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후기 염락풍시 - 이색, 원천석, 정몽주의 한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 후기 염락풍시 - 이색, 원천석, 정몽주의 한시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 후기의 문화와 염락풍시

Ⅱ. 염락풍시의 구체적 양상
2. 1 천도(天道)를 읊은 시
2. 2 성리학적 이치(理致)의 형상화
2. 3 시적 화자의 자족감 표현

Ⅲ. 결론

본문내용

寺」
野寺春風長綠苔 들판 절에 봄바람 불어 푸른 이끼 자란 곳에
來遊終日不知回 종일토록 유람하며 돌아갈 줄 모르구나.
園中無數梅花樹 뜰 안에 핀 수많은 매화 나무들은
盡是居僧手自栽 이 모두가 스님께서 손수 심은 것이라지.
7언 절구의 이 시는 제목에서와 같이 ‘관음사’라는 절에 유람하던 길에서 느낀 점을 나타내고 있다. ‘기’구와 ‘승’구에서 봄철을 맞아 생명의 기운이 돋는 들판을 유람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시적 화자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들판’의 ‘이끼’가 아니다. ‘기’구와 ‘승’구에서 들판의 봄을 이야기하다가 뜬금없이 뜰 안의 매화를 이야기한다. 즉, ‘전’구에서 시상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구와 ‘결’구에서 유람 도중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뜰 안’의 ‘매화’라고 밝히고 있다. 시적 화자의 마음을 사로잡은 매화는 스님들이 손수 심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내재적 접근법으로 자연과 동화되어 살아가는 스님의 삶에 대한 동경이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시적 화자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매화’가 분명하다. 모든 생명이 약동하는‘봄’에 하필이면 ‘매화 나무’에 사로잡힌 것일까? 하루 종일 들판을 유람했다면 수많은 꽃들을 보았을 것인데. 이 지점에서 문학 외적인 상황을 끄집어 와야 한다.
정몽주가 살았던 시대는 고려의 황혼기이다. 매화는 봄꽃 중에서 가장 먼저 피는 꽃이다. 성리학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이것이 자연 속에 내재된 천도이다. 그래서 많은 고전 시가나 시조 속에서 매화는 시적 화자의 절개나 지조를 상징하는 객관적 상관물로 사용되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모든 생명들에게 고난을 주는 겨울과 같은 이성계 일파의 억압 속에서도 절개를 지키고 있는 자신을 매화 속에서 발견한 것이 아닐까? 그리고 ‘스님’이 직접 심었다는 표현은 고려 왕조에 대한 충성은 매화에 내재된 하늘의 도리는 스스로 밝혀진다는 것을 표현한 말이 아닐까?
Ⅲ. 결론
고려 후기 한문학은 문벌 귀족이 문화 담당층이었던 전기와 몇 가지 점에서 성격을 달리 한다. 무신의 난 몽고, 거란의 침입이라는 거듭된 환란 속에서 이규보와 같이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현실을 비판하는 한 방향이 있었다. 이는 중세 보편주의를 독자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노선을 이제현을 비롯한 신흥 사대부는 이어 받고 있다. 다른 한 방향은 성리학이라는 신유학의 유입으로 인한 변화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염락풍시이다. 이처럼 염락풍시 고려 후기 한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면서 신흥 사대부의 중요한 문학적 준거 틀을 마련해 주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고려 후기의 염락풍시는 크게 세 가지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추릴 수가 있다.
먼저 관물(觀物)을 통해 천도(天道)가 자연 현상 속에 구현되어 있음을 읊은 시들인데, 이 때도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치로 보면서 자신의 주관을 최소화하여야 사물의 실상을 제대로 알 수 있다.
둘째, 경전의 성리학적 이치를 시로 형상화하거나 반대로 사물의 현상을 통해 경전에 나오는 이치를 다시 형상화한 시들이다. 경전의 이치를 형상화하기에 전통적인 한시의 창작 방법인 용사(用事)의 기법을 사용한다.
셋째, 하늘의 이치를 따라 살아가는 시적 자아의 자족감을 읊은 시들이 있다. 이 경향의 시들은 시적 화자의 감정 표현을 중시하기에 한시의 전통적인 창작 방법인 선경후정(先景後情)의 기법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시의 내용에 따라 사용되는 창작 방법이 다름을 알 수가 있다.
◇ 참고 문헌 ◇
1. 『고려조명가한시연구(高麗朝名家漢詩硏究)』, 변종현, 경남대학교출판부, 2004
2. 『한국문학통사 2』, 조동일, 지식산업사, 1997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1.21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