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현실세계와 구운몽의 세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5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5
2. 선행 검토 ............................................6

Ⅱ. 「구운몽」의 가상 현실과 그 존재 방식 .....................7

1. 환몽 구조와 가상적 세계 .................................7
2. 가상 현실의 규약과 인물의 삶 ............................9
3. 다중성의 주체, ‘양소유’ ...............................11

Ⅲ. 성진의 깨달음과 가상 체험자의 정체성 ...................14

IV. 결론 ...................................................16

V. 참고문헌 ...................................................16

본문내용

성진이 곧 양소유였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꿈과 세상을 구분하지 말라는 것, 그것이 구운몽 이 제시하는 환몽 체험의 궁극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인생 자체가 환몽과 가상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양소유의 삶이 ‘가짜’나 허망한 것이 아니고 그 속에서 불생불멸의 가르침을 바로 찾을 수 있다는 것이 구운몽 의 환몽 체험이 가지는 궁극적인 가치이자 의미이다. 이강옥(2009), 구운몽의 환몽체험과 주제, 고소설연구, 제28집, 125쪽
아바타를 통한 사이버 공간의 삶이 인간이 육체적 한계를 뛰어넘어 자아를 확장시키는 창조적 작업이며, 새로운 삶의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사이버 공간이 제공하는 자아의 확장에 도취된 네티즌들은 현실 세계를 잊고 ‘가짜’에 매몰되고 있다고 여전히 비판받는다. 익명성을 무기로 가상 세계 속에서 실체 없는 유령으로 떠도는 네티즌들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무엇보다도 가상 세계의 확장된 자아를 통해서 얻은 가치와 인식이 현실 세계에서 얼마만큼의 영향력과 지속적인 자아의 성장을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된다. 사이버공간의 자아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시각에 구운몽의 환몽 체험은 중요한 의미를 제기한다.
구운몽은 서두와 결말에서 금강경의 가르침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금강경결국 ‘나란 존재는 분명히 있다.’ ‘나는 어떠한 존재이다.’ ‘내가 궁극적 이상이다’는 인식에 머물지 말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인식하는 나와 인식 그 자체조차도 매순간 변하기 때문이다. 이강옥(2007), 문학치료 텍스트로서의 <구운몽>의 가치와 가능성, 고소설연구, 제24집, 176쪽
이러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 우리는 다중성의 주체 이외에도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며 변화하는 주체에 대해서 긍정해야 할 것이다.
이미 사이버공간은 ‘가상’이나 ‘가짜’의 경계를 극복하고 우리에게 현실로 다가와 있다. 사이버 공간 속에서 주체의 자아 정체성은 일상적인 행위와 실천 속에서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변화된다. 자아 정체성 자체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부단히 변형되면서 형성된다면 남은 것은 어떻게 하면 현실과 가상 공간의 정체성을 통합하여 통일성과 일관성을 가진 주체로 성장하도록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사이버공간에서 주체는 단일하고 고정된 자아의 속박에서 벗어나 이모티콘이나 아바타 등을 이용해서 자유롭게 자신의 신체나 인상을 구성하고 상황을 설정하여 변신할 수 있다. 네티즌은 실제 세계와 가상 세계에서 동일한 자아를 지닌 주체로 행위하거나 서로 다른 자아를 구성하여 참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사이버공간에서 자아정체성의 문제는 선택과 자유에 달려있다. 결국 사이버공간의 질서는 현실의 질서와 연장선상에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진짜와 가짜의 구별이 불가능한 또 다른 현실로서 긍정되어야 할 것이다.
IV. 결론
지금까지 17세기에 창작된 고전 소설 구운몽 의 세계가 가상 세계로서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서 논해 보았다. 구운몽 은 단일한 자아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아의 지평을 확대하고 환상의 세계와 실재 세계를 통합하여 진정한 자아에 이르는 과정을 가상 현실을 통해서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주인공의 가상 현실 체험은 현대 사이버공간에서 활약하고 있는 네티즌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시사적으로 제시한다.
사이버 공간, 혹은 가상 공간이라는 새로운 활동 영역은 더 이상 ‘가짜’나 ‘환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새로운 현실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는 물리적 현실 공간과 마찬가지로 그 공간만의 특성과 질서가 존재하는 세계이며, 여기서 네티즌은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아를 선택하고 자유롭게 구성함으로써 새롭게 창조된 자아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아는 편견에 자유롭고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구운몽 에서 ‘깨달음’의 길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연속적이고 통일성 있는 자아로서의 욕망과 행위를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비판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사이버공간의 자아는 선택의 문제이지만, 현실의 자아는 여전히 물리적 제약 속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현대 사이버 공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운몽에 나타난 가상 현실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적인 자아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유로운 가상공간의 자아를 수용하고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자아성찰에 이르는가의 문제가 구운몽 에서 형상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V. 참고문헌
<단행본>
로지 잭슨(2001), 환상성-전복의 문학, 서강여성문학연구회, 문학동네, 23쪽
조재현(2009),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월인
서강여성문학연구회(2001), 한국문학과 환상성, 예림기획
캐스런 홈(2000),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권순궁(2007), 고전소설 교육과 매체, 보고사
<논문>
김문희(2002), <구운몽>의 중층적 담론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0권, 252~257쪽
박성의(2004), 사이버공간의 대리자아 아바타의 역할 유형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379쪽
손상희(2003), 사이버공간의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8쪽
신태수(2006), 구운몽에 나타난 대칭적 세계관, 한민족문학, 48집, 20쪽
유병환(2009), <구운몽>의 구조와 소설적 미학적 실상, 고전문학연구, 제35권
이강옥(2009), 구운몽의 환몽체험과 주제, 고소설연구, 제28집, 125쪽
이강옥(2007), 문학치료 텍스트로서의 <구운몽>의 가치와 가능성, 고소설연구, 제24집, 176쪽
이상구(2004), <구운몽>의 구조적 특징과 세계상, 민족문학사연구, 제25권, 192~194쪽
이주영(2002), <구운몽>에 나타난 욕망의 문제, 고소설연구, 제13집
전성운(2005), <구운몽>의 서사 전략과 텍스트 읽기, 문학교육학, 제17권
김성룡(2000), 고전 서사문학을 중심으로 본 환상의 미학적 특성 연구,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박일용(1991),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의 사회적 성격과 소설자적 위상, 정신문화연구, 통권 44호, 한국학중앙연구원

키워드

가상,   현실,   구운몽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