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현미경, 광학현미경 정의, 광학현미경 종류, 광학현미경 구조, 조직관찰실험, 광학현미경 한계]광학현미경의 정의, 광학현미경의 종류, 광학현미경의 구조, 광학현미경의 조직관찰실험, 광학현미경의 한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학현미경, 광학현미경 정의, 광학현미경 종류, 광학현미경 구조, 조직관찰실험, 광학현미경 한계]광학현미경의 정의, 광학현미경의 종류, 광학현미경의 구조, 광학현미경의 조직관찰실험, 광학현미경의 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광학현미경의 정의

Ⅲ. 광학현미경의 종류
1. 쌍안해부현미경(stereo dissecting microscope)
2. 일반현미경(general microscope)
3. 수평현미경(horizontal microscope)
4. 원심현미경(centrifugal microscope)
5. 자외선현미경(ultraviolet microscope)
6. 형광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e)
7. 편광현미경(polarization microscope)
8. 위상차 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e)

Ⅳ. 광학현미경의 구조

Ⅴ. 광학현미경의 조직관찰실험
1. 준비물
2. 이론
3. 실험 절차
1) Mouting
2) SiC paper(200, 600, 1000, 2000)polishing와 Al2O3 1μmicropolishing
3) etching(Nitarl)

Ⅵ. 광학현미경의 한계
1. 사진술의 경우
2. 광학현미경의 경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료를 수집하면서, 현미경에 대한 참고문헌으로 이해를 하기 힘들었는데, 카메라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읽고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러므로 카메라와 관련된 자료를 먼저 살펴보고, 이를 metallurgical microscope 와 관련시켜 알아보겠다.
1. 사진술의 경우
렌즈의 초점이 특정 거리에서 한 물체에 맞춰지면, 그 특정 거리에 있는 다른 모든 물체들도 선명하게끔 초점이 맞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렌즈의 초점이 맞춰진 특정 거리가 아닌 다른 거리에 놓여진 물체들(특정거리의 안쪽이든 바깥쪽이든 상관없이)은 초점이 맞지 않아야 하지만, 사람의 눈은 약간이라도 덜 선명한 것을 알아차릴 만큼 예민하지가 않다. 따라서 초점이 맞춰진 거리의 앞뒤의 약간의 오차를 가진 선명함을 가진 물체들까지도 초점이 맞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사이의 공간을 depth of field라 부른다.
아래의 사진을 살펴보자. 분명 우리는 정확히 초점이 어디에 잡혔는지 딱 한점을 짚기가 곤란한 것을 알 수 있다. 분명 정밀하게 만들어진 렌즈라면, 한점의 초점을 가져서 분명 초점이 선명하게 맞는 곳은 한곳으로 나와야 되나, 앞서도 말했듯이 우리 눈은 그 지점을 정확히 찾아 낼만큼 예민하지 않아서 우리에겐 초점이 맞아 보이는 것이다.
2. 광학현미경의 경우
광학현미경에서의 depth of field는 카메라의 예와는 차이가 있으나, 개념적으로 이해하기에 카메라의 예가 큰 도움이 된다. 광학 현미경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관찰의 대상이 되는 plane II가 선명하게 초점이 맞춰진다면-다시말해 plane II에 정확히 이상적(ideal)으로 초점이 맞춰진다면- 이 면으로부터 -Δz 로부터 +Δz 까지의 공간에서의 plane들은 image plane II’에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선명함을 가지고서 기록이 된다-혹은 관찰이 된다. 이 구간 (즉 2Δz구간)을 depth of field 라 부른다.
depth of field는 적절한 과정을 거치면 다음과 같은 formula를 얻을 수 있다.
A : numerical aperture(개구수)
이것은 depth of field가 numerical aperture(A) 와 wavelength(λ)에 의존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만약 개구수가 작아진다면, 그만큼 depth of field가 넓어져서 초점이 많이 맞아떨어져 좋을 것 같지만, 사실 numerical aperture가 줄어든다는 사실 자체가 상의 선명도를 흐트러트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반대로 개구수를 넓히게 된다면, exponential하게 depth of field가 줄어들게 될 것인데, 다음의 사진이 그 현상을 잘 설명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적절하게 depth of field를 얻으면서 상의 선명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scanning이 있다. 좁은 구역의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얻게 된다면, 그 일을 여러 번 반복하여(즉 scanning 기법을 이용하여) 선명하고 넓은 영역의 이미지를 얻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안 외 4명 -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선표준물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2009
고선아 - 근접장 광학 현미경 제작 및 소멸파 측정, 한양대학교, 2003
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정책실 원천연구과 - \'광학현미경\'으로 나노입자 성장과정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 2011
박정근 - 근접장 광학 현미경 제작 및 미세구조의 근접장 특성평가, 연세대학교, 2002
박준도 - 근접장 주사 광학현미경의 제작, 호남대학교, 2007
정해진 외 6명 - 광학현미경,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개개 대기입자의 흡습성과 화학 조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2010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1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