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개념, 공간 위계, 공간과 정보통신공간, 공간과 도시공간, 공간과 축제공간, 공간과 회화공간, 공간과 수변공간, 공간과 삼차원적 공간, 공간과 공간설정, 공간과 공간개념, 공간과 공간체계, 공간과 공간사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간 개념, 공간 위계, 공간과 정보통신공간, 공간과 도시공간, 공간과 축제공간, 공간과 회화공간, 공간과 수변공간, 공간과 삼차원적 공간, 공간과 공간설정, 공간과 공간개념, 공간과 공간체계, 공간과 공간사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간의 개념

Ⅲ. 공간의 위계

Ⅳ. 공간과 정보통신공간

Ⅴ. 공간과 도시공간

Ⅵ. 공간과 축제공간

Ⅶ. 공간과 회화공간

Ⅷ. 공간과 수변공간

Ⅸ. 공간과 삼차원적 공간

Ⅹ. 공간과 공간설정
1. 현실적응공간과 실직자의 방황 문제를 다룬 작품
2. 현실탈출공간과 망명자들의 슬픔의 문제를 다룬 작품
3. 현실세태공간과 지식인의 일상을 다룬 작품

Ⅺ. 공간과 공간개념

Ⅻ. 공간과 공간체계

ⅩⅢ. 공간과 공간사옥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것으로 접근(provimity), 분리(separation), 순서(order), 포위(enclosure)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며 열려진 모양(open figure)과 닫혀진 모양(closed figure)을 구별하는 능력이다. 투사적 공간관계이해는 상, 하, 전, 후, 좌, 우의 방향에서 물체를 볼 때 보는 위치에 따라 물체의 모양은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즉, 다른 관점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이것은 공간조망에 대한 인식을 갖는 시초가 될 수 있다(Nigl & Fishbein, 1974). 유클리드식 공간개념은 모든 공간적 관계는 보는 이의 시각과는 무관하게 유지되며, 여러 각도에서 보는 사물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iaget는 어린이들이 공간에 대해 갖고 있는 개념과 공간관계를 포함한 지적 작용을 수행해 나가는 능력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였다. 공간조망 능력에 관한 연구는 Piaget & Inhelder(1965)의 세 산 실험(Three Mountains Experiment)에서 비롯된다. 이 실험은 4-12세까지 100명의 아동에게 모양이 다른 3개의 산모형이 놓인 장면을 보여주고 피험자와는 다른 위치에 앉은 인형에게 보여지는 산의 모형을 추론하도록 하였다. 그 실험결과 공간조망능력에 대한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연속적인 단계를 제시하였다.
제 1 단계 : 4-6세 경으로 타인도 자기와 같게 보인다고 생각한다.
제 2 단계 : 6-7세 경으로 자기 중심성을 벗어나기 시작한다.
제 3 단계 : 7-9세에 해당되는데 이때의 아동들은 산, 들간의 관계가 관찰자(인형)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한다.
제 4 단계 : 9-10세가 되면 주어진 위치에서의 타인의 조망을 모두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iaget를 중심으로 한 연구보고서는 공간에 대한 완전조망이란 9세 이후에 가서야 완성된다고 보고하였다(Podweel, 1963; Laurendeau & Pinard, 1970; Houssidas, 1965; Cox, 1978). 그러나 Shantz와 Watson(1970), Masangkay와 동료들(1974) 및 Broke(1975), Marvin와 동료들(1976)에 의하면 실험과제를 친숙한 장난감으로 바꾸었을 때와 반응양식을 어린이가 반응하기 쉽도록 바꾸었을 때 3-4세의 유아도 다른 사람의 조망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아동의 조망능력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생각해 볼 때, 취학 전 아동들은 반드시 자기중심성에 묶여 있는 것만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Flavell(1981)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는 과제를 더욱 단순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 공간과 공간체계
시적 체험에 있어서의 시각적 이미지를 다루는 태도에 있어서도 음성학적인 것과 음운론적인 두 방법의 차이 같은 것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즉 그것은 구조론적인 것과 원자론적인 것의 대립이다. 파이크는 이것을 에믹과 에틱으로 구분하였다. 에믹 접근법에 있어서 개별적 사상은 언제나 전체의 부분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 때의 전체란 그 부분들이 관계되어 있고 거기에서 그것들의 최종적인 의의를 부여받는 것을 의미한다. 에틱 접근법이란 이미지의 선명성이나 완연성을 따지려는 것을 의미한다. 에틱 층위에서 보던 시각 이미지를 에믹 층위에서 관찰한다는 것은 결국 자연적인 구체적 감각이나 그 심리를 공간이라는 하나의 체계로, 즉 기호형식으로 바꾸어 놓는 일이다. 그러므로 수직/수평을 기축으로 상/하, 중심/주변, 내/외, 전/후, 좌/우 등 이항대립의 이산적인 공간은 그 차이를 통해 하나의 기호현상(semiosis)을 자아내게 된다. 1차언어는 이렇게 하여 2차체계의 공간언어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간체계를 만들어 내고 그 텍스트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화자라는 시점공간이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상/하, 좌/우, 내/외, 좌/우 같은 이항대립은 자연의 체제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구조화하는 말하는 주
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공간기호는 언표가 아니라 언어행위로서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ⅩⅢ. 공간과 공간사옥
공간사옥은 김수근의 설계로 1971년 6월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구관이 착공되었고 1975년 5월 신관의 증축이 이루어져 1977년 4월 신관이 완공되었으며 후에 신관과 구관을 잊는 bridge를 4층에 두었다. 현재는 장세양이 설계한 지상 5층 2층의 또 다른 증축 건물이 완공되었다.
공간사옥은 구관의 경우 3.6m, 3m의 모듈을 가지며 3줄의 벽체가 조적조 구조로 남북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고 신관은 기둥식 구조와 조적식 구조를 혼합하여 6.6m, 2.4m의 스판을 기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관을 증축하면서 구조상 구관과의 연결을 위하여 생긴 너비 3.3m의 구조체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중정을 가로지르며 구관쪽 회의실의 북쪽창을 막음으로서 결과적으로 구관에서 외부중정과의 시각적 연결을 차단한다. 김수근 작품을 건물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회벽돌, 붉은 벽돌의 시대 등으로 나누는데 공간사옥에선 구관의 경우 전 벽돌을, 신관에선 검을 벽돌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벽돌 재료의 사용은 70년대 초에 대두된 ‘자갈리즘’과 연관을 갖는다. human scale과도 관련을 갖는 잘게 쪼갠다는 의미의 우리말에서 생긴 이 의미는 벽돌을 사용함으로서 공간의 문제만이 아닌 공간을 둘러싸는 재료의 선택에서도 일관되게 적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김창언, 도시축제의 장소특성에 따른 공간유형 및 네트워크 구축 개념 설정에 관한 연구, 2011
박영국, Cezanne에 있어서 회화평면상의 삼차원적 공간의 실현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1974
이근택, 선을 통한 회화공간의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0
정인하, 공간사옥의 형태와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 1994
최병두,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사회공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 2006
허윤성, 도시 내 수변 공간 경계에 대한 재해석, 한양대학교, 2011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