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사회와문화 B형] 신세대 농민공의 주요 특징에 대해 논하시오 [농민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사회와문화 B형] 신세대 농민공의 주요 특징에 대해 논하시오 [농민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 농민공이란

2. 중국 농민공의 탄생 배경

3. 중국 신세대 농민공이란

4. 중국 1세대 농민공과 신세대 농민공

5. 신세대 농민공의 주요 특징
1) 경제적 불평등 인식
2) 사회적 불평등 인식
3) 교육기회의 확대
4) 자신의 권리보호
5) 농업 생산 활동의 중단
6) 1세대 농민공과의 격차
7) 사회보장의 어려움
8) 소비욕구
9) 열악한 노동환경
10) 자아가치 실현 중시
11) 도시와의 갈등

6. 신세대 농민공을 위한 중국사회의 대책방안

7.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동환경에서 일하고 있다.
10) 자아가치 실현 중시
높아진 학력을 바탕으로 신세대 농민공은 기술습득과 창업이 이들의 인생목표이다. 신세대 농민공은 20세 전후로 사고와 지식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학교를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는 신세대 농민공은 이상과 열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래와 자아가치 실현을 중시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 이하 ‘전인대’) 농민공 대표 가운데 한 명인 후샤오옌(胡小燕)은 신세대농민공은 개인의 장기적인 성장공간을 중시하며 자주의식과 강렬한 권리의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비즈춘(畢志純) 텐진시 젠공그룹(建工集團) 노동조합 주석도 신세대 농민공은 승진과 자아가치 실현을 중시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신세대 농민공의 미래와 인생경로가 농촌보다 도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11) 도시와의 갈등
개혁·개방 이래 중국정부는 끊임없이 호구제도를 개혁하였으며, 지금도 다양한 호구제도 개혁 실험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농업호구와 비농업호구로 나눈 이원호구제도는 여전히 변함없다. 신세대 농민공이 도시에서 일하고 도시문화를 향유하면서 도시에서 계속 살고 싶어도 호구제도로 인한 각종 장벽으로 그들의 희망대로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다. 왜냐하면 비농업호구에 담긴 가치가 개혁·개방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농업호구와 비농업호구 간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한 불평등이 도시에서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신세대 농민공의 경우, 도시에서 노동자로 살고 있으나 소득, 취업, 사회보장, 주거 등 다양한 방면에서 도시민에 비해 차별을 당하고 있다. 1세대 농민공의 도시진입 목적은 단순히 돈 벌기였다. 그들은 도시에서 단절되어 희생당해도 이 목적만 달성되면 다른 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세대 농민공은 다르다. 도시에 자신의 권리가 침해당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면 그 원인을 도시사회나 도시민에게 돌린다. 그리고 권리를 찾기 위해 불만표출을 주저하지 않는다. 최근 신세대 농민공으로 인한 갈등이 중국사회에 나타나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6. 신세대 농민공을 위한 중국사회의 대책방안
신세대 농민공의 자아발전을 위한 기술교육과 여가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신세대 농민공의 인생 목표는 창업을 하는 것이다. 신세대 농민공은 기술을 배우고 돈을 모아 창업하기를 원한다. 만약 기업에서 기술을 익힐 수 없다면 그들은 쉽게 이직을 결정한다. 지금까지 기업은 농민공을 임시 노동력으로 보고 기술교육을 소홀히 하고 임금과 복지를 낮게 제공하였다. 이 점이 신세대 농민공이 이직을 선택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즉 신세대 농민공과 기업이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기업의 농민공에 대한 관점의 착오이다. 기업은 신세대 농민공이 기업의 발전이 자신의 발전임을 느낄 수 있도록 기술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기업은 신세대 농민공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신세대 농민공은 디지털 기기를 선호하고 유행에 민감하다. 이들에게 핸드폰이나 유행하는 의류, 화장품 등을 인센티브나 보상으로 지급함으로써 적절한 소비욕구의 해소가 필요하다.
7. 시사점
도시의 취업기회 확대와 농촌 과잉 노동력의 병존은 농민 도시유입의 직접적인 조건이었다. 도시의 건축 붐과 노동집약의 경공업을 위주로 하는 향진(鄕鎭)기업, 외자기업 등의 발달이 대량의 취업기회를 창출하는 가운데, 농촌에서는 나날이 증가하는 과잉 노동력과 부족한 취업 기회 간의 모순이 첨예화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조건에서 농촌과잉노동력의 경제발달도시로의 이동과 그에 따른 농민공 발생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할 수 있다. 도시 취업제도의 개혁과 농촌의 탈집체화가 농민에게 가져다 준 신변의 자유는 농민도시진입을 가능하게 한 제도적 요소가 된다. 과거 정부주도의 계획통제를 벗어나 기업은 경영 자주권을 획득하게 되었고, 이는 노동력 배치에 있어서 도농 폐쇄 형식을 타파하면서 농민의 도시유입을 제도적으로 완화시켰다. 또한 노동지배권을 획득한 농민들은 시장경제의 상품경제를 의식하게 되었고, 이러한 의식의 변화는 농민이 시장경제조류에 유입되는 의식상의 발판을 제공 하였다. 도시취업구조의 균형상실 혹은 조정 및 구조적 모순 또한 일정정도 상에서 농민의 도시진입에 기회를 제공하였다. 시장경제의 발전은 취업고용제도의 개혁을 촉진하였는데, 도시산업구조조정과 국유기업의 개혁과정은 도시 실업인원을 증가시켰으나 동시에 서비스업, 건축업 및 상관산업의 신속한 발전에 따른 취업기회의 확대와 더불어 소위 3D 업종 등 상대적으로 구직빈도가 낮은 취업기회가 많아지면서 농민에게 취업의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신세대 농민공의 주요 특징에 대해 논해 보았다. 중앙이 개혁개방의 노선을 걸을 것임을 표명한 후, 개혁의 움직임은 농촌에서부터 나타났는데 이는 농촌의 탈집체화(脫集體化)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계획경제시대 농촌에의 보다 효과적인 착취를 위해 실시되었던 집체중심의 인민공사제도가 와해되면서 개별농가 혹은 개인의 자율성과 노동에 대한 지배권이 인정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제도의 전환으로 인해 노동은 보다 적극성을 띠게 되었고, 시장기제의 강화는 농업생산에 있어서도 현대적 생산요소의 부단한 투입을 가능하게 하며 농업생산량 증가 등 농촌경제발전을 도모하는 요소들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농민의 토지 및 인민공사로부터의 해방은 동시에 대량의 (가시적인)농촌 잉여 노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농업 잉여 노동력은 이후 도시 자본의 노동력 수요에 대한 공급의 근원이 된다.
참고문헌
이민자, 중국 호구제도와 인구이동, 폴리테이아, 2007.
김영진, 중국의 도시 노동시장과 사회, 한울아카데미, 2003.
박희준, 중국 농민의 도시 진입과 적응,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장윤미, 중국 농민공의 저항과 조직화, 동아시아 브리프, 2011.
린이푸 외, 중국의 개혁과 발전전략, 백산서당, 2001.
김화섭, 중국의 호구제도 개혁 동향과 시사점, e-kiet 산업경제정보, 2011.
이동진, '이동시민'으로서의 중국 농민, 아시아문화연구, 2014.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9.13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1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