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시대 개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시대 개관
Ⅱ. 시기구분과 편년
Ⅲ. 지역별 청동기 문화
1) 중국 동북지방의 청동기 문화
2) 북한의 편년안
3) 남한의 조기 및 전기 청동기 시대
Ⅳ. 송국리 유형의 형성 및 확산
Ⅴ. 묘제
1) 지석묘
2) 석관묘
3) 송국리 단계의 묘제 및 구획묘
Ⅶ. 석기
1) 석검
2) 석촉
3) 석도
4) 석부
Ⅷ. 청동기
1) 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
2) 한반도의 비파형동검
Ⅵ. 암각화
Ⅹ.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동기 시대




Ⅰ. 시대 개관
━━━━━━━━━─────────

• 청동기시대 : 본격적 농경사회의 시작, 무문토기의 등장, 마제석기의 본격적 사용, 사회복합도의 증가.

• 청동기시대 후반부에야 청동기가 본격적으로 등장.

• 최근 청동기시대의 상한이 늦어도 기원전 10세기 이전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

• 청동기와 철기가 공존하고 세형동검이 한반도에 등장하는 시점을 초기철기시대의 시작으로 본다면,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하한은 기원전 300년경.




Ⅱ. 시기구분과 편년
━━━━━━━━━─────────

• 송국리 유형의 발생을 기점으로 시기가 구분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조기를 설정하느냐, 초기철기시대를 분리하느냐의 여부에 이견이 있음.
• 각목돌대문토기(刻目突帶文土器)의 시기는 아직 발견례가 적어 한국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시기로 인정하지는 않고 있음.

• 세형동검과 원형 점토대토기의 시기를 청동기시대에서 제외하여, [조기]->[전기]->[후기]로 설정.




 ≪ 사 진 ≫




Ⅲ. 지역별 청동기 문화
━━━━━━━━━─────────

1) 중국 동북지방의 청동기 문화
• 내몽고지역 : 북방식 청동검이 주로 사용되며 일부 변형된 비파형동검이 출토됨.
• 요서지역 : 북방 청동기문화와 중원 청동기문화의 영향이 함께 나타남.
• 요동지역 : 한반도 서북지방과 친연성이 강함.
• 길림-장춘지역 : 비파형동검과 석관묘, 그리고 미송리형 토기의 지역형이라고 할 만한 서단산형 토기 등으로 특징지어짐.




Ⅲ. 지역별 청동기 문화
━━━━━━━━━─────────

2) 북한의 편년안
• 청동기시대가 신석기시대로부터 자생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하여 청동기시대와 고조선을 분리.
• 고조선의 표지적 토기의 상한인 기원전 8~7세기가 청동기시대의 하한.
• 북한에서는 미송리형 토기와 비파형동검을 고조선의 표지적 유물로 간주.
• 서북지역에서는 미송리형 토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묵방리형 토기로 변화.




Ⅲ. 지역별 청동기 문화
━━━━━━━━━─────────

3) 남한의 조기 및 전기 청동기 시대
• 가장 이른 시대의 토기는 미사리 유형의 각목돌대문토기와 절상돌대문토기.
• 최근, 미사리 유형의 시기를 청동기시대 조기로 설정하고, 한반도 농경 전파 과정과 관련지으려 시도.
• 다만, 이들의 발견례가 아직 소수이며 전기 청동기와의 관계 및 구체적 문화상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조기 설정의 적절성에 논란.
• 심발형의 무문토기, 호, 천발, 홍도, 두 등의 토기복합체와 석부, 석도, 석검, 석촉 등의 석기군이 세장방형의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양상.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1.11.18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14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