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공룡멸종설, 공룡발자국, 화석, 덕명리]공룡의 정의, 공룡의 생식, 공룡의 멸종설, 공룡발자국의 분류, 공룡발자국의 화석, 공룡발자국의 관찰, 덕명리의 공룡발자국 사례, 진주 상촌리의 공룡발자국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룡, 공룡멸종설, 공룡발자국, 화석, 덕명리]공룡의 정의, 공룡의 생식, 공룡의 멸종설, 공룡발자국의 분류, 공룡발자국의 화석, 공룡발자국의 관찰, 덕명리의 공룡발자국 사례, 진주 상촌리의 공룡발자국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룡의 정의

Ⅲ. 공룡의 생식

Ⅳ. 공룡의 멸종설
1. 운석 충동설
2. 해수준 저하설(해퇴설)
3. 화산 활동설
4. 기온 저하설
5. 그 밖의 멸종설
1) 종의 노화설
2) 알칼로이드 중독성
3) 2600만 년 주기설
4) 태양계의 섭동설

Ⅴ. 공룡발자국의 분류

Ⅵ. 공룡발자국의 화석

Ⅶ. 공룡발자국의 관찰

Ⅷ. 덕명리의 공룡발자국 사례

Ⅸ. 진주 상촌리의 공룡발자국 사례
1. 제목
2. 발굴동기
3. 산출지역의 위치와 지질
4. 발굴 성과 및 학술적 가치
5. 발굴과 복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함안층 사암에서 많은 새발자국 화석과 공룡화석이 보고되어 있다. 함안층의 층서적 위치를 간단히 요약했다.
조사지역의 지층은 전술한 경상누층군 지층 중 하양층군의 함아층에 해당하며, 함안층 가운데서도 중하부 정도에 해당한다. 함안층은 붉은색의 이암과 응회질 사암의 반복된 협재가 특징인 지층으로, 조사지점 역시 동일한 양상의 암석구성을 갖는다.
조사지역에 노출된 40여m 두께에 이르는 퇴적층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암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 지역의 퇴적층은 크게 중립 내지 세립질사암, 이막을 갖는 세립질사암, 세립질사암과 이암의 두꺼운 엽호층, 세립질 사암과이암의 얇은 엽호층, 이암 및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퇴적층들의 색깔은 대체적으로 붉은색이 우세한 가운데에 녹색 내지 녹회색이 교호되는 양상을 띈다. 노출된 퇴적층의 하부는 수십cm의 두께로 발달한 세립질 사암이 지배적이며, 상부는 세립질사암과 이암의 엽호층이 우세한 양상을 보인다.
사암층은 일반적으로 뚜렷한 침식 기저면을 가지며 상향 세립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사암층에서는 평행층리, 사층리, 연흔이 흔히 관찰되머, 일부 세립실 사암층에는 생란작용으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는 얼룩구조가 나타난다. 사암층 위에 점이적인 경계를 가지며 덮고 있는 이막 및 이암의 표면에는 연흔과 건렬구조가 흔히 발달되어 있으며, 여러 유형의 흔적화석, 침식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표면구조, 빗방울자국 등이 보존되어있다. 한편 이들 이암층내에서 하산동층이나 칠곡층의 이암 내에 흔히 발달되어있는 석회질 단괴는 관찰되지 않는다.
조사지역의 퇴적층은 중생대 백악기 당시 충적선상지, 충적평원 및 호수 등의 환경으로 구성된 경상분지에 속하는 퇴적층이다. 이상과 같이 조사지역의 퇴적학적 특징은 당시 평원을 흐르는 층상범람에 의해 퇴적되었음을 시사한다. 이암층의 표면에 건렬이 흔히 발달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퇴적 속도가 비교적 빨랐음을 시사하여 준다. 이처럼 석회질 고토양이 지배적으로 발달된 하산동층과는 달리 석회질 고토양의 발달이 없었던 이유는 당시 기후가 비죠적 습윤했음을 지시한다. 결론적으로 이 지점은 당시 퇴적환경이 충적평원의 하류지역이 아니라 충적선상지 하단부 주변에 위치한 망상평원의 한 지점이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4. 발굴 성과 및 학술적 가치
(1) 초소형 수각류 3 종과 조각류 발자국화석과 물갈퀴새 발자국 1 점 및 다수의 퇴적구조 등 총 16 점을 발견하였다. 3종 모두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은 종으로서 보존 상태가 완벽하여 육식 공룡 연구 및 이해를 돕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가장 왼쪽 기둥에 공룡화석을 표시한 층준에서 화석을 발굴하였다.
(2) 화석을 포함하는 4x5m 면적의 성층면 위에서 화석을 확인하였다.
(3) 경상분지 남서부의 함안층 층서 지질 자료 획득.
함안층의 층서 및 지질은 횡적이 변화가 심하여 이미 상세하게 연구가 진행된 분지 중앙부와는 큰 차이가 있다. 이번 조사로 인하여 서부 경남일대에 분포하는 함안층의 지질과 층서에 관한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5. 발굴과 복원
발굴은 토사에 묻힌 매장문화재의 발굴방법과는 달리 암편 또는 지층사이에 있는 화석을 찾아내야하므로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화석의 회수율을 높이고 기계적 파손을 예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난점이 있다.
발굴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① 한 층을 중장비로 뜯어내면서 새롭게 나타나는 성층면을 깨끗이 한 후에 정밀 조사
② 화석이 발견되면 화석포함 성층면을 확장하면서 조사범위를 확대하여 조사
③ 화석표면을 물을 이용하여 씻어내고 정밀계측하고 기록함.
④ 표면에 생긴 흠집은 충전제로 막고, 전 표면에 실리콘을 2-3회 바른다.
⑤ 실리콘이 완전 건조된 후에 유리섬유를 넣은 FRP 수지를 몇 차례 바른다.
⑥ 굳어진 FRP 수지는 떼어내어 실험실로 가져와서 화석을 복제한다.
이상은 발굴이 힘든 경우에 시행하는 방법이며 화석의 가치가 아주 클 때는 화석 자체를 떼어내서 운반해 오는 경우도 있다. 이 화석의 경우에는 복원을 예상하여 직접 떼어내었다. 이때 ‘발굴’의 의미는 화석을 발견하고 이를 떼어내는 작업까지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복원은 판상으로 떼어낸 총 4x5m 면적의 slab에 한정하여 시행하였다. 전석에서 발견된 화석들은 자체로서 충분한 학술적 가치를 가지므로 복원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복원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복원을 예상한 화석인 경우 표면에 실리콘을 발라 건조시킨다.
② 5x5cm의 눈금을 넣은 방안지에 좌표 값을 넣은 후 실리콘이 굳은 면 위에 붙인다. 복원시 조각을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해서다.
③ 절리면을 따라 실리콘막과 방안지를 자른다.
④ 층은 따라 떼어낸다.
⑤ 작은 조각을 접착제로 붙여 운반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만든다. 용각류와 조각류 및 수각류가 같은 시기에 근거리에서 살았다는 증거가 뚜렷이 보인다.
⑥ 복원은 바닥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벽면에 비스듬히 고정하여 설치해도 좋다. 단 무게를 감안하여 안전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한다.
⑦ 발굴과정에서 생긴 틈은 도료를 섞어 만든 석회 등으로 메운다.
⑧ 발자국 화석이 깊이 만들어지지 않았거나 발자국 부분을 잘 드러나게 하기 위하여 발자국 자리에 수성물감을 칠한다. 발자국임자(track maker)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깔을 사용하면 좋다.
⑨ 표면을 보호하고 또 암석의 색깔이나 발자국 등 구조가 잘 보이도록 비닐아세테이트를 얇게 바른다.
⑩ 설명판을 세운다.
참고문헌
○ 백인성(2004),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 및 고환경 복원에 관한 종합연구, 부경대학교
○ 박형근 외 2명(2004), 공룡의 멸종 원인에 대한 고등학생의 생각과 대안적 가설에 대한 반응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 서승조 외 2명(2003), 진주 상촌리 공룡발자국 화석의 발굴과 복원, 한국환경과학회
○ 양승영(2001), 한국 공룡의 연구사, 한국고대학회
○ 장성재(2011), 한반도 수각류 공룡발자국의 형태학적 특징, 전남대학교
○ 폴 바렛 글, 라울 마르틴 그림, 이융남 역(2003), 공룡의 종류, 다림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