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백두대간 정의, 백두대간 등장, 백두대간 코스, 백두대간 비교, 백두대간 과제]백두대간의 정의, 백두대간의 등장, 백두대간의 코스, 백두대간의 비교, 향후 백두대간의 과제 분석(백두대간, 코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두대간, 백두대간 정의, 백두대간 등장, 백두대간 코스, 백두대간 비교, 백두대간 과제]백두대간의 정의, 백두대간의 등장, 백두대간의 코스, 백두대간의 비교, 향후 백두대간의 과제 분석(백두대간, 코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백두대간의 정의

Ⅲ. 백두대간의 등장

Ⅳ. 백두대간의 코스
1. 백두산
2. 두류산(頭流山)
3. 금강산(金剛山)
4. 설악산(雪嶽山)
5. 오대산(五臺山)
6. 태백산(太白山)
7. 소백산(小白山)
8. 속리산(俗離山)
9. 덕유산(德裕山)
10. 지리산(智異山)
11. 한라산

Ⅴ. 백두대간의 비교

Ⅵ. 향후 백두대간의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렸다. 2) 산맥은 강에 의해 여러 차례 끊기고 3) 실제 지형에 일치하지 않는, 인위적(지질학적)인 선다. 이 밖에 앞에서 언급한 산맥체계가 지질학에 바탕을 두고 있음으로 해서 발생하는 현실과의 괴리와 땅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도 기억해 둘 일이다.
우리가 백두대간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첫째로, 백두대간은 과거는 물론이고 현재까지 이 땅에서 이루어진 지리적 요소와 관련된 모든 문화를 이해하는 핵심이다. 역사, 지리, 경제, 국방, 사회, 음악, 미술, 기상 등 한국학과 관련된 사실이나 현상들은 현재의 산맥 체계로는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이미 언급한 대로 현재의 산맥 체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선을 볼 수 있는 것처럼 그어놓은 가상의 선이기 때문에 현실에 적용할 경우 문제가 생기게 된다. 단지 이제까지는 그것을 무시하거나 모르고 있었을 뿐이다. 백두대간이라는 자연 인식 체계를 통하여야만 우리 문화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둘째로,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이 개발이나 착취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의 대상임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된다. 산천은 살아있는 존재로서 사람과 함께 교감하고, 백두산을 한 뿌리로 하는 살아있는 이 땅에서 살아간다는 사실을 배우게 된다면, 현재와 같은 무조건적인 인간위주의 개발 논리는 우리 곁에서 자취를 감출 것이다. \'살아있는 땅\'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개발을 한다면 얼마든지 사람과 자연이 함께 할 수 있고, 그러면 우리의 삶과 정신이 훨씬 풍요롭고 맑아질 것이다.
Ⅵ. 향후 백두대간의 과제
현행 산맥체계와 백두대간 체계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지하자원 조사 등 지질구조는 산맥체계를 활용하고 하천, 수계 등 지형관련 사항은 백두대간체계를 활용하는 방안 등을 신중히 연구검토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백두대간 체계를 적용 가능한 부문에 우선 적용문제,(국토계획과 산지계획, 수계연구, 기타 실생활과 밀접한 부문 등)
둘째, 교과서, 지도 등에 수록하는 방안을 구축문제,
셋째, 합리적 보전을 위한 영역 설정문제,
넷째, 훼손지역을 보존, 복원문제,
다섯째, 백두대간체계 중 정맥체계 재정립 문제,
→ 한북 한남정맥사이에(차령산맥 위치) 상당한 길이와 중요성을 가지는 산지체계의 인정여부와 정맥의 하위체계로 지간, 지맥 등의 설정문제, 한남금북정맥(한강수계와 금강수계의 분수계) 등 겹침 부문 정리방안 등이 해당된다.
여섯째, 통일에 대비, 북한지역 백두대간 연구문제,
→ 북한 지리학계의 동향을 살펴, 우리나라 산맥체계와의 차이점 등을 인식하여 통일 후에도 혼란이 없도록 미리 조치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 홍보문제,
→ 1천년을 이어져 온 백두대간의 상징성과 선조들의 자연관, 일제잔재 청산, 국가정서 등 중요성에 대한 홍보계획과 나라사랑, 국토사랑과 호연지기를 기르는 국토 체험장으로 활용하는 계획을 시행해야 한다.
여덟째, 백두대간 보존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문제,
아홉째, 백두대간 보존단체 설립과 백두대간 보존 복원사업을 위한 기금조성, 국민운동 시행 문제 등이 해결과제로 남아있다.
참고문헌
김의경(2010), 백두대간 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육상 포유류상, 국립공원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2010), 백두대간, 자연의 역사가 빚은 위대한 유산,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
유기준(2002),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 수립을 위한 접근, 한국환경생태학회
이호경(2000), 국토개발과 백두대간, 경원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이임균 외 1명(2005), 백두대간의 생태적 관리방안 수립 필요성, 국립산림과학원
홍성만(2008), 백두대간보존을 둘러싼 다차원 갈등과 합의형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