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백두산 역사, 백두산 지질, 백두산 화산폭발, 백두산 화산암류, 지질, 화산폭발, 화산암류, 화강암, 변성암, 퇴적암]백두산의 역사, 백두산의 지질, 백두산의 화산폭발, 백두산의 화산암류 분석(백두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두산, 백두산 역사, 백두산 지질, 백두산 화산폭발, 백두산 화산암류, 지질, 화산폭발, 화산암류, 화강암, 변성암, 퇴적암]백두산의 역사, 백두산의 지질, 백두산의 화산폭발, 백두산의 화산암류 분석(백두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백두산의 역사

Ⅲ. 백두산의 지질

Ⅳ. 백두산의 화산폭발

Ⅴ. 백두산의 화산암류
1. 주성분원소
2. 미량원소
3. 희토류원소(REE : rare earth elements)
4. Nd․Sr 동위원소 지구화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정과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김규한, 2000).
3. 희토류원소(REE : rare earth elements)
백두산 알칼리 화산암류의 REE 패턴은 Eu 부의 이상이 뚜렷한 화산암류(시료번호 PW2, PW6, PW10, PN4)와 Eu 이상이 나타나지 않은 화산암류(시료번호 PW1)로 대분된다. 이러한 Eu 부의 이상은 사장석의 분별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Sun and Nesbitt, 1978; Jin, 1985; Hong, 1987; 김규한, 1992; Hsu et al., 2000).
백두산 화산암류의 전체적인 REE 패턴의 특징은 LREE가 HREE에 비해 부화되어 있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며, OIB(해양섬현무암) 패턴과 유사하고, 정의 상관을 보이는 MORB(중앙해령현무암) 패턴과는 현저히 다르다.
4. NdSr 동위원소 지구화학
Nd, Sr 동위원소 분석은 일본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學)의 행성지구과학과에서 실시하였다. 140~160℃에서 분말화 된 시료를 HF와 HClO4로 분해한 후 HCl을 사용한 이온교환수지로 Sr과 REE(Nd)을 분리하였다. Nd는 HIBA(α-hydroxy isobutyric acid)용액으로 2차 분리하여 열이온화 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분석법(Dosso and Murthy; 1980, Tatsumoto et al., 1987)으로 Nd와 Sr의 동위원소비를 측정하였다. 143Nd/144Nd과 87Sr/86Sr은 각각 146Nd/144Nd = 0.7219와 86Sr/88Sr = 0.1194로 표준화하였으며 표준시료인 NBS987의 87Sr/86Sr = 0.7102322±10 이었다. 143Nd/144Nd은 La Jolla와 JNdi 값이 각각 0.511857±18, 0.512115±17 이었다.
백두산 알칼리 화산암류의 87Sr/86Sr 동위원소비는 0.70496~0.71086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나타내며, 현무암류의 동위원소비(0.70496~0.70518)는 조면암 및 유문암류(0.70841~0.71086)와 구별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동위원소비를 가지며 중성 성분이 결여된 특징을 보여준다. 한편, 143Nd/144Nd 동위원소비는 0.512562~0.512592 의 범위로 거의 유사한 값을 갖는다. 143Nd/144Nd와 87Sr/86Sr 동위원소비 사이의 관계에 의하면, 백두산의 알칼리 현무암류는 mantle array 연장선상에 도시되며 근원마그마가 맨틀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비해, 상부의 조면암 및 유문암류는 87Sr/86Sr 비가 현저히 크다. 이는 (1)하부 대륙지각 물질의 부분용융 산물이거나 (2)상부 맨틀에서 유래한 알칼리 현무암질 마그마에 하부 대륙지각 물질의 혼입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백두산 알칼리 화산암류의 주원소 및 미량원소의 변화 특성이 알칼리 현무암질 마그마의 분별결정에 따른 분화경향을 나타내어 후자의 해석을 지지해 주고 있다. 특히 Rb의 농도가 49-315ppm으로 대단히 높으며 Rb/Sr 비가 최대 118까지 대단히 크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 김영황, 백두산에 대한 여러 가지 이름과 그 유래,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 강석화, 조선 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2011
◎ 박계리 외 1명, 백두산 : 만들어진 전통과 표상, 미술사학연구회, 2011
◎ 소준섭, 백두산과 간도의 영토문제, 국회도서관, 2008
◎ 조덕현, 백두산 일대의 균류 자원,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
◎ 정치영,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1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