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2. 음운체계와 변화
3. 문법
4. 어휘
5. 방언
2. 음운체계와 변화
3. 문법
4. 어휘
5. 방언
본문내용
ㅈ, ㅊ」→ /t/로 바뀜.
옷, 옷과 → /ot/, /ot-kwa/
「ㅍ, ㅄ」→ /p/로 바뀜.
잎, 잎도 → /ip/, /ip-to/
「ㅋ, ㄲ, ㄳ」→ /k/로 바뀜.
부엌, 부엌도 → /puk/, /puk-to/
「ㄽ, ㄾ」→ /l/,
「ㄾ」은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가 될 수도 있음.
곬 → /kol/
‘ㄻ’ → /m/
젊다, 젊고 → /m-t’a/, /m-k’o/「ㄺ, ㄿ, ㄼ」→ /k/, /p/ or /l/이 남고, 다음 소리를 된소리화 함.
닭, 닭도 →/tak/, /tak-to/, or /tal-t’o/ (‘ㄼ’받침 경우, ‘ㄹ’이 남고, ‘ㅂ’이 줄어 진다.)
‘ㄵ’ → /n/이 남고, 다음 자음을 된소리 화한다.
앉다, 앉고 → /an-t’a/, /an-k’o/
나) 자음접변
국어의 형태소 연결에서 특정한 자음끼리 접하게 되면, 그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소리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자음접변(子音接變) 또는 닿소리 이어 바뀜이라 한다.
예) /k-n/ →/ŋ-n/ : 먹는다, 익네.
/t-n/ → /n-n/ : 받는다.
/n-p/ → /m-p/ : 신발 → 심발
「ㄹ」종성 → 「ㄴ」
/m-l/ → /m-n/ : 감로 → 감노
초성의 「ㄴ」 → 「ㄹ」
/l-n/ → /l-l/ : 불노 → 불로
내파음「ㄷ, ㅂ」+ 외파음「ㄱ, ㅂ」
→ 동화
/t-k/ → /k-k/ : 삿갓 → 삭갓
「ㄴ, ㅁ」+「ㄱ, ㅂ, ㅁ」
→ 뒷소리의 조음위치 이동
/n-k/ → /ŋ-k/ : 손가락 송가락
다) 구개음화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ㄷ, ㅌ]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i/, /i/인 때는 앞의 [ㄷ, ㅌ]이 뒤 소리의 나는 자리에 끌려가서 [ㅈ, ㅊ]으로 변동하는 자음동화 현상의 한가지이다.
구개음화 현상은 형태소 통합의 경우에는 필연적,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예) 굳(固 ) + -i(접미사) → 구지
해돋(日出) + -i(접미사) → 해돋이
밭(田) + -i(조사) → 바치
라) 모음사이 자음의 간극동화
ㅂ 변격 용언의 어간 말음의 [ㅂ]은 모음 사이에서는, 그 다음의 모음이 /w/와 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면 /w/로 바뀌고 그렇지 않는 모음이 이어 나면, /u/로 바뀌게 되고, /i/가 올 때는 아주 줄어지는 일도 있다. 이것은 간극 0도의 [ㅂ]이 간극이 큰 모음사이에 개재되었기 때문에 간극의 동화를 입어 간극이 모음에 가까운 반모음의 /w/나 바로 모음의 /u/로 변한 것이다.
마) 자음생략(탈락)
자음생략 현상은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소의 음소가 줄어지는 일이 있다. 「ㄹ」음은 「ㄴ, ㄷ, ㅈ, ㅅ」위에서는 흔히 줄어진다. 「ㅅ」은 첫소리가 모음인 어미가 연결될 때는 줄어진다. 마지막으로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지는 일이 있다.
예) 하얗다(白) - 하야니, 하얀, 하야면
바) 자음첨가
두 형태소 사이에 그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 음운이 첨가되는 일이 있다.
예) 아래 +이 → /ar-n n-i/ 아랫이(下齒), 집 + 일 → /ip-n-il/ → /imnil/ 집일(家事)
사) 이화현상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가 이어날 때에 그 중의 한 소리를 그와 다른 소리로 바꾸거나 다른 소리에 동화되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화되기 어려운 소리로 바꾸는 현상을[이화]라 불리우는데 이것은 [동화]에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예) 국밥 → /kuk-pap/ , 밥솥 → /pap-sot/
「-ㄹ」밑에서는 규칙현상이 나타난다. ( 할 것, 할 수, 살 집, 팔 집 등)
아) 변격활용(불규칙 활용)
ㄱ) 어간이 불규칙한 것
(ㄱ) 어간의 끝소리가 줄어지는 것
ㄹ변격 : 놀다-노니
ㅅ변격 : 잇다-이으니
ㅎ변격 : 하얗다-하야니
으변격: 쓰다-써라
우변격 : 푸다-퍼라
(ㄴ) 어간의 끝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
ㅂ변칙 : 덥다-더우니
ㄷ변칙 : 듣다-들으니
(ㄷ) 어간과 어미가 다 불규칙한 것
르변격 : 흐르다-흘러
(2) 모음의 변화
가) 축약현상
앞 형태소의 끝소리와 접속되는 형태소의 첫소리가 다 모음일 때는 이 두 모음이 중모음으로 변하거나 또는 그 간음인 단모음으로 변하여 두 음절이 한 음절로 바뀌는 현상을 이룬다.
예) /i/ +// → /i/ : 그려(畵), 다녀도(步行), 꾸몄다, 잡혀서, 보였다. 맡겨라 등
/o/ +/a/ → /wa/ : 봐라, 와서, 쏴도 등
나) 생략(탈락)현상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의 음소가 줄어지는 경우가 있다.
ㄱ) 앞 형태소의 끝모음과 다음 형태소의 첫모음이 같은 음소일 때는 그 중 한 모음이 줄어진다.
예) /가-/ +/-아서/ → /가서/, /서-/ +/-었다/ → /섰다/
ㄴ) 앞 형태소의 끝 모음이 /으/음이고, 다음 형태소의 첫 모음이 /어/음일 때는 앞의 /으/음이 줄어진다.
예) /뜨-/ +/-어서/ → /떠서/, /쓰-/ +/-어도/ → /써도/
ㄷ)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 /에, 애/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어/인 때는 뒤의 /어/가 줄어진다.
예) /개-/ +/-어서/ → /개서/ (晴), /재-/ +/-어라/ → /재라/ (尺)
다) 모음조화
현대국어의 모음조화 현상은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부사형 어미의 변이 형태에는 「-아」와 「-어」가 있는데, 「-아」는 어간의 끝소리가 그와 같은 소리인 /아/이거나, 또는 /오/일 때에 쓰이고, 「-어」는 그 밖의 모음, 즉 /이, 에, 애, 위, 의, 으, 어, 우/에 연결된다.
예)/아-아/ : 막-아, 잡-아, 맑-아, 얇-아
/이-어/ : 길-어, 그리-어, 믿-어
/우-어/ : 불-어, 줄-어, 죽-어
/오-아/ : 녹-아, 보-아, 쏘-아
라) 움라우트(umlaut) 현상
/i/나 /j/와 같은 전설 고모음이 그 앞의 전설 고모음 아닌 모음을 전설모음으로 바꾸는 현상을 이른다. 현대국어의 모음은 그 위치적 자질에 의해서, 전설과 후설로 대립되어 있고, 이 두 계열은 다시 평순과 원순의 두 계열로 분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후설계 모음은 움라우트로 말미암아 전설계로 바뀔 수 있다.
예) // → /e/ : 먹-히 → 멕히, 먹-이 →멕이
/i/ → /i/ : 뜯-기 →
옷, 옷과 → /ot/, /ot-kwa/
「ㅍ, ㅄ」→ /p/로 바뀜.
잎, 잎도 → /ip/, /ip-to/
「ㅋ, ㄲ, ㄳ」→ /k/로 바뀜.
부엌, 부엌도 → /puk/, /puk-to/
「ㄽ, ㄾ」→ /l/,
「ㄾ」은 뒤에 오는 자음이 된소리가 될 수도 있음.
곬 → /kol/
‘ㄻ’ → /m/
젊다, 젊고 → /m-t’a/, /m-k’o/「ㄺ, ㄿ, ㄼ」→ /k/, /p/ or /l/이 남고, 다음 소리를 된소리화 함.
닭, 닭도 →/tak/, /tak-to/, or /tal-t’o/ (‘ㄼ’받침 경우, ‘ㄹ’이 남고, ‘ㅂ’이 줄어 진다.)
‘ㄵ’ → /n/이 남고, 다음 자음을 된소리 화한다.
앉다, 앉고 → /an-t’a/, /an-k’o/
나) 자음접변
국어의 형태소 연결에서 특정한 자음끼리 접하게 되면, 그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소리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자음접변(子音接變) 또는 닿소리 이어 바뀜이라 한다.
예) /k-n/ →/ŋ-n/ : 먹는다, 익네.
/t-n/ → /n-n/ : 받는다.
/n-p/ → /m-p/ : 신발 → 심발
「ㄹ」종성 → 「ㄴ」
/m-l/ → /m-n/ : 감로 → 감노
초성의 「ㄴ」 → 「ㄹ」
/l-n/ → /l-l/ : 불노 → 불로
내파음「ㄷ, ㅂ」+ 외파음「ㄱ, ㅂ」
→ 동화
/t-k/ → /k-k/ : 삿갓 → 삭갓
「ㄴ, ㅁ」+「ㄱ, ㅂ, ㅁ」
→ 뒷소리의 조음위치 이동
/n-k/ → /ŋ-k/ : 손가락 송가락
다) 구개음화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ㄷ, ㅌ]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i/, /i/인 때는 앞의 [ㄷ, ㅌ]이 뒤 소리의 나는 자리에 끌려가서 [ㅈ, ㅊ]으로 변동하는 자음동화 현상의 한가지이다.
구개음화 현상은 형태소 통합의 경우에는 필연적,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예) 굳(固 ) + -i(접미사) → 구지
해돋(日出) + -i(접미사) → 해돋이
밭(田) + -i(조사) → 바치
라) 모음사이 자음의 간극동화
ㅂ 변격 용언의 어간 말음의 [ㅂ]은 모음 사이에서는, 그 다음의 모음이 /w/와 중모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면 /w/로 바뀌고 그렇지 않는 모음이 이어 나면, /u/로 바뀌게 되고, /i/가 올 때는 아주 줄어지는 일도 있다. 이것은 간극 0도의 [ㅂ]이 간극이 큰 모음사이에 개재되었기 때문에 간극의 동화를 입어 간극이 모음에 가까운 반모음의 /w/나 바로 모음의 /u/로 변한 것이다.
마) 자음생략(탈락)
자음생략 현상은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소의 음소가 줄어지는 일이 있다. 「ㄹ」음은 「ㄴ, ㄷ, ㅈ, ㅅ」위에서는 흔히 줄어진다. 「ㅅ」은 첫소리가 모음인 어미가 연결될 때는 줄어진다. 마지막으로 어간의 끝 「ㅎ」이 줄어지는 일이 있다.
예) 하얗다(白) - 하야니, 하얀, 하야면
바) 자음첨가
두 형태소 사이에 그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 음운이 첨가되는 일이 있다.
예) 아래 +이 → /ar-n n-i/ 아랫이(下齒), 집 + 일 → /ip-n-il/ → /imnil/ 집일(家事)
사) 이화현상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가 이어날 때에 그 중의 한 소리를 그와 다른 소리로 바꾸거나 다른 소리에 동화되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화되기 어려운 소리로 바꾸는 현상을[이화]라 불리우는데 이것은 [동화]에 정반대되는 현상이다.
예) 국밥 → /kuk-pap/ , 밥솥 → /pap-sot/
「-ㄹ」밑에서는 규칙현상이 나타난다. ( 할 것, 할 수, 살 집, 팔 집 등)
아) 변격활용(불규칙 활용)
ㄱ) 어간이 불규칙한 것
(ㄱ) 어간의 끝소리가 줄어지는 것
ㄹ변격 : 놀다-노니
ㅅ변격 : 잇다-이으니
ㅎ변격 : 하얗다-하야니
으변격: 쓰다-써라
우변격 : 푸다-퍼라
(ㄴ) 어간의 끝소리가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
ㅂ변칙 : 덥다-더우니
ㄷ변칙 : 듣다-들으니
(ㄷ) 어간과 어미가 다 불규칙한 것
르변격 : 흐르다-흘러
(2) 모음의 변화
가) 축약현상
앞 형태소의 끝소리와 접속되는 형태소의 첫소리가 다 모음일 때는 이 두 모음이 중모음으로 변하거나 또는 그 간음인 단모음으로 변하여 두 음절이 한 음절로 바뀌는 현상을 이룬다.
예) /i/ +// → /i/ : 그려(畵), 다녀도(步行), 꾸몄다, 잡혀서, 보였다. 맡겨라 등
/o/ +/a/ → /wa/ : 봐라, 와서, 쏴도 등
나) 생략(탈락)현상
형태소가 놓이는 자리에 따라서 기본 형태의 음소가 줄어지는 경우가 있다.
ㄱ) 앞 형태소의 끝모음과 다음 형태소의 첫모음이 같은 음소일 때는 그 중 한 모음이 줄어진다.
예) /가-/ +/-아서/ → /가서/, /서-/ +/-었다/ → /섰다/
ㄴ) 앞 형태소의 끝 모음이 /으/음이고, 다음 형태소의 첫 모음이 /어/음일 때는 앞의 /으/음이 줄어진다.
예) /뜨-/ +/-어서/ → /떠서/, /쓰-/ +/-어도/ → /써도/
ㄷ)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 /에, 애/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어/인 때는 뒤의 /어/가 줄어진다.
예) /개-/ +/-어서/ → /개서/ (晴), /재-/ +/-어라/ → /재라/ (尺)
다) 모음조화
현대국어의 모음조화 현상은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부사형 어미의 변이 형태에는 「-아」와 「-어」가 있는데, 「-아」는 어간의 끝소리가 그와 같은 소리인 /아/이거나, 또는 /오/일 때에 쓰이고, 「-어」는 그 밖의 모음, 즉 /이, 에, 애, 위, 의, 으, 어, 우/에 연결된다.
예)/아-아/ : 막-아, 잡-아, 맑-아, 얇-아
/이-어/ : 길-어, 그리-어, 믿-어
/우-어/ : 불-어, 줄-어, 죽-어
/오-아/ : 녹-아, 보-아, 쏘-아
라) 움라우트(umlaut) 현상
/i/나 /j/와 같은 전설 고모음이 그 앞의 전설 고모음 아닌 모음을 전설모음으로 바꾸는 현상을 이른다. 현대국어의 모음은 그 위치적 자질에 의해서, 전설과 후설로 대립되어 있고, 이 두 계열은 다시 평순과 원순의 두 계열로 분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후설계 모음은 움라우트로 말미암아 전설계로 바뀔 수 있다.
예) // → /e/ : 먹-히 → 멕히, 먹-이 →멕이
/i/ → /i/ : 뜯-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