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교화, 원불교 교화 개념, 원불교 교화 조직, 원불교 교화 설교, 원불교 교화 교리]원불교 교화의 개념, 원불교 교화의 조직, 원불교 교화의 설교, 원불교 교화의 교리 분석(원불교 교화, 원불교 교화 조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교화, 원불교 교화 개념, 원불교 교화 조직, 원불교 교화 설교, 원불교 교화 교리]원불교 교화의 개념, 원불교 교화의 조직, 원불교 교화의 설교, 원불교 교화의 교리 분석(원불교 교화, 원불교 교화 조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원불교 교화의 개념
1.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교화
2. 민중지향의 교화
3. 사회적 방법에 의한 교화

Ⅲ. 원불교 교화의 조직
1. 십인일단의 조직
2. 십방세계를 응한 조직
3. 임명에 의한 피라밋식 조직

Ⅳ. 원불교 교화의 설교
1. 설교제목의 중요성
2. 효과적인 설교제목 작성

Ⅴ. 원불교 교화의 교리
1. 일원상의 진리
2. 개교의 동기
3. 최초법어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개벽시대를 현실적 상황, 역사적 상황에 바탕하고 있으며 그 과학문명의 발달이 가져오는 노예화의 병폐도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물질의 노예생활을 극복하기 위한 정신개벽에 대하여도 정신개벽이 정신력 중심, 마음안정이나 정신에 특수 능력에 획기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 도달되는 경지이다.
진리적 종교의 신앙이란 四恩 四要의 實踐이며, 사실적 도덕의 훈련은 三學 八條의 修行을 말한다. 四恩 四要의 信仰이란 단순한 감사보은의 기도가 아니라 현실을 은혜롭고 정의롭게 만드는 일이다. 三學의 修行 또한 과거시대의 도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해석과 경영능력(大小有無 是非利害)을 가지고 圓滿具足하고 至公無私하게 현실을 건설해 나아가는 힘을 말한다.
3. 최초법어
소태산 대종사가 당시 사회를 보고 사회구원의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한 최초법어의 修身의 요법, 齊家의 요법, 강자약자 진화상의 요법, 지도인으로서 준비할 요법은 원불교 교리의 원형적 성격을 담고 있다.
특히 소태산 대종사는 강자약자 진화상요법에서는 强弱의 大旨를 들어 말하면 무슨 일을 물론하고 이기는 것은 强이요 지는 것은 弱이라, 강자는 약자로 인하여 강의 목적을 달하고 약자는 강자로 인하여 강을 얻는 고로 서로 의지하고 서로 기초하여 親不親이 있나니라 … 강자는 약자에게 강을 베풀 때에 自利利他법을 써서 약자를 강자로 진화시키는 것이 영원한 강자가 되는 길이요, 약자는 강자를 선도자로 삼고 어떠한 천신만고가 있다 하여도 약자의 자리에서 강자의 자리에 이르기까지 진보하여 가는 것이 다시없는 강자가 되는 길이니라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소태산 대종사가 사회의 일체 불평등과 모순을 담고 있는 각종 양대 갈등요소를 强과 弱이라는 상징 내지 비유 개념을 통하여 사회교화의 방법을 폭넓게 거론하고 있음은 주목되는 사실이다.
이 최초법어를 석가모니 부처님의 初轉法門과 비교해 볼 때, 소태산 대종사의 구도적 관심은 개인적 문제나 우주자연에 관한 문제에 머물지 않고 당시 고통 받는 민중의 현실과 국가의 운명, 식민지 지배에 혈안이 된 국제간의 분쟁(청일, 노일 전쟁 등)을 경험하면서 개인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성자들의 교법은 大悟分上의 판단에 기초하므로 현실적 상황을 초월하는 점이 있으나, 그것이 구체적 방편으로 제시될 때는 그 역사적 사회적 상황과 깊은 연관을 갖게 된다. 소태산 대종사가 지향한 사실적 도덕이란 바로 역사성과 사회성과 실천성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Ⅵ. 결론
교화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법이 있다면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교화에 도움이 될만한 방법론의 수용은 그만큼 교화사업으로 목적하는 바를 효율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종교 교화에 있어 타종교의 교화방법론을 참조하는 일도 이러한 맥락과 상통한다. 기독교 교화론이나 불교 교화론, 아니면 유교 교화론과 같은 방법을 십분 활용하여 원불교 교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면 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본다. 그러한 면에서 유교의 교화론을 원불교 교화론과 대비시켜 연구한 것은 원불교 교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상정한 것이라 보면 좋을 성 싶다.
제종교의 교화론도 있으나 유교의 교화론에 초점을 맞춰 원불교 교화론과 대비시킨 이유는 유교 의례가 조선조부터 전통적으로 토착화되어 현재에도 우리의 삶의 한 부분으로 정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원불교 교화도 앞으로 한국사회에서 토착화되는 문제를 조심스럽게 타진해야 하리라 본다. 어느 종교 교화든 그 종교가 뿌리를 내리려면 그 사회에 이질감 없이 토착화될 수 있는 분야를 찾아서 이에 심혈을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한 일이다.
교화라는 용어에 나타나 있듯이 무조건 다른 사람을 입교시켜 교세확장으로만 볼 수 없는 것임을 본 연구에서 분명히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교화시킨다고 함을 다른 사람을 입교시켜서 우리 종교인수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이해하기 쉬우나, 보다 근본적인 교화 개념은 修身·道德의 정신을 길러주고, 예의범절을 가르쳐 주며, 나아가 敬天愛人(천인합일)의 정신을 함양하는 것도 이에 포함된다. 그러한 면에서 원불교 교화 역시 이러한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다만 여기에서 원불교의 교화 개념을 인격함양이나 도덕성 회복의 차원으로 한정시키자는 것은 아니다. 이종교인이나 비종교인 아니면 무종교인들에게 원불교 교리를 전파하고 그들을 원불교 신앙인으로 만드는 것도 일종의 교화이다. 이러한 점도 감안하여 원불교 교화방법론에서 무시할 수 없었던 유교교화의 시사점으로는 經書 교화라든가 禮樂 교화, 修齊治平 교화, 冠婚喪祭 교화를 참조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원불교 교화에 있어 앞으로 더욱 활성화시켜야 할 교화방법론으로는 道德 교화를 강화하여 중생들에게 도덕성을 부활시키는 것을 사명으로 알아야 한다. 이어서 敎書 교화를 통해 원불교 교전을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하여 법문이 무엇인가를 깨우쳐 주고 삶의 방향을 찾게 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나아가가 聖歌 교화를 통해서 인생의 삶에 있어 종교음악의 역할을 강조함과 더불어 종교적 정서가 뿜어져 나오는 성가보급에 정성을 기울이는 일도 절실하다. 이에 더하여 儀式 교화를 함으로써 인생의 생로병사에서 생겨나는 애경사 등에도 소홀함이 없이 인정이 건네는 일도 소홀히 할 수가 없다. 이러한 네 가지 교화 방법론을 적극 실행에 옮긴다면 혹 타성에 젖어 있거나 정체되어 있는 원불교 교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김영희, 원불교의 교화방법에 관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고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87
김영두, 원불교학 쟁점의 해석학적 고찰 : 교화와 교리 쟁점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8
고시용, 원불교 설교에 나타난 마음공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5
박종수, 원불교의 교세 현황과 해외교화, 한민족학회, 2008
장하열, 원불교 군 교화 전략의 새로운 모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7
한내창, 원불교 교당교화의 실태 분석,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97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