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태양, 한라산, 물, 나비, 한라산 고도, 태양 고도, 물 고도]고도와 태양, 고도와 한라산, 고도와 물, 고도와 나비 분석(고도, 태양, 한라산, 물, 나비, 한라산 고도, 태양 고도, 물 고도, 남중고도, 나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도, 태양, 한라산, 물, 나비, 한라산 고도, 태양 고도, 물 고도]고도와 태양, 고도와 한라산, 고도와 물, 고도와 나비 분석(고도, 태양, 한라산, 물, 나비, 한라산 고도, 태양 고도, 물 고도, 남중고도, 나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도와 태양
1.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의 길이
2. 계절의 변화와 낮의 길이․ 남중 고도․ 월 평균 기온과의 관계

Ⅲ. 고도와 한라산

Ⅳ. 고도와 물
1. 물리적 방법
1) stripping
2) 여과
3) 증류
4) 부상
5) 역삼투압
6) 흡수
2. 화학적 방법
1) 활성탄 흡착법
2) 응집
3) 생물학적 오니 처리과정에서 인 제거
4) 화학적 산화
5) 환원
3. 생물학적 처리법
1) bacteria 동화작용법
2) 질산화-탈질소법

Ⅴ. 고도와 나비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Hesperiidae) 10종]의 고도에 따른 분포를 조사하였다.
호랑나비과(Papilionidae)와 흰나비과(Pieridae)의 분포고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두 과의 종들은 모두가 저지대에서부터 분포하고 있었고, 이들 중 분포 고도의 범위가 0~1950m로 가장 큰 종들은 호랑나비과(Papilionidae)에서는 산호랑나비(Papilio machaon)와 호랑나비(Papilio xuthus)이며, 800고지 이하에 분포하는 청띠제비나비(Graphium sarpedon)는 녹나무(Cinanomum camphora),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새덕이(Neolitsea aciculata) 등의 식물의 분포와 관계가 깊고, 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의 식이식물로는 탱자나무(Ponxcircus thrifoliata), 머귀나무(Zanthoxylum ailanthoides) 등이 있는데, 나비의 분포고도와 식물의 분포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주도의 나비 100종을 과별로 정리하여 Fig. 8에 나타내었다. 종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네발나비과(Nymphalidae)였고, 부전나비과(Lycanidae)와 뱀눈나비과(Satyridae)의 순 등으로 나타났다. 문헌으로만 확인된 종 수 또한 네발나비과(Nymphalidae)에서 가장 많은 6종으로 조사되었다.
박(1968)에 의해 제주도산으로 기록된 은판나비(Mimathyma schrenckii)와 대왕나비(Sephisa princeps)의 분포 기록이 신빙성을 갖고 있다면, 제주도에서의 분포가 불분명한 기생나비(Leptidea amurensis), 멧노랑나비(Gonepteryx rhamni), 작은녹색부전나비(Neozephyrus taxila), 풀표범나비(Speyeria aglaja clavimacula), 별박이세줄나비(Neptis pryeri), 왕세줄나비(Neptis alwina), 엘알붐나비(Nymphalis L-album samurai), 공작나비(Inachis io), 오색나비(Apatura ilia), 번개오색나비(Apatura iris), 알락그늘나비(Kirinia epimenides), 왕그늘나비(Ninguta schrenckii), 부처나비(Mycalesis gotama), 봄처녀나비(Coenonympha oedippus), 시골처녀나비(Coenonympha amaryllis), 왕팔랑나비(Lobocla bifasciata), 멧팔랑나비(Erynnis montanus) 등도 앞으로 제주도에서 채집될 가능성은 있다고 추론된 바가 있다(김과 홍, 1991).
한편 남방남색꼬리부전나비(Narathura japonicu)는 과거에 원산에서만 기록된 바 있는 종인데 최근에 제주도에서 분포가 확인된 종이다(Chung and Kim, 1998).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제주도산 나비를 좀더 심층적으로 조사한다면 지금까지 의심받아왔던 종은 물론이고 현재까지 기록되지 않은 종도 채집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강태진(2002), 한라산 고도에 따른 바람의 구조변화, 기상청
김주희(2011), 현직교사들의 태양의 고도에 대한 유년적 개념, 전주교육대학교
김수귀 외 3명(2011), 물 재이용을 위한 고도산화공정(오존)의 효과 검토, 한국물환경학회
김도성(2008), 먹이식물 및 온도, 고도, 천적 등에 따라 나뉘어지는 한반도 나비 분포, 미디어사이언스
김상혁(2000), 제주도산 나비류의 계절 및 고도에 따른 분포 양상, 제주대학교 과학
교육연구소 아카데미서적(2011), 물의 특성과 고도 이용기술 : 농업·식품·환경·의료분야응용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