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개념, 불교불상 종류, 불교불상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 표현방식]불교불상의 개념, 불교불상의 종류,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교불상의 감상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개념, 불교불상 종류, 불교불상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 표현방식]불교불상의 개념, 불교불상의 종류,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교불상의 감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불교불상의 개념

Ⅲ. 불교불상의 종류
1. 여래상(如來像)
1)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
2) 비로자나불
3) 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4) 석가여래
5) 미륵불
2. 부처님의 열 가지 이름(如來十號)
1) 여래(如來)
2) 응공(應供)
3) 정변지(正遍知)
4) 명행족(明行足)
5) 선서(善逝)
6) 세간해(世間解)
7) 무상사(無上士)
8) 조어장부(調御丈夫)
9) 천인사(天人師)
10) 불세존(佛世尊)

Ⅳ.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Ⅴ.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Ⅵ. 불교불상의 감상
1. 감상주의적인 방법
2. 양식사적 방법
3. 종교적인 방법
4. 정신사적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하였다.(예.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높이 18m)
아. 고려 후기 비교적 조각 기법이 세련되고 온화한 모습의 불교가 유행하였다. 특히 14세기에는 품만한 상호와 단순하면서도 부드러운 옷 주름, 정교한 금구장식 등 고려적인 조형미가 반영된 불상의 조성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얼굴 표정과 신체 장식에서 이국적인 분위기가 짙은 불상도 유행하는 등 이 시기는 질적, 양적인 면에서 한국 불교 조각사의 새로운 부흥기라 할 수 있다.
자. 조선시대는 억불숭유정책을 지도 이념으로 더 이상 계승 발전되지 못하고 쇠퇴하였다. 초기에는 왕실이나 귀족의 비호 아래 한때 조상활동이 활발하였지만 그 이후에는 국가의 후원으로 만들어진 대작은 남기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더욱 대중화되어 서민들의 자유롭고 소박한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Ⅴ. 불교불상의 표현방식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자 불상조성은 불교미술의 중심을 이루면서 활발히 이루어진다. 인도의 간다라(Gandhara)와 마투라(Mathura) 에서 시작된 불상 형식은 불교사상의 발달과 더불어 불교 존상 전체에 걸쳐 매우 복잡하고 독특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불교문화권에서 조성된 불상들은 나름대로 가다듬어지면서 일정한 공통된 원칙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법식을 일러 조상의궤(造像儀軌)라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부처님을 표현하는 방법인 32상 80종호이다.
‘32상 80종호’ 란 부처님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부처님만이 지닌 독특한 용모 이른바 특징을 일러 말한다. 이러한 부처님 용모의 특징은 경전마다 조금씩 다르며 실제로 불상을 조성할 적에 이 특징이 다 표현되는 것도 아니다. 본래 이러한 특상관이라는 것은 인도의 베다 시대부터 있어온 관상에서 유래한다.
예컨대 부처님의 특징 중의 하나인 육계상은 산스크리트어로 우스나샤(usnisa) 라 하여 ‘머리장식을 붙일 수 있는 머리칼’ 이란 뜻이다. 따라서 출가 성도한 부처님에게 머리장식이란 있을 수 없으니 불상의 모델인 인도의 왕상귀인(王相貴人)의 모습을 빌어 나타내고 있었으며 민상투의 표현이 점차 양식화되면서 끝내는 오히려 큰 상투라는 의미를 잃어버리고 정수리에 상투처럼 산이 솟아올랐다는 육계의 의미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렇게 인도의 특상관(特相觀)이 불교에 수용되어 부처님의 위대함을 신체적 특징에서도 나타내게 된 <32상, 80종호>는 실제면에서 불상 양식의 진전에 의해 내용과 의미가 바뀌면서 끝내는 불상의 특상관으로서 불상 제작에 있어서 어떤 제작을 가하게 되어 불상만이 지니는 독특한 양상을 유지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Ⅵ. 불교불상의 감상
불교상을 보는 법(觀賞)은 시대에 따라서 다르고, 또한 개인에 따라서 제각기 다르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이 불상을 보는 방법은 옛날과 다를 것이며, 다른 나라 사람들과도 물론 다를 것이다.
이 다른 점을 체계화시켜 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감상주의적인 방법
우리나라의 옛 불교상은 우리 선인들의 피땀어린 정성으로 만든 걸작의 예술작품이자 거룩한 부처님 상이다. 따라서 이 상에는 심오한 철학이 있고 신비스러운 명상이 있으며 구원한 미소가 있어서 무한한 감동을 불러일으키게 한다는 것이다. 가령 경주 석굴암의 본존 부처님과 11면 관음보살상을 보고 감탄하여 쓴 몇 편의 명문이나 국립박물관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을 보고 그 심오한 미소에 도취하여 쓴 당대의 명문 등은 이러한 예에 속할 것이다.
2. 양식사적 방법
불교상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 만든 수법이 다르고 그 모양도 다르기 마련이다. 이것을 일정한 유형 즉 양식으로 분류하여 그 변천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여기에는 분석과 통계와 해석이라는 과학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앞의 감상주의적 방법은 일체 배격된다. 이러한 방법은 미술사학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3. 종교적인 방법
불교는 원래 마음을 닦아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종교여서 어떤 대상을 만든다는 것은 있을 수 없지만 많은 대중들을 포섭하기 위해서 그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부처님이나 보살, 나한들을 대상으로 만들어 이것을 관상함으써 그 상이 갖고 있는 32相 80種好의 좋은 德(佛格)을 체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관불법이 다시 변천하여 예불법이 생겨났다. 말하자면 부처님상에 절대적으로 귀의해서 예배함으로써 그 덕으로 자기가 바라는 소원이 성취된다는 것이다, 두 방법은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순수한 종교적인 관불법이 점에서 불교의 고유한 방법이라 하겠다.
4. 정신사적 방법
불교상은 그 형식에 따라 이름이 여러 가지로 다르다. 불상만 하더라도 석가상, 아미타상, 미륵상, 비로자나상 등 무수하며 석가상에도 항마상, 설교상, 유형상 등 가지가지여서 매우 복잡하며, 이 외에 수많은 보살, 제자, 신장상 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들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 유행의 정도가 다르다. 가령 삼국시대에는 미륵상이 유행되었고, 통ㅇ리신라 초기에는 아미타상이 크게 유행되었으며, 8세기 중엽부터는 약사여래상이, 그리고 9세기에는 비로자나불상이 유행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그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그러한 상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 사회의 시대적인 사상이 달라졌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이와 같이 불교상이라는 하나의 형의 배후에는 항상 시대정신이 깃들어 있으니 이를 통하여 당시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사회사상의 추이를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불교상을 관상한다면 과거의 불교상은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우리들의 마음에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영원한 부처님상이 될 것이 틀림없는 것이다.
참고문헌
○ 문명대(1972), 불상불탑의 보존문제 : 불교문화재와 그 보존책, 법시사
○ 이도흠(2007), 불교 철학으로 경주 지역 불상 읽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이용애(2009), 불상과 불교의식에 나타나는 수인의 비교연구, 동국대학교
○ 임석규(2007), 불교조각 : 불상에 보이는 발해 불교의 성격, 삼성그룹
○ 정영호(1999), 발해의 불교와 불상, 고구려발해학회
○ 진준현 외 1명(2008), 중국 불교조각 1500년 : 불상, 지혜와 자비의 몸, 서울대학교박물관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