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이트의 우주론
2. 프로이트의 인간론
3. 프로이트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
2. 프로이트의 인간론
3. 프로이트의 우주론과 인간론 분석
본문내용
상학적 문제이다. 무의식적 정신상태는 이와 같은 본질에 대한 문제가 문제시 될수 없는 것이라고 가정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프로이트 자신은 생리학을 연구했기 때문에 이원론에 대한 어떤 시사도 거부했을 것임에 틀림없는 것 같다. 심리학 이론에 대한 생리학적 기반을 찾고자 했던 초기의 시도(1895년의 연구과제에서)이후, 그는 이러한 문제는 심리학적으로 별 중요성이 없다고 하는 관점에 도달했고 이를 신경 생리학의 차후의 발전에 맡기는 것으로 만족하였다. 그러나 그가 가정한 모든 정신적 실체가 어떤 생리학적 기반-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해도-을 가지고 있음을 의심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인간론은 플라토와 같은 이원론이 아닌 것이다.
그러나 플라토와의 흥미 있는 대응관계가 있는데 그것은 프로이트가 1920년대에 쓴 후기 해설서들에 도입된 정신의 세가지 구조이론이다. 이 이론은 그때까지 그가 사용해왔던 의식과 전의식 그리고 무의식간의 구별과 같은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혹은 인격속에 있는 세가지 주요한 체게를 구별한 것이다. 이드는 즉각적인 만족을 구하는 본능적인 충동을 말하며 에고는 외부적 현실세계와 관계를 맺으면서 그 외부 세계와 이드 사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초자아는 양심 즉 어린 아이때 얻게 된 사회적 규범을 그 안에 담고 있는 에고의 한 특수한 부분이다. 초자아는 또한 이드와 관계를 가지는데 왜냐하면 이드는 에고를 엄한 아버지와 같은 도덕률(초자아)에 맞서게 할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고는 이드와 초자아 그리고 외부 현실사이에 일어나는 서로 대립적인 요구들을 조화시켜야 한다. 의식적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나 에고속에 있다. 이 에고속에도 무의식으로 남아있는 것들이 있을 수 있지만 반면에 이드속에 있는 것은 무엇이나 영원히 무의식적이다. 그러므로 이드는 플라토의정욕 혹은 욕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나 에고와 초자아가 플라토의 이성과 혈기와 어떻게 대응되는지 분명치가 않다. 현실 판단 기능에 있어서 에고는 이성과 유사한 듯 하지만 플라토의 이성은 또한 프로이트가 초자아에 부여한 도덕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프라토가 예증한 혈기도 자기 혐오의 상태에서 도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의 인간개념의 세번째 주요한 특징은 그의 본능 혹은 “충동”에 대한 이론-혹은 이론들이다. 왜 이론 혹은 이론들이라고 말하는 가하면, 이 본능론이 그의 저술에서 가장 다양성 있는 부분중의 하나이기
그러나 플라토와의 흥미 있는 대응관계가 있는데 그것은 프로이트가 1920년대에 쓴 후기 해설서들에 도입된 정신의 세가지 구조이론이다. 이 이론은 그때까지 그가 사용해왔던 의식과 전의식 그리고 무의식간의 구별과 같은 것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혹은 인격속에 있는 세가지 주요한 체게를 구별한 것이다. 이드는 즉각적인 만족을 구하는 본능적인 충동을 말하며 에고는 외부적 현실세계와 관계를 맺으면서 그 외부 세계와 이드 사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초자아는 양심 즉 어린 아이때 얻게 된 사회적 규범을 그 안에 담고 있는 에고의 한 특수한 부분이다. 초자아는 또한 이드와 관계를 가지는데 왜냐하면 이드는 에고를 엄한 아버지와 같은 도덕률(초자아)에 맞서게 할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고는 이드와 초자아 그리고 외부 현실사이에 일어나는 서로 대립적인 요구들을 조화시켜야 한다. 의식적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나 에고속에 있다. 이 에고속에도 무의식으로 남아있는 것들이 있을 수 있지만 반면에 이드속에 있는 것은 무엇이나 영원히 무의식적이다. 그러므로 이드는 플라토의정욕 혹은 욕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러나 에고와 초자아가 플라토의 이성과 혈기와 어떻게 대응되는지 분명치가 않다. 현실 판단 기능에 있어서 에고는 이성과 유사한 듯 하지만 플라토의 이성은 또한 프로이트가 초자아에 부여한 도덕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프라토가 예증한 혈기도 자기 혐오의 상태에서 도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의 인간개념의 세번째 주요한 특징은 그의 본능 혹은 “충동”에 대한 이론-혹은 이론들이다. 왜 이론 혹은 이론들이라고 말하는 가하면, 이 본능론이 그의 저술에서 가장 다양성 있는 부분중의 하나이기
추천자료
안나 프로이트의 하버드 강좌(정신건강칼럼,정신분석에로의 초대)
프로이트의 철학이 현대사회에 기여하게 된 측면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안나 프로이트의 주요개념, 모형,...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이론의 기본가정, 주요개념, 심리성적발달단계를 설명하고 사회복...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기본관점의 차이를 토론
성격발달에 관한 프로이트 이론과 에릭슨 이론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과 두 이론의 차이점을 ...
프로이트의 성격구조에 대해 서술하고 자신의 의견말하기,인간의 성격구조.
문학의이해 공통형)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의 개념과 주요특징을 기술하고 두 이론의 ...
정신분석 이론 중 프로이트와 에릭슨 이론에 대해 서술하시고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하...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정신분석의 창시자 프로이트의 생애
프로이트의 성격이론을 정리하고, 이론 중에서 자신의 성격형성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찾...
프로이트가 제시한 7개의 방어기제 중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3개 선정하고, 그 상...
프로이트의 정신역동이론 중 이론의 인간관 개념 특히 발달 관점이 사회복지현장에서 어떻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