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한어문법 - 제13장. 위어 (謂語)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한어문법 - 제13장. 위어 (謂語)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一. 위어(謂語)=(술어)의 유형
二. 동사(動詞)와 목적어 (=빈어(賓語))의 관계
三. 쌍빈어(雙賓語)=쌍목적어
四. 목적어(賓語빈어)의 위치
五. 복잡 술어(複雜謂語)<술어=위어>

본문내용

一. 위어(謂語)=(술어)의 유형
<문장의 분류>
- 술어의 성질
① 판단문 = 판단구 (判斷句)
② 존재문 = 존재구 (存在句)
③ 묘사문 = 묘사구 (描寫句)
④ 서술문 = 서술구 (敍述句)
- 술어의 구조
① 명사 서술 문장 = 실체사 위어구(實體詞謂語句)
② 형용사 서술 문장 = 형용사 위어구 (形容詞謂語句)
③ 동사 서술 문장 = 동사 위어구 (動詞謂語句)
④ 절로 서술된 문장 = 자구 위어구 (子句謂語句)

<판단문>
‘是’, ‘爲’ 등의 동사를 술어로 하는 문장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문장에서 연계기능만 가짐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論語·爲政》

爾爲爾, 我爲我。 《孟子·公孫丑上》

명사나 명사 단어가 술어로 쓰이는 경우

劉備, 天下梟雄。 《資治通鑑·赤壁之戰》

此東海也。( 姚鼐 :《登泰山記》)

白起, 小豎子耳。 《史記·平原君列傳》

楚左尹項伯者, 項羽季父也。《史記·項羽本紀


<존재문>
‘有’, ‘無’, ‘多’, ‘少’ 로 서술하고 있는 문장

庖有肥肉,廐有肥馬,民有饑色,野有餓莩。
《孟子·梁惠王上》

今將軍久居外, 多內郤。《史記·項羽本紀》


수사 또는 수량사가 술어가 될 때에는 보통 ‘有’ 자를 쓰지 않는다.

吾有司死者三十三人。 《孟子·梁惠王下》

諸侯之寶三 : 土地, 人民, 政事。
《孟子·盡心下》
  • 가격4,1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16.04.09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99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