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한 적외선을 측정,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냄
- 의식이 저하되어 조직의 저산소증을 알 수 없는 집중 치료실이나 수술실에서 주로 사용
- 혈류가 증가하도록 대상자의 손끝을 문질러 주고 측정부위에 센서를 부착
- 빛이 조직을 통해 지나가고 센서는 조직에 흡수된 빛의 양을 측정
Oxygen supplier
- 벽출구
: 유속기를 벽출구에 부착하고 가습기를 유속기 밑에 연결하는 간편한 산소공급 방법
- 이동식실린더
: 강철통에 산소를 2200Lbs/inch3의 압력으로 압축시켜 저장, 필요한 곳까지 산소통을 이동시켜 사용
: 산소통에는 산소통, 조절기와 가습기가 부착되어있고, 압력조절밸브가 있어 유출되는 산소압력을 조절함
- 산소는 기도점막을 건조시키므로 산소 공급 시 반드시 습기를 제공
Suction set
- 구강과 비강, 기관내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함
- 분비물 축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 대상자를 semi fowler's 체위로 취하여 심호흡을 증진시킴
- 흡인기를 켜고 압력이 적절한 음압을 유지하도록 조정함
- 멸균용기에 멸균생리식염수를 따르고 우세한 손에 멸균장갑을 끼고 나머지 한손에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함
- 멸균 장갑을 낀 손으로 카테터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흡인기구를 잡고 연결한 뒤 생리식염수가 담긴 멸균용기에 카테터를 담금
- 조절구멍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렀다 떼었다 하면서 생리식염수 소량을 흡인해 카테터의 개방성과 흡인기 작동여부를 확인
- 소생백이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100% 산소를 2분간 공급
- 카테터를 삽입하고 흡인을 시작함 (흡인은 10-15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카테터로 멸균용기에 남은 생리식염수를 모두 통과 시키고 흡인튜브와 카테터를 분리시킴
Tongue block
- 수술 후 마취회복기, 무의식상태이거나 혀로 인해 기도가 폐쇄될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상부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 구강 내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한 보조 기구로 사용
- 기관 내 삽관 시 bite blocker로 사용하여 기관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함
- 구개반사를 자극하기 때문에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 인공기도 삽입 전 반드시 수용성 윤활제를 바름
Ventri mask
- 산소농도를 가장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법
- 만성폐색성 폐질환 대상자에게 주로 적용
- 4-10L/min의 속도로 산소를 공급하면 24-50%까지의 산소농도를 유지
- 의식이 저하되어 조직의 저산소증을 알 수 없는 집중 치료실이나 수술실에서 주로 사용
- 혈류가 증가하도록 대상자의 손끝을 문질러 주고 측정부위에 센서를 부착
- 빛이 조직을 통해 지나가고 센서는 조직에 흡수된 빛의 양을 측정
Oxygen supplier
- 벽출구
: 유속기를 벽출구에 부착하고 가습기를 유속기 밑에 연결하는 간편한 산소공급 방법
- 이동식실린더
: 강철통에 산소를 2200Lbs/inch3의 압력으로 압축시켜 저장, 필요한 곳까지 산소통을 이동시켜 사용
: 산소통에는 산소통, 조절기와 가습기가 부착되어있고, 압력조절밸브가 있어 유출되는 산소압력을 조절함
- 산소는 기도점막을 건조시키므로 산소 공급 시 반드시 습기를 제공
Suction set
- 구강과 비강, 기관내의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함
- 분비물 축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 대상자를 semi fowler's 체위로 취하여 심호흡을 증진시킴
- 흡인기를 켜고 압력이 적절한 음압을 유지하도록 조정함
- 멸균용기에 멸균생리식염수를 따르고 우세한 손에 멸균장갑을 끼고 나머지 한손에는 일회용 장갑을 착용함
- 멸균 장갑을 낀 손으로 카테터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흡인기구를 잡고 연결한 뒤 생리식염수가 담긴 멸균용기에 카테터를 담금
- 조절구멍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렀다 떼었다 하면서 생리식염수 소량을 흡인해 카테터의 개방성과 흡인기 작동여부를 확인
- 소생백이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100% 산소를 2분간 공급
- 카테터를 삽입하고 흡인을 시작함 (흡인은 10-15초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카테터로 멸균용기에 남은 생리식염수를 모두 통과 시키고 흡인튜브와 카테터를 분리시킴
Tongue block
- 수술 후 마취회복기, 무의식상태이거나 혀로 인해 기도가 폐쇄될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상부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
- 구강 내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한 보조 기구로 사용
- 기관 내 삽관 시 bite blocker로 사용하여 기관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함
- 구개반사를 자극하기 때문에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 인공기도 삽입 전 반드시 수용성 윤활제를 바름
Ventri mask
- 산소농도를 가장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법
- 만성폐색성 폐질환 대상자에게 주로 적용
- 4-10L/min의 속도로 산소를 공급하면 24-50%까지의 산소농도를 유지
추천자료
현대자동차
국방예산의 현황과 발전방향 모색
국민대학교 ABC(Activity Based Costing) 적용
산악스포츠
국민참여방송(시민참여채널) 도래, 국민참여방송(시민참여채널) 편성, 국민참여방송(시민참여...
[국제마케팅] GE의 국제마케팅 성공사례 완벽분석 레포트 (대학교 3.4학년용).hwp
[생산운영관리]삼성SDI의 PDM 제품개발 및 혁신사례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에 대하여
[IPv6][IPv6 등장배경][IPv6 필요성][IPv6 용도][IPv6 국내외 동향][IPv6 적용분야][IPv6 전...
전문간호사의 종류와 역할
소호창업 강의 내용 시험 대비 혼자서 정리하고 요약 한 것
이라크 전쟁시 미3사단의 작전분석
현대중공업Hyundai Heavy Industries 투자의견 보고서
스포츠마캐팅아디다스 마케팅아디다스 성공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