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에서의 메타포 (부르크하르트, 호이징가, 츠바이크, 벤야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에서의 메타포 (부르크하르트, 호이징가, 츠바이크, 벤야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본문
1.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 1818~1897)

2. 호이징가(John Huizinga, 1872~1945)

3. 츠바이크(Stefan Zweig, 1881~1942)

4.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

5. 이미지 사용의 주의점

맺음말

본문내용

로운 역사를 끌어내려했다. (심지어 그는 파리의 먼지까지 연구했다).
몸메 브로더젠은 “벤야민의 저술들은 어떻게 한 개인이 문화사적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현재를 파악하게 되는가를 쓰는 책들마다 매번 보여 준다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평가하고 “그의 관점에 따르자면 한 인간이 ‘어떤 의견’, 관념 혹은 확신을 가지고 있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는 이 의견, 관념 혹은 신념이 그에게서 무엇을 이끌어 내는가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최상의 생각들이라 해도 ‘그것으로부터 유용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아무런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라는 결론을 내린다.
정치적인 실천을 이끌어 내는 역동적이고, 포착하기 어렵고, 묘사하기 힘든 벤야민의 이미지에 대한 표상이, 호이징가의 머리 속을 맴돌았던 전통적인 방식의 이미지창조에 비해 훨씬 더 강한 설득력을 내뿜고 있다.
5. 이미지 사용시 유의점
우선 고전적인 이미지 개념을 모범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오늘날의 역사가는 이를테면 19세기에 해당될 법한 전쟁을 통한 충돌이나 혹은 역사적 파노라마의 이미지가 아니라 오히려 콜라주의 형태에 가까운 이미지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콜라주는 다양한 재료들로 만들어지며 회화 중심이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시각도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기형의 중간 여백이 존재하고, 틀 전체가 파괴되어 있다. 오늘날의 역사가들이 사용하는 이미지들은 바로 이러한 자유분방하고 진취적인 회화작품들인 것이다. 과거의 전통적인 개념에 의지하여 역사를 새롭게 쓴다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이러한 관념들은 파기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마르크스의 메타포는 비유를 너무 많이 사용함으로써 회화적 사고의 통일성을 저해한 메타포들이다.
"프랑스혁명이라는 거대한 빗자루 (……) 과거시대의 모든 잔해들을 깨끗이 쓸어버리고 이와 동시에 근대국가라는 건축물의 상부구조가 성립하는데 방해가 되는 사회적인 토대를 그것의 마지막 장애물에 이르기까지 깨끗하게 청소했다."
"(……) 좀 더 높은 단계의 새로운 생산관계는 이러한 생산관계의 물질적인 존재조건들이 낡은 사회의 품속에서 알을 깨고 나오기 전까지는 절대로 성립하지 않는다"
서서히 전복되는 상부구조
건축물은 뒤집어지지 않으며, 오로지 넘어질 뿐.
알을 부화시키는 모체의 품
모체의 품속에서 알이 부화되지는 않으며 오로지 알을 품을 수 있을 뿐.
폐허의 잔재를 깨끗이 쓸어버리는 빗자루
빗자루로 폐허의 잔재들을 쓸어 내는 것은 불가능하며 오로지 먼지, 부스러기 조각, 조그만 쓰레기들을 쓸어 낼 수 있을 뿐.
이들은 잘못된 메타포는 아니지만 마르크스 자신이 의식적으로(혹은 무의식적으로) 이미지의 부분들이 서로 잘 들어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조망의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조망성이 방해받는 것이다.
맺음말
지금까지 문화사적 역사가들이 역사학에서 메타포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오늘날은 흔히 ‘이미지의 시대’라 불린다. 점점 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소통하거나 이미지를 통해 사고하는 일에 익숙해진다. 이미지는 텍스트보다 쉽고 강력하다. 이미지는 문자 텍스트 이상으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는 이미지는 사료이자 역사를 기록하는 주요한 수단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메시지를 올바로 해석하고 역사학에서 메타포를 적절히 활용하려면 문화적 코드에 익숙해져야 한다. 이때 이미지가 어떤 역사적 사태에 대한 유일하고도 결정적인 진술이 되어서는 안 된다.
참고문헌
한스 위르겐 괴르츠(최대희 옮김),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뿌리와 이파리, 2003
요한 갈퉁 · 소하일 (노영숙 옮김), 『미래를 보는 눈 거시사의 세계』, 우물이 있는 집, 2005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6.10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