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은죽(隱竹) - 죽유(竹牖) 오운(吳澐)의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릿말
2. 오운의 가계와 생애
3.『동사찬요』의 편찬
 가. 봉진본
 나. 8권본
 다. 11권본
 라. 12권본
 마. 16권본
4.『동사찬요』에 나타난 역사지리 및 문화 의식
 A)「지리지」에 나타난 역사지리 인식
 B) 열전에 나타난 문화의식
5. 죽유 오운의 사학사(史學史)적 의미
6. 맺음말

본문내용

서술에서 고구려 군현 명칭에 대한보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사지리인식은 상고기의 강역을 한반도 내의 좁은 영역에서 보려는 전통적인 조선전기의 역사지리인식에서 멋어나 요동일원에서의 변화를 중시하는 한백겸 이래의 조선후기 학자들의 역사지리인식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산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의 경쟁에서 최종적 승리를 거둔 신라의 승리 요인을 도덕적 차원에서 설명하거나 고려 선대 세계에 대한 황탄하고 신이한 전설을 8권본에서는 세주로 소개하고 있으나 11권본에서는 아예 탈락시키고 있는 데서는 오운의 역사인식이 유교의 도덕적 함리적 역사관에 바탕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은 8권본에서 견훤과 궁예를 참국으로 적어 주자학의 정통론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역사를 기술하려는 데서도 볼 수 있다. 8권본에서는 통일 전후를 구별하지 않았던 신라에 대해 11권본에서는 삼국기 중의 신라와 문무왕 9년 이후의 신라기로 구별하고, 고려 태조 19년 이후는 고려기로 적고 있어 이전에 비해 엄격하게 정통의 논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통의 논리는 지리지 서술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의 서술에서 하위 지방이나 하위 군현을 앞세운 것을 비판하고 ‘유간달지’의 원칙에 따라 국도를 먼저 소개한 다음 주군현의 위상에 따라 삼국의 지리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오운의 유교적인 도덕률과 합리성에 기반을 하면서도 주자학의 정통논리를 적용하려는 사림들의 역사인식을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사찬요』는 한백겸 이래의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의 선구를 이루는 사서라고 할 수 있다.
5. 맺 음 말
함안에서 태어나 의령에서 살던 죽유는 퇴계 남명 문하를 동시에 출입하며 두 선생의 장점을 취하여 자신의 학문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두 문하의 동문관계와 재지사족과의 혼인을 통하여 강력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개인적 기반을 토대로 하여 기전체와 편년체 사서를 절충한 『동사찬요』는 당시까지 나와 있던 사서의 잘못된 체례(體例)를 바로잡았고, 또 우리 나라 지식인들로 하여금 우리 나라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알 수 있도록 하려는 생각에서 지어졌다. 특히 지리지에서 고구려 강역에 대한 관심은 민족적 자긍심의 발로가 아닐까.
오늘날 죽유라는 인물은 현실적으로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첫째, 그는 편협하게 한 분의 선생만 고집하지 않고, 당대의 양대학자인 퇴계 남명 두 선생의 문하를 동시에 출입하면서 두 선생의 장점을 취하여 자신의 학문을 형성해 나갔다. 둘째 나라를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않고 국가민족을 전란에서 구출하고자 노력하였고, 특히 자기의 손아래 사람인 망우당을 추대하여 의병장으로 삼은 그 자기 희생과 겸양의 정신이 배울만 하다. 셋째 당시 지식인들이 중국만 숭상하던 분위기에서 우리 역사를 알게 하기 위해서 장기간의 노력을 들여 『동사찬요』를 편찬 간행하였다. 넷째 벼슬에서 물러나 시골에서 살면서도 지방지 편찬과 서원을 통하여 선현봉사와 제자 양성을 통하여 문화를 주도하였다. 다섯째 가까운 측근이 요직에 있어도 자신의 영달을 위해서 아부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지조를 지켜나갔다. 이런 중유의 정신과 태도는 도덕과 예의가 무너지고 우리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오늘날 지식인에게 살아갈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오운을 어찌 역사의 죽(竹)이라 하지 않을 수 있으랴.
<참고 문헌>
고령대가야박물관·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편, 죽유오운의 삶과 학문세계, 역락, 2007
박동욱, 죽유 오운의 생애와 내면의식, 온지논총, 2009
박순희, 죽유 오운의 학문과 저술세계, 서지학회, 2008
한영우, 조선후기사학사연구, 일지사, 1989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1.2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