다.
3. 3. 한국무용의 특징
한국무용의 원초적 형태는 국가적 의식 끝에 있는 축제(祝祭)의 흥이 어깨에서 구체화되어, 리드미컬하게 온몸으로 퍼져 멋으로 승화한 것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조선시대로 내려오면서 이러한 한국무용의 특성은 변형되었다. 고려·조선시대의 윤리와 사상의 근저를 이루었던 불교와 유교의 가르침은 자연스럽게 발로되는 감각적 육체의 미를 부정하였고 그 때문에 육체의 노출은 금기(禁忌)로 되어 왔다. 이러한 영향 아래 한국무용의 특성이 변형·정형화(定型化)된 것이 궁정무용(宮廷舞踊)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궁정무용과 함께 한국무용의 양대산맥(兩大山脈)이라 할 민속무용은 한국무용의 고유의 원형(原型)을 살리고, 중국의 무용을 흡수·소화한 것으로 경쾌하고 장중하며, 우아하면서도 변화가 거침없는 무용으로 발전하였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23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