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희곡]스토퍼드 햄릿 로젠크랜츠(rosencrantz)와 길든스턴(guildenstern)은 죽었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PLOT&STRUCTURE

[Act 1-3]

Ⅱ. THEME

1. 삶의 불확실성, 이해할 수 없는 두려움

2. 거대한 바퀴, 계획된 흐름

3. 존재의 미약함, 정체성의 상실

4. 연극과 현실, 무의미한 경계

5. 반복과 반목, 소통의 어려움

Ⅲ. Character

1. Guildenstern

2. Rosencrantz

3. The player

4. Alfred(알프레드)

Ⅳ. LANGUAGE

1. 언어의 의사전달 기능 상실

2. 정체성의 모호함을 나타내는 말들

3. 긴 지시문

4. 주기도문의 인용

Ⅴ. SPECTACLE

1. 의상

2. 소품

3. 음악

4. 조명

본문내용

햄릿을 붙들어두기 위해 둘이 고안해 낸 방법이 바로 허리띠를 이용하여 햄릿을 저지하는 것이었다. 허리띠는 그들이 즉각적으로 생각해낸 임시방편이며 이는 햄릿을 잡는데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한다. 햄릿을 막으려 했지만 햄릿을 잡지 못하고 오히려 풀어진 허리띠로 인해 그네들의 애꿎은 바지만 흘러내려갔을 뿐이다. 우스꽝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동시에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이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계획성 있게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렇다고 정리되는 것도 아니며 단지 표류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소품이라 생각된다.
5) 우산 (a gaudy striped umbrella)
3막에서 햄릿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우산으로 가려진 저편이다. 별도의 무대 장치 없이 우산은 3막에서 엿듣는 햄릿의 존재를 감춰주는 역할을 한다. 크기가 큰 것으로 명시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충분히 햄릿을 가려줄 수 있으며 햄릿이 듣고 있는 것을 모른 채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이 대화를 진행하는데 있어 일정한 역할을 하게 된다. 화려한 외양의 우산을 선택한 것 역시 우산의 모습에 치중해 관심을 분산시켜 그 뒤에 무엇이 있는지 극중 인물이 더 신경 쓰지 않게끔 하려는 의도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6) 편지
Everything is explained in the letter, we count on that. (p. 97)
햄릿이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자신의 죽음을 명시한 편지의 존재를 알게 되는 일련의 과정은 모두 우연성에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힘과 이성으로는 어쩔 수 없는 운명과 우연 그리고 그 커다란 흐름 속에서 마치 체스판 위의 말처럼 살아가는 존재가 인간이며 거스를 수 없는 커다란 그 무엇 속에서 그저 살아가고 있음을 편지를 통하여 넌지시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햄릿과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의 운명의 향방을 바꾸어놓는 역할을 하게 된다.
7) 세 개의 큰 통(three large man-sized casks)
음악소리의 진원지이자 배우들이 배로 등장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소품으로 관객들의 주위를 환기시키고 호기심을 자극하게 된다. 이 때 배우들이 통 속에서 끊임없이 나온다고 제시되어 있는데 통의 크기만으로는 사람들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무대 바닥에 구멍을 뚫고 감춤문을 달아서 평평한 무대를 연출했다가 배우들의 등퇴장에 있어서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단, 감춘문은 3개이고 통으로 가려져 있어야 한다. 또한 해적들이 배를 갑자기 습격했을 때 소란 속에서 각각 인물들이 통속으로 숨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숨은 다음 차차 소요가 사라지자 다시 통 밖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상황을 종료시키고 다른 사건으로 나아가는 구분으로서의 기능도 일정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해적들의 소리가 사라진 뒤 통이 하나 사라지기도 하고, 처음에는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이 가운데 통(middle barrel)으로 들어갔는데 나올 때는 오른쪽 통(right-hand barrel)으로 나오는 장면이 나오기도 하는데 이렇게 통의 사라짐과 위치(통의 위치가 아니라 배우들의 통에서의 위치)의 뒤바뀜을 통해 햄릿의 부재를 시각적으로 상징한다고 볼 수 있고(통의 사라짐) 그로인해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이 계속 끝나지 않을 임무를 지닌 채 맴돌 것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
3. 음악
배우들이 등장하는 부분에 악대소리(band)가 나오는데 배우들이 악기를 들고 직접 연주하기 보다는 배우들이 등장할 때 마다 나올 수 있도록 녹음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풍부한 음색에 신나는 느낌이 가미되어 있는 음악을 고르는 것이 배우들의 등장과 어울릴 듯하다. 또한 클로디어스와 거트루드가 시중들을 거느리고 등장할 때 나팔취주(flourish)가 나오는데 이 부분은 왕과 왕비의 등장이므로 웅장하면서 장엄한 음악을 고르되 나팔취주를 끝에서 이상하게 꺾는다던지 흐릿하게 끝맺는 것도 고려해봄직 하다. 그 이유는 왕과 왕비는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을 구분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상대에게 인사하고 이야기하는데 이것을 정정하지 않고 로젠크랜츠와 길든스턴은 서로의 눈치를 보며 거기에 맞게 몸을 계속 숙여 왕과 왕비에게 예를 갖추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부분은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만들어낸다. 그리하여 음악을 통해 익살스러운 면을 강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또한 3막의 배경이 배 위임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음악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바다임을 나타내주는 바닷소리나 바닷바람 소리, 선원들의 외침소리, 삐걱거리는 갑판소리, 해적들의 등장을 알리는 요란한 소요를 담은 소리 등을 음향으로 내보내면 현장감 있는 사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낼 수 있을 것이며 관객들은 장소의 구분을 더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4. 조명
야외에서 실내로 혹은 실내에서 야외로 장면전환 할 때 조명이 매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무대의 변화 없이 조명의 밝기를 정도로 조절하여 전개되는 공간의 변화를 암시한다. 또한 공간의 변화 뿐 아니라 아침과 달빛을 연출해 내고 시간의 변화를 가리키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막과 막 사이의 변화도 암전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배우의 등장과 퇴장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친다. 종종 지시문에 footlight가 등장하는데 이렇게 footlight를 통해 조명이 배우를 향하거나 배우가 조명을 향할 때 관객은 각광을 받고 있는 캐릭터에 더 집중할 수 있고 얼굴을 통해 드러나는 심경의 변화를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리라 기대된다.
Ⅰ. PLOT&STRUCTURE
[Act 1-3]
Ⅱ. THEME
1. 삶의 불확실성, 이해할 수 없는 두려움
2. 거대한 바퀴, 계획된 흐름
3. 존재의 미약함, 정체성의 상실
4. 연극과 현실, 무의미한 경계
5. 반복과 반목, 소통의 어려움
Ⅲ. Character
1. Guildenstern
2. Rosencrantz
3. The player
4. Alfred(알프레드)
Ⅳ. LANGUAGE
1. 언어의 의사전달 기능 상실
2. 정체성의 모호함을 나타내는 말들
3. 긴 지시문
4. 주기도문의 인용
Ⅴ. SPECTACLE
1. 의상
2. 소품
3. 음악
4. 조명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5.2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