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변화에 따른 스타양상의 변천사 (문화 산업과 스타, 구한말~일제시대 스타양상, 1950~1960년대·1970~1980년대·1990~현대까지의 스타양상)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산업변화에 따른 스타양상의 변천사 (문화 산업과 스타, 구한말~일제시대 스타양상, 1950~1960년대·1970~1980년대·1990~현대까지의 스타양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화 산업과 스타
  1) 문화산업
  2) 스타의 탄생
  3) 문화산업과 스타

 2. 구한말~일제시대 스타양상
  1) 시대배경
  2) 문화산업의 구조
  3) 스타와 생산-여배우 인기스타
  4) 스타와 소비-스타와 대중의 관계
        
 3. 1950~1960년대의 스타양상
  1) 시대배경
  2) 문화산업의 구조
  3) 스타와 생산-여배우 인기스타
  4) 스타와 소비-스타와 대중의 관계

 4. 1970~1980년대의 스타양상
  1) 시대배경
  2) 문화산업의 구조
  3) 스타와 생산-여배우 인기스타
  4) 스타와 소비-스타와 대중의 관계

 5. 1990~현대까지의 스타양상
  1) 시대배경
  2) 문화산업의 구조
  3) 스타와 생산-여배우 인기스타
  4) 스타와 소비-스타와 대중의 관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지지를 받은 것도 이 까닭이다.
‘한국 트렌디 드라마는 최진실로 시작해 김희선으로 끝난다.’라는 말이 있다. 트랜디 드라마의 전성기 시절 김희선은 거의 모든 트랜디 드라마의 주연을 맡아 한다. '프로포즈', ‘미스터큐’, ‘토마토’, ‘해바라기’등 여러 히트작을 내며 그녀는 인기를 얻는다. 여기서 다른 여배우들과 다른 김희선의 차이점은 스캔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인기가 치솟아 있을 시기에 여배우들에게 스캔들이 나면 대중은 외면하고 여배우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는다. 과거에는 사실여부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배우들이 스캔들로 인해 해외로 도피하여 연기생활을 중단해야만 했다. 윤정희, 문희, 장미희, 정윤희 등 과거 여배우들이 연기생활을 중단하게 된 이유도 스캔들로 인해서였다. 하지만 김희선은 다르다. 수많은 남성배우들과 스캔들이 나면 날수록 대중들은 그녀에게 열광했다. 이러한 까닭은 대중의 성향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자극적인 것에 열광하는 대중은 자신감과 당당함에 큰 가치를 둔다. 그리고 가십거리가 있을 경우 비난하기보다 추종하는 현상까지 보인다. 기존 여배우들에게서 보지 못한 김희선 당당한 스캔들 대처법에서 그 당시 대중은 열광시키기 충분했다고 보인다. 현재에는 여배우들이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애인을 공개하고 공개데이트를 즐기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의 출발은 김희선이었다.
주부가 된 이후에도 김희선은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1990년대 여배우들이 결혼과 출산 이후공백기 없이 활동할 수 있는 까닭은 과거 20대 미모의 여주인공을 주인공으로 한 멜로중심의 드라마를 탈피하여 여러 소재의 드라마 등이 등장하면서 30~40대 여배우들의 활동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이다. 30~40대 커리어 미혼여성과 주부들이 드라마의 주 소비계층으로 등장하면서 그들을 타켓으로 한 소재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앞서 언급한 가족의 변화, 여성의 권익향상과 연관이 있겠다.
4) 스타와 소비 - 이 시대 스타와 대중의 관계
앞서 살펴보았듯이 90년대 이후에는 연예산업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 즉 스타 자체가 상품으로 인식되었고 스타를 중심으로 한 관련 산업이 다양하게 등장하였다.
⑴ 스타의 상품성 강화
스타들을 필요로 하는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문화상품의 판매 촉진제로 기능하는 스타의 상품성이 강화되고 있다. 이들이 문화상품에 관여함으로 인해 창출되는 이윤 역시 높은 수준에 이른다. 스타가 그만큼 대중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1970년대~1980년대에는 제품위주의 광고가 주를 이루었다면 1990년대에는 스타와 제품을 결합하여 제품의 홍보를 극대화 하는 광고가 주를 이루었다. 현재에는 그 판도가 바뀌어 제품보다는 스타에 중점을 둔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 스타의 모습을 통해 아파트 광고하는 이미지광고가 그 예이다. 따라서 6개월에서 1년 광고가 전속 모델 계약이나 영화 한 편의 출연료가 억 단위로 치솟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스타 자체를 상품으로 판매하기도 하는데 스타를 주인공으로 한 인형, 카드, 책받침, 팬시 물품, 의상,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스타 아바타를 판매한다. 대중은 스타가 광고하는 상품을 구매하는데 이는 상품을 구매하는 동시에 스타를 구매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⑵ 스타를 모방하는 대중
스타가 하고 나온 패션 아이템은 자연스럽게 유행이 된다. 따라서 패션산업 종사자들은 앞 다투어 스타에게 의상이나 악세사리를 협찬한다. 이러한 시스템이 시작된 것은 김희선의 등장과 함께 이루어졌다. 그녀가 드라마에서 착용한 곱창밴드, 요요, 머리띠, 원피스, 악세사리, X자 핀은 그 당시 대 유행이었다. 당시 거리에는 많은 여성들이 그와 같은 아이템을 착용했고, 이는 스타가 대중을 통해 거리문화를 창출했다고 평가된다. 현재는 스타가 착용한 아이템은 재빠르게 생산되고 판매된다. ‘어느 연예인이 드라마에서 착용한 아이템이다.’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과열되어 현재에는 스타의 외모를 닮고자 성형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중국에는 배우 송혜교처럼 성형한 여배우도 있을 정도이다.
6. 결론
지금까지 각 시대별 문화산업과 스타시스템의 양상 그리고 시대별 배경에 초점을 맞춘 여배우의 인기 원인과 대중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서술되었음을 다시 한 번 밝힌다. 우리는 문화란 결코 시대와 분리될 수 없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 한 시대를 대변해주고 있는 창이 문화라는 의미이다. 문화산업, 스타시스템, 스타 등이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그것에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연구하고 주도해나가는 모습이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박현희. 「문예봉과 김신재」.선인. 2008
신현규. 「파란만장한 일제강점기 기생인물·생활사 : 꽃을 잡고」경덕출판사. 2005
경지현. 「일제 말기 관람문화와 조선영화 관람의 의미」
정태헌. 「1910년대 일제의 식민지 자본주의 체제 구축과정」
-------------
김재범. 「문화산업의 이해」김재범 2005
김헌식. 「대중문화 심리로 본 한국사회 : 대중문화현상과 문화심리」. 2007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9
-------------
집문당 「한국영화70년 代表作200선」.(저)영화진흥공사기획 2007
염찬희. 「1960년대 한국영화와 ‘근대적 국민’ 형성과정
김주언. 「80년대 언론탄압」. 사회비평 제3호. 1989. 12
-------------
문헌병. 「문화산업과 대중문화」. 진보평론 제14호 겨울. 2002
이문행. 「국내 연예 매니지먼트 회사의 사업 다각화 현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09
김승수. 「대중문화산업에서 디지털문화산업으로」. 문화과학 48호. 2007
김 화. 「새로 쓴 한국영화전사」, 서울 : 다인영화신서. 2003
이은애. 「한국 트랜디 드라마를 통해 본 문화 산업 비판」한국문예비평연구 제21집 2006
문화관광부. ‘참여정부 문화정책 평가와 전망’ www.mcst.go.kr
위키디피아 백과사전 www.wikipedia.org
한국콘텐츠 진흥원 www.kocca.kr
-------------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3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