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종류][지붕의 발생][지붕의 멋][지붕의 홈통][지붕과 기둥][귀틀집 지붕][초가집 지붕][너와집 지붕]지붕의 종류, 지붕의 발생, 지붕의 멋, 지붕의 홈통, 지붕과 기둥, 귀틀집 지붕, 초가집 지붕, 너와집 지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붕 종류][지붕의 발생][지붕의 멋][지붕의 홈통][지붕과 기둥][귀틀집 지붕][초가집 지붕][너와집 지붕]지붕의 종류, 지붕의 발생, 지붕의 멋, 지붕의 홈통, 지붕과 기둥, 귀틀집 지붕, 초가집 지붕, 너와집 지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지붕의 종류
1. 맞배지붕
2. 팔작(합각)지붕
3. 우진각지붕
4. 솟을지붕

Ⅲ. 지붕의 발생

Ⅳ. 지붕의 멋

Ⅴ. 지붕의 홈통
1. 처마홈통
2. 골홈통
3. 선홈통
4. 깔대기홈통, 기타
1) 깔대기홈통 및 장식통
2) 흘러내림 홈통
3) 물끊기 및 비막이대
4) 플라스틱제 홈통

Ⅵ. 지붕과 기둥

Ⅶ. 귀틀집 지붕

Ⅷ. 초가집 지붕
1. 남부지방
2. 북부지방
3. 중부지방
4. 서부지방
5. 제주지방

Ⅸ. 너와집 지붕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귀틀집은 우리 나라 뿐만 아니라 만주, 시베리아, 미국의 록기 산맥, 북구의 스칸디나비아 반도 일대에도 퍼져 있었다.
Ⅷ. 초가집 지붕
1. 남부지방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북도 지방에 분포된 부엌 . 방 . 대청 .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평안도지방형처럼 일자형이나 기후 적 요인으로 대청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형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 전퇴집으로 지어졌으며, 간혹 산간 지방에서는 2칸 오두막집(막살이집)도 있다. 이들의 주거공간에는 큰방, 작은방, 부엌으로 나누어지며, 부엌은 주로 왼쪽(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은 남쪽방향)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했다.
2. 북부지방
북부 지방의 초가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의 배치가 田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방들은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는 것이 이 지방 주택의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田자형의 평면 형태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평안도 지방에서는 일부에서 가끔 찾아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그리고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경우는 一자형으로 건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3. 중부지방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자형과 자형, 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一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주거의 평면 형태는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 지역에 해당함으로 양 지역의 평면형태가 절충된 형태로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형 초가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일부 지역이중부형에 속한다.
4. 서부지방
서부지방은 전라남북도 지방과 충청도 일부지방으로서 남부 지방 一자형 3칸 초가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서부 해안 지방의 간잡이는 네 칸 또는 다섯 칸잡이 집이 많이 지어졌다. 네 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릿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5. 제주지방
제주도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섬으로서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一자형과 북부 지방의 田자형 초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지방형은 중앙에 대청인 상방을 두고 좌우에 자녀들 방인 작은 구들과 부모의 방인 큰 구들을 두고 큰 구들 북쪽에 고광을 두어 물품을 보관한다.
부엌인 정지는 일반적으로 작은 구들 앞쪽에 두는데 취사용 아궁이가 방고 연결되지 않은 것은 기후적 배려임을 알 수 있다. 상방과 큰 구들 앞에는 낭간이라는 툇마루가 붙어 있다.
지붕의 재료는 주로 억새풀의 일종인 새풀로 지붕을 이었으며, 강한 해풍을 막기 위해 지붕의 일자매기를 육지보다 촘촘히 매는 것이 특징이다.
Ⅸ. 너와집 지붕
너와를 강원도에서는 느에, 또는 능애라고도 한다. 이것은 2백 년 이상 자란 소나무 토막을 길이로 세워 놓고 도끼로 쪼갠 작은 널판이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보통 가로 20~30 센티미터, 세로 40~60센티미터이며 두께는 5센티미터 내외이다. 지붕의 용마루 쪽으로부터 끝을 조금씩 물리면서 덮어 나가며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군데군데에 돌을 얹어 둔다.
너와는 70장을 한 동이라고 하며 한 간 넓이의 지붕에는 보통 한 동 반에서 두동 쯤이 들어간다. 너와 한 장의 수명은 5년 내외이며 기와 지붕을 수리할 때처럼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썩은 것을 갈아 내고 새것으로 바꾸어 끼운다. 이것으로 지붕을 덮을 때, 방 천장에는 느리개를 30센티미터쯤의 너비로 가로 놓고, 이를 중심으로 해서 잔나무를 촘촘하게 붙여 천장으로 삼으나 정지나 마구 등에는 천장 시설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궁이에 불을 지필 때에는 굴뚝으로 빠지지 못한 연기가 너와 사이로 뿜어져 나오므로, 지붕이 불에 타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참고문헌
1. 김광언(1982), 한국의 옛집, 마당
2. 김홍식(1984), 한국건축사 연구의 반성과 과제, 공간, 민족건축론
3. 김광언(2000), 우리 생활 100년[집], 현암사
4. 신영훈(1996),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5. 주남철(1994), 한국 건축의장, 일지사
6. 피터 아이젠만, 건축과 환경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