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 - 상평창, 의창, 사창, 자휼전칙, 계, 두레, 향약, 공굴, 특징과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 - 상평창, 의창, 사창, 자휼전칙, 계, 두레, 향약, 공굴, 특징과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
1) 상평창
2) 의창
3) 사창
4) 자휼전칙
5) 계
6) 두레
7) 향약
8) 공굴
9) 오가작통법

2.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
1) 상평창의 특징과 역할
2) 의창의 특징과 역할
3) 사창의 특징과 역할
4) 자휼전칙의 특징과 역할
5) 계의 특징과 역할
6) 두레의 특징과 역할
7) 향약의 특징과 역할
8) 공굴의 특징과 역할
9) 오가작통법의 특징과 역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5가작통의 조직을 두어 다섯 집을 1통으로 하여 통주(統主)를 두고, 방에 관령(管領)을 두었다. 지방은 역시 다섯 집을 1통으로 하고 5통을 1리(里)로 해서 약간의 이(里)로써 면(面)을 형성하여 면에 권농관(勸農官)을 두었다. 주로 호구를 밝히고 범죄자의 색출, 세금징수, 부역의 동원, 인보(隣保)의 자치조직을 꾀하여 만들었으나, 시대에 따라 운영실적이 한결같지 않아 1675년(숙종 1)에는 '오가작통법 21조'를 작성하여 조직을 강화하였다. 후기에 이르러 호패(戶牌)와 더불어 호적의 보조수단이 되어 역(役)을 피하여 호구의 등록 없이 이사 ·유리(流離)하는 등의 만성화된 유민(流民)과 도적의 은닉을 방지하는 데 이용하였고, 헌종 때에는 통의 연대책임을 강화하여 가톨릭교도를 적발하는 데 크게 이용하였다.
3. 시사점
고려시대에 있어서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복지정책의 일환인 구제사업은 자선을 기본정신으로 성행 하였으나 그 말엽에 이르러서는 불교 자체가 가진 병폐로 인해 구제사업도 쇠퇴하게 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는 건국 초부터 불교를 배척하고 성리학적 가치관이 도입됨에 따라 왕도정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복지정책의 새로운 기반이 확립되었다. 성리학은 원래 현실적 기반에서 출발하였던 만큼 이러한 성리학의 현실성은 그 교의를 사회논리 및 정치사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성리학은 본래 정치의 혼란과 인론의 패덕을 극복하여 정치적 도의와 사회의 안정을 회복하려는 현실적 요구에서 출발했던 만큼 그 중심개념을 인(仁)의(義)란 논리철학에 두고 있으며 그 궁극적 목표를 순종체계(順從體系)에 따른 질서에 의하여 조화되고 안정된 사회로 여기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리학 가치관의 일반적 속성을 덕치관(德治觀)과 민본주의적 논리성, 명분론, 계급성 및 상고주의 등으로 요약할 수 있겠다. 즉 성리학은 인의의 정신에 입각하여 궁민을 구제하는 것을 요제로 하는 사상이었다. 조선시대에 있어 구제사업은 백성들 중 한 사람이라도 굶주리고 그에 적합한 업을 얻지 못함은 곧 왕의 책임으로 돌렸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들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조선의 구제 정책으로는 의료기관인 혜민서가 있어 의약과 서민의 치의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제생원에서는 서민들을 위해 구황 약제들을 모아 의학전집 편찬 일을 하였다. 특히 조선왕조는 환난 재난 등에 임하여 세금을 감면해주는 조세감면 정책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조선의 정치이념인 왕도정치를 표방하는 성리학적 가치관이 크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자연재해로 인해 수많은 백성들이 이재민이 되었을 경우 조선왕조는 보다 적극적인 복지정책을 시행하였다. 태종부터 명종까지에는 기민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상설기관인 진제창과 임시기관인 진제소가 있었다. 또한 전염병이 유행할 때에는 활인서에서 병막을 만들어 환자들을 수용치료하였으며 제생원에서는 유기아를 보호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조선의 의료기관인 활인서와 제생원은 국가적 재난 시 의료사업 뿐만 아니라 구호사업까지 시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왕조에서는 국가 재난 시 빈민에게 조세감면 정책을 시행하여 실질적인 혜택을 주고자 노력하였던 모습을 살필 수 있었다. 이처럼 조선왕조는 법제적으로 정비되어 고려시대에 비해 세분화되고 체계화 되었으며 실질적인 서민들을 위한 정책이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엄명용,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0.
상 락, 한국사회복지사록, 박영사, 1999.
백철현, 조선시대의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1995.
최창무, 조선왕조전기의 구빈제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키워드

조선시대,   복지,   상설,   구빈기관,   구빈,   상평창,   상설구빈기관,   의창,   ,   두레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1.11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