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동화(전승동화)의 정의,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의, 전래동화(전승동화) 활용, 전래동화(전승동화) 감상,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표현놀이,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햇님달님,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전래동화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정의,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의, 전래동화(전승동화) 활용, 전래동화(전승동화) 감상,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표현놀이,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햇님달님,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전래동화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정의

Ⅲ. 전래동화(전승동화)의 의의
1. 전래동화의 개념
2.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

Ⅳ. 전래동화(전승동화)의 활용
1. 가치관을 형성의 목적
2. 지성 감천의 천리를 위한 목적
3. 온고지신
4. 해학, 기지의 적용을 위해
5. 상상, 공상의 신장
6. 모방 본능 충족

Ⅴ. 전래동화(전승동화)의 감상

Ⅵ.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표현놀이
1. 생활 주제
2. 주제명
1) 주제 전개 기간
2) 주제 선정의 배경
3) 주제의 목표
4) 주요 개념
3. 실태조사
1) 실태조사
2) 분석 결과 및 지도방향
4. 교재연구
1) 전래동화
2) 표현놀이
3) 전래동화와 표현놀이

Ⅶ. 전래동화(전승동화)와 햇님달님

Ⅷ.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전래동화연구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랑이도 아이들이 한 것처럼 하느님께,
“하느님, 하느님, 나를 살리시려면 썩은 동앗줄을 내려 주시고 나를 죽이시려면 새 동앗줄을 내려주세요.”
호랑이는 너무 급해서 말을 반대로 하고 말았다. 호랑이의 기도가 끝나자 호랑이에게도 밧줄이 하나 내려왔다. 호랑이도 밧줄에 매달려 하늘로 올라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호랑이의 밧줄은 낡은 것이었다. 그런 밧줄에 집채만한 큰 호랑이가 매달렸으니 밧줄이 어떻게 되겠는가? 밧줄은 도중에 탁 끊어지고 말았다. 호랑이는 높은 공중에서 땅에 떨어져 죽고 말았다. 하늘나라에 도착한 두 남매는 해와 달이 되었는데, 처음에는 오빠가 해가 되고 동생이 달이 되었다. 그러나 동생이 밤이 무섭다고 해서 오빠가 달이 되고 동생이 해가 되었다고 한다.
Ⅷ. 전래동화(전승동화)와 전래동화연구
전래 동화 연구가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우영호의 「구비 동화의 고찰」이었다.
그 후 여영택은 전래 동화 182편을 대상으로, 주제, 인물, 배경, 서두와 결말, 어휘에 나타난 현상들을 고찰하였다.
1972년에 「아동 문학 사상」은 제8집을 \'전래 동화의 세계\' 특집으로 꾸미고 전래 동화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했으며, 손동인은 오랜 연구 성과를 모아 「한국 전래 동화 연구」를 펴냈다. 그는 이 책에서 전래 동화의 구조, 등장인물의 성격, 배경, 호랑이의 성격, 교육적 진단, 효율적인 지도 방안 등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1988년 최운식·김기창은 「전래 동화 교육론」에서 전래 동화의 성격, 특성, 교육적 목적, 교육 방법, 전래 동화와 외국 동화의 비교, 한국 전래 동화집 발행의 현황과 개선점 등으로 나누어 체계적인 연구를 하였고, 1998년에 이 책을 수정 보완하는 한편, 유아기의 전래 동화에 관한 내용, 초등학교 교과서에 새로 수록된 전래 동화 제재의 연구 등을 비롯하여 상당 부분을 첨가하고, 「전래 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로 책 이름을 바꾸어 내놓았다.
전래 동화의 개론을 정리한 수준의 연구는 전래 동화와 문학 교육의 관계, 전래 동화의 의의 및 특징을 창작 동화와 비교하여 살펴보거나, 주제별, 구성별, 제재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개념을 정리한 수준으로, 전래 동화의 개념이 모호하던 초창기의 연구로서는 전래 동화의 위상 정립에 공헌한 공적을 인정할 수 있겠으나, 최근까지 이런 연구가 되풀이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래 동화의 가치 분석 연구는 전래 동화의 가치 덕목을 분석하거나, 봉건적 가치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극복 방안 모색, 도덕성의 내면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으며, 나아가 동물 전래 동화가 담고 있는 동물상이나 주제 및 강조되고 있는 가치를 고찰해 보고 있다. 이는 우리 전래 동화에 반영된 가치관의 근원을 밝혀내는 데 기여한 바가 인정되는 업적이라고 판단된다.
Ⅸ. 결론
1920년 오천석에 의하여 중학생들을 위한 잡지 <학생계>에서 그림동화 {일곱 명이 전 세계를 돌다 Sieben kommen durch die ganze Welt}가 {장사의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우리나라에 소개되었는데, 이것이 한국에 소개된 최초의 그림동화다. 그 후 1922년 6월 방정환에 의하여 네 편의 그림동화 {개구리왕자 Froschprinz}, {잠자는 공주 Dornrschen}, {천당가는 길 Der Meisterdieb }, {막보의 큰 장사 Der gute Handel}가 잡지 <개벽>에 번역소개되었으며 1923년에는 {황금거위 Die goldene Gans}, {염소와 늑대 Der Wolf und sieben jungen Gei lein}, {작은 이의 일흠 Rumpelstilzchen}이 잡지 <어린이>에 실렸다. 이 동화들은 1923년에 {사랑의 선물}이라는 책에 다시 실렸다. 같은 해 1923년 1월 14일부터 1923년 6월 3일, 잡지 <동명>에 다시 16편의 그림동화가 수록되었다. 그러나 그림동화라는 사실만 적혀 있을 뿐 어느 책에서, 누가 번역했다는 말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1925년에 오천석 변역의 그림동화 12편이 한성도서에서 나왔다.
방정환의 그림동화의 분석에 앞서 그림동화의 수용이 시작된 1920년 무렵 한국의 정치적인 상황을 잠깐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은 역사상으로 볼 때 인접국가인 일본이나 중국과 접촉을 했을 뿐 그 외 다른 나라들과는 접촉을 하지 않았기에 19세기말까지는 외국과의 접촉이 불가능했다. 한편 인접국가인 일본은 이미 명치시대(1867-1911)에 서양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여 1887년 11편의 그림동화가 일본에 소개되었는데 이것이 최초로 일본에 소개된 그림동화이다. 그리고 최근 일본에서는 명치시대에 출간된 약 200편의 그림동화가 책으로 편집되어 나왔다.
한국에 있어서 그림동화의 수용은 한일합방과 삼일운동이라는 결정적인 두 사건과 관계가 있다고 보겠다.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선이 자주성을 잃으면서 지하에서 다양한 독립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1919년 3월1일 삼일운동이라는 민족적인 독립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삼일운동은 한국민족에게 정치적인 자유와 독립을 가져오지는 못했지만 일본이 탄압정책에서 문화정책으로 그 정책을 바꾸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보겠다. 1919년 새로운 조선 총독은 일본의 문화정책을 한국에도 공포했다. 이 정책의 내용 중 하나가 언론과 집회의 자유다. 그 후 한국에서는 1919년과 1929년 사이에 200여 개의 잡지가 발행되었으며 1910년과 1945년까지는 600여 편의 잡지가 발간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잡지들은 정치적 재정적 이유로 출간 몇 달 뒤 폐간되었다.
참고문헌
김수경 /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오판진 / 학습자 구연을 통한 전래동화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12
유소영 /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 2003
이화선 /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선문대학교, 2006
이은선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의 구현 양상과 의미, 경인교육대학교, 2010
전경은 /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 속에 나타난 생명 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2006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