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D] VMD(Visual Merchandising)의 배경과 목적, 개념과 필요성 ; VMD의 구성요소와 역할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VMD] VMD(Visual Merchandising)의 배경과 목적, 개념과 필요성 ; VMD의 구성요소와 역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VMD란?
2. VMD의 배경
3. VMD의 목적
4. VMD의 필요성
5. VMD의 역할
6. VMD의 인지차원
 1) 공간구성
 2) 정보제공성
 3) 심미성
 4) 오락성
 5) 일상탈출성
7. VMD의 공간 구성 요소
 1) VMD 기능에 따른 표현 요소 분석
 2) VMD에 따른 공간 구성 요소 분석

참고자료

본문내용

색채 등) 계획
조명 연출
진열구류 (소도구류) 활용
SLEEVE OUT
FOLDED
컬러 배열
수직 진열
스타일 분류
소재 분류
기능
보여준다.
보여준다.
판매를 유도한다.
판매한다.
고객의
시점
다소 멀다.
(이미지를 받아들인다.)
중간
(상품을 인식한다.)
가깝다.
(상품을 만진다.)


대형점
VP 전문가
코너 데코레이터
판매사원
소형점
점 스스로 또는 전문가
MP(Merchandise Presentation)=VP+PP+IP의 등식이 성립되며, 이 세 가지 기능이 상품 성격에 맞게 적절히 배분되어야 상품제안 (MP)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하나의 매장 내에서 각각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의 목표는 고객을 향해 매장의 주인이 되는 상품의 제안 즉, 머천다이즈 프리젠테이션(MP=VP+PP+IP)이며, 고객과 매장과의 역할관계는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VP, PP, IP의 역할
고객
매장 공간구성
느낌
행동
Attention
(주위를 끈다)
시선을 돌린다
VP
MP

VP
+
PP
+
IP
Interest
(흥미를 느낀다)
걸음을 멈춘다
PP
Desire
(욕구를 느낀다)
가까이 다가간다
Memory
(기억한다
확신한다)
비교하여 만져본다
IP
Action
(구매한다)
선택한다
좋은 이미지를
갖는다
다시 찾는다
Interior + Display + 접객서비스
① VP (Visual Presentation)
VP 자체는 목적이 아닌 수단이므로 시즌 예시, 점 이미지 및 트랜드 표현 등의 목적에 충실하여 매출증대에 기여하여야 한다. 고객을 공유하고 회유 시키는 기능이 중요하여 점내 중요 지점에서 설치, 운영한다. 점의 주장의 명확히 하여 SI(Store Identity) 확립에 기여하여야 한다. 연출 상품의 선택 시 가급적 트랜드가 강하거나, 이익률이 높고 재고량이 많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② PP (Point of sale Presentation)
PP는 상품 진열 계획의 포인트를 제안하여 판매를 유도하는 것이 주 역할이므로 IP에 진열된 상품이 주체가 되어야 포지셔닝 전략으로서 성공을 거둘 수 있다. 개인의 취향보다는 보여주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해야 하고,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맞닿는 곳에 판매 적기, 시즌의 변화시기, 상품과 집기배치의 교체 시 상황에 맞게 수시로 변화를 주는 것이 판매 목적을 이룰 수 있다.
③ IP (Item Presentation)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는 곳이며 매장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리정돈에 의한 매장 분위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판매 마케팅에 충실해야 한다.
상품이 팔리는 매장 만들기의 VMD 매뉴얼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동일 상권 내에 있는 다른 점포의 위치를 포함하여 대상고객을 조사하고,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구매 동기에 이은 구매 결정 요인, 입지상황, 경쟁매장 등을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독자적인 점포의 주장을 가지고 점포의 고객에 맞는 MD를 계획하여 판매를 촉진시키는 환경을 만든다.
처음에 고객이 판매 공간에 들어서면 상품의 연출에 주목하게 되고, 흥미를 가지고 상품을 구입한 다음 매장을 기억(AIDMA 법칙)하게 되어 재구입을 하게 된다.
VMD는 비 형상화된 추상적인 형태로 시간과 공간이 만나는 곳에서 발생한다. 상품 정보와 환경 이미지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표현요소를 위와 같이 분류하여 VMD가 지니고 있는 판매 공간에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VMD에 의한 정보전달은 공간의 위계질서는 물론 이용객들에게 가시적인 표현으로의 이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VMD는 논리적이고 체계화된 표현 방법이다. 디스플레이 부분(VP)만 강조하던 개념에서 탈피함으로써 상품기획을 올바로 전해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매장환경을 디자인함으로써 판매 촉진 및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인식 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2) VMD에 따른 공간 구성 요소 분석
판매 공간은 각각의 VMD 컨셉(Concept)에 의해 구성된 상품군에 따라 제안하는 상품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체계화 시키는데 구성되는 요소를 항목별로 다음의 아래의 표와 같이 분류하였다.
판매 공간 구성 요소
구성요소
요소별 항목
매장 구성
품종별 단위매장 개관
동선 처리 방법
데드 스페이스
유도 포인트
파사드
유형별 조사
외부 사인 디자인 / 형식
쇼윈도
상품의 연출 위치와 방법
쇼윈도 집기의 디자인 조사
광고물의 위치와 설치 상태 파악
집기
집기별 디자인 (품목 위주)
마감 방법
규격 파악
특수 집기
창구대
점내 위치
필요 물품 위치
뒷면 처리문제
주변(쇼케이스, 집기류)과의 조화
조명
광원의 배분
스폿라이트의 활용
바닥
발의 촉감 고려
장식 또는 패턴 조사
벽면
(디스플레이 월)
활용방안 (시선유도를 위한 PP와 진열효과를 위한 IP의 측정)
패널 또는 스페이스 월 등의 활용방안
천정
활용 방법, 구조
조명기구 배치 및 활용방법
색채
바닥, 벽, 천정의 색채 구분
주변(쇼케이스, 집기류)과의 조화
매장의 주조색과 강조색 조사
조명색 조사
참고자료
김선희, 의류 점포의 VMD 구성요소와 관련변인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2007.
김혜경, 국내의류매장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공간구성과 소도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2호, 2001.
김혜경, 브랜드 이미지의 VMD 마케팅 전략을 이용한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3.
박영준, POP와 DISPLAY, KODIA 칼럼, 1997.
신영하,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활용한 백화점 VMD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4.
심낙훈, 비주얼 머천다이징 & 디스플레이, 영풍문고, 1997.
심낙훈, 디스플레이 마케팅, 도서출판국제, 2002.
유봉준, 백화점 VMD(visual merchandising) 마케팅에 관한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3.
이은영, 패션 마케팅, 교문사, 1997.
조길수, 최신의류 소재, 시그마프레스, 2006.
홍지원, 디자인 마케팅, 미진사, 2009.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2.22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