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화교 : 중국 근대화를 이끈 변화의 동력

Ⅲ. 화교의 경제력
1. 경제 장악 과정
2. 화교네트워크

Ⅳ. 세계 각국의 화교와 화교박해
1. 동남아시아
2. 북미와 호주
3. 한국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와전되어 알려진 만보산사건은 전국적인 중국인 배척 및 습격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로 발전했다.
당시 화교들이 많이 밀집되어 있던 인천 지역을 시작으로 중국인 배척 및 습격사건이 발생했다. 각 중국인 거류지는 그들의 집을 향해 돌을 던지는 군중들로 인해 소란스러웠고, 중국인 음식점과 이발소 습격 등 수많은 중국인들이 구타를 당했다. 인천 경찰서의 주도하에 폭행자의 검거와 시위해산이 되었으나 역부족이었다. 이들은 교통을 차단하여 경찰의 접근을 막았으며, 해산된 군중들은 부천까지 몰려가 중국인을 습격했다. 인천에서 시작된 중국인 배척사건은 전국으로 확대되었는데 서울, 평양, 사리원, 개성, 남포, 원산, 공주 등 주요도시 전반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평양은 그 정도가 매우 극심했던 곳으로 폭행뿐만 아니라 방화, 가옥파괴, 상품파손 등 백여 명이 죽고 수 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사보혜, 「만보산사건과 인천 화교배척사건 연구 : 재만한인과 재한화교의 관계사적 입장에서」, 인하대학교, 2009
한국전쟁 이후 한국 정부가 외국인의 입국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화교의 한국 유입은 종식되었다. 이승만 정권은 화교의 경제역량을 견제하고 제한하는 갖가지 정책을 시행하였고, 박정희 정권은 한국 공업화 과정에서 화교 자본을 철저히 배제했다. 이러한 한국사회의 갖가지 제약과 차별, 그리고 변화하는 경제적 조건들에 대한 적응의 실패는 화교의 재이주를 초래했다.
Ⅴ. 결론
중국 내부의 인구 급증으로 인한 토지의 부족과 해외시장의 노동 수요 급증은 ‘화교’라는 해외 이주 중국인을 낳았다. 이들은 지역네트워크를 발전시켜 화교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현지의 경제력을 장악해 나갔고 그들의 자본을 기꺼이 모국의 근대화를 위해 투자했다. 그러나 이들의 모국을 향한 애정은 중국 정부의 필요에 따라 이용당했고, 동시에 현지에서는 동화라는 명목 하에 상당한 박해를 당했다. 그들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엄청난 부의 장악은 현지인들로 하여금 화교에 대해 ‘일자리를 빼앗는 거머리 같은 존재’, ‘몰아내버려야 할’ 존재로 인식하게 하였다. 또한 제국주의라는 시기와 맞물려 현지인들의 내셔널리즘과 화교의 내셔널리즘이 부딪힐 수밖에 없었고, 화교들은 현지에 적극적으로 동화되고 싶어도 뜻대로 되지 않았다. 우리들 사이에서 흔히 쓰이는 ‘짱깨’, ‘떼놈(되놈)’ 등의 표현은 우리가 화교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해 잘 보여주는 단어이다. 최근 한 토크쇼에서 화교출신으로 잘 알려진 연예인이 출연하여 데뷔 초 신인상을 수상했을 때 화교출신에게 왜 상을 주느냐는 말을 들었다며 국적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또한 그동안 빈번하게 발생한 외국인 노동자들의 범죄 행위들로 인해 해외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중화경제권 계속해서 거대하게 성장함에 따라 화교 자본을 유치하려는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순은 19세기 화교가 본격적으로 등장할 때부터 계속되어 온 것이다. 여전히 화교의 국적에 대한 논란은 진행 중이고 그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화교 스스로 어떻게 자신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지인 아니면 외국인’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는 화교의 정체성 인식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오랜 시간의 동반자로서 화교를 소수민족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진아, 문명제국에서 국민국가로, 창비, 2009
박경태, 그들의 눈으로: 화교들이 느끼는 한국사회의 차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2004.6, 411-415
박은경, 논문 : 태국, 인도네시아 및 한국 화교의 Ethnic Identity 문제, 한국문화인류학, 한국문화인류학회, 1979
박형기, 친디아의 비밀병기 화교&인교, 교보문고, 2007
사보혜, 만보산사건과 인천 화교배척사건 연구 : 재만한인과 재한화교의 관계사적 입장에서, 인하대학교, 2009
스털링 시그레이브, 중국 그리고 화교 : 보이지 않는 제국, 화교네트워크의 역사, 프리미엄북스, 2002
윤인진, 이유선, 인도네시아의 민족관계 화교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45(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2.6 227-274
최승현, 화교의 역사 생존의 역사, 화약고, 2007
홍재현, 인도네시아 화교사회 형성과 반화교폭동에 대한 연구, 중국인문과학 47, 중국인문학회, 2011.4, 401-419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2.14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