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지역혁신체제의 이론적 배경 및 국내외 정책사례
제1절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및 특성
제2절 국내외 지역혁신체제 관련 정책사례
제3장 지역혁신체제(RIS) 구축모형
제1절 지역혁신체제의 기본모형의 핵심 요소
제2절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기본방향
제3절 지역혁신체제 구축모형 유형분류
제4장 대구・경북 지역산업혁신 및 지원체제 현황
제1절 대구・경북지역 산업현황
제2절 대구・경북 지역의 기술역량
제5장 대구・경북지역산업혁신 전략
제1절 대구・경북지역 RIS 구축 방향
제2절 대구・구미・포항 Triangle Techno Belt 구축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지역혁신체제의 이론적 배경 및 국내외 정책사례
제1절 지역혁신체제의 개념 및 특성
제2절 국내외 지역혁신체제 관련 정책사례
제3장 지역혁신체제(RIS) 구축모형
제1절 지역혁신체제의 기본모형의 핵심 요소
제2절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기본방향
제3절 지역혁신체제 구축모형 유형분류
제4장 대구・경북 지역산업혁신 및 지원체제 현황
제1절 대구・경북지역 산업현황
제2절 대구・경북 지역의 기술역량
제5장 대구・경북지역산업혁신 전략
제1절 대구・경북지역 RIS 구축 방향
제2절 대구・구미・포항 Triangle Techno Belt 구축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불균형 성장 전략은 장기적인 국가 성장잠재력이 한계에 직면하고 지역간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어 균형있고 체계적인 지역산업 발전의 필요성이 시대의 과제가 되고 있다. 지역 경제에서도 혁신 클러스터를 통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기반경제시대에 대비하여 산업 경쟁력 제고와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지역산업 발전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산업발전 패러다임인 지역혁신체제를 대구 경북지역에 적합한 구축모형을 제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는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정책에 부응하는 시의적절한 것이며,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신성장 동력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료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실증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이론적인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로는 지역혁신체제의 성공요인이 무엇이며, 그것이 지역별, 유형별, 국가별, 산업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 「1999 과학기술연감」, 2000.
---------,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 1999.
김선배, "기업간 네트워크와 산업집적지의 성장특성", 「지역연구」, 제13권 제2호, 한국지역학회, 1997.
-----,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산업발전방향", 「월간 국토」,2000. 4.
김영수, "첨단산업의 발전 유망지역", 「KIET 실물경제」, 제121호, 1998. 3, pp. 25 34.
김인중·김영수·김선배,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혁신체체 구축모형", 산업연구원, 2000.
류영일,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지역산업정책 고찰",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8
박삼옥, "첨단산업의 발전과 신산업지구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1994, pp. 117 136.
박재곤,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새로운 접근 : 지역혁신체제 구축", 대구경북포럼, 2001 pp6-8.
산업연구원, 「산업의 지식집약화와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1999. 11.
--------, "지역산업진흥방안 : 지역별 전략산업 선정", 산업연구원 정책현안과제, 2000. 3.
오상봉 · 김인중 외,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1999. 8.
이공래, 「기술혁신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이덕희, 박재곤, 「과학기술집적지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1999.12.이선, 장석인 외, 「지식기반경제의 이론과 실제」, 산업연구원, 2000. 5.
전국ㆍ경북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1998.
정선양, "지역혁신체제의 구축방안", 「1999년도 과학기술정책포럼집 Ⅲ」, 1999.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년도.
통계청, 정보통신산업통계보고서, 2000.12.
Amin, A. and Thrift, N., "Globalisation, institutional 'thickness' and the local economy", in Managing Cities: The New Urban Contest, Eds. P. Healey, S. Cameron, S. Davoudi,S. Graham and Madani-Pour, London : John Wiley and Sons, 1995, pp. 91 108.
Beokholt, P. & Weele, E., "Southeast Brabant: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transition",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ed. by H. J. Braczyk, P. Cooke & M. Heidenreich, 1998, pp. 214 244.
Capello, R.,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 learning v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33(4), 1999, pp. 353 366.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5, 1998, pp. 95 120.
Dijk, M. & Rabellotti, R., Enterprise Clusters and networks in Developing Countries, Frank Cass, London, 1997.
Economic Development Administration, Cluster-Based Economic Development : A Key to Regional Competitiveness, U. S. Dept. of Commerce. 1997.
Keeble, D. Lawson, C. Moore, B. and F. Wilkins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networking and 'institutional thickness' in the Cambridge region", Regional Studies, 33(4), 1999, pp. 319 332.
Porter, M. E., "Cluster and Competition", On Competition, A Harvard Business Review Book, 1998.
Romer, P. M.,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4, No. 5, 1996.
Stoper, M., The Regional World, New York : The Gulford Press, 1997.
경북테크노파크 홈페이지 (
http://www.ktp.or.kr)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nso.go.kr)
포항테크노파크 홈페이지 (
http://www.pohangtp.or.kr)
본 연구는 지식기반경제시대에 대비하여 산업 경쟁력 제고와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지역산업 발전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산업발전 패러다임인 지역혁신체제를 대구 경북지역에 적합한 구축모형을 제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는 참여정부의 지역균형발전정책에 부응하는 시의적절한 것이며,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신성장 동력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료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실증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이론적인 타당성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로는 지역혁신체제의 성공요인이 무엇이며, 그것이 지역별, 유형별, 국가별, 산업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과학기술부, 「1999 과학기술연감」, 2000.
---------,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결과, 1999.
김선배, "기업간 네트워크와 산업집적지의 성장특성", 「지역연구」, 제13권 제2호, 한국지역학회, 1997.
-----,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산업발전방향", 「월간 국토」,2000. 4.
김영수, "첨단산업의 발전 유망지역", 「KIET 실물경제」, 제121호, 1998. 3, pp. 25 34.
김인중·김영수·김선배,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혁신체체 구축모형", 산업연구원, 2000.
류영일, "지식기반경제하에서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지역산업정책 고찰", 강릉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8
박삼옥, "첨단산업의 발전과 신산업지구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1994, pp. 117 136.
박재곤,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새로운 접근 : 지역혁신체제 구축", 대구경북포럼, 2001 pp6-8.
산업연구원, 「산업의 지식집약화와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1999. 11.
--------, "지역산업진흥방안 : 지역별 전략산업 선정", 산업연구원 정책현안과제, 2000. 3.
오상봉 · 김인중 외,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1999. 8.
이공래, 「기술혁신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이덕희, 박재곤, 「과학기술집적지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1999.12.이선, 장석인 외, 「지식기반경제의 이론과 실제」, 산업연구원, 2000. 5.
전국ㆍ경북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1998.
정선양, "지역혁신체제의 구축방안", 「1999년도 과학기술정책포럼집 Ⅲ」, 1999.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년도.
통계청, 정보통신산업통계보고서, 2000.12.
Amin, A. and Thrift, N., "Globalisation, institutional 'thickness' and the local economy", in Managing Cities: The New Urban Contest, Eds. P. Healey, S. Cameron, S. Davoudi,S. Graham and Madani-Pour, London : John Wiley and Sons, 1995, pp. 91 108.
Beokholt, P. & Weele, E., "Southeast Brabant: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transition",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ed. by H. J. Braczyk, P. Cooke & M. Heidenreich, 1998, pp. 214 244.
Capello, R.,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 learning v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33(4), 1999, pp. 353 366.
Coleman, J.,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5, 1998, pp. 95 120.
Dijk, M. & Rabellotti, R., Enterprise Clusters and networks in Developing Countries, Frank Cass, London, 1997.
Economic Development Administration, Cluster-Based Economic Development : A Key to Regional Competitiveness, U. S. Dept. of Commerce. 1997.
Keeble, D. Lawson, C. Moore, B. and F. Wilkins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networking and 'institutional thickness' in the Cambridge region", Regional Studies, 33(4), 1999, pp. 319 332.
Porter, M. E., "Cluster and Competition", On Competition, A Harvard Business Review Book, 1998.
Romer, P. M.,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4, No. 5, 1996.
Stoper, M., The Regional World, New York : The Gulford Press, 1997.
경북테크노파크 홈페이지 (
http://www.ktp.or.kr)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nso.go.kr)
포항테크노파크 홈페이지 (
http://www.pohangtp.or.kr)
추천자료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이념과 교육정책 (학교교육)
해방 이전의 근대주의의 수용과정과 그 특색 --中·日을 통한 서구 근대지식체제와의 교류를 ...
지식기반사회의 의미와 분석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는 인적자원개발의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세계화 속의 지역혁신과 분권의 딜레마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
지식기반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지식기반사회와 교육공학
[인간자원개발론]지식기반사회에서 인간자원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분석
한국의 지식기반산업화와 신노사관계구축
[산업혁신체제] 생명공학산업혁신체제 및 생명공학의 필요성과 특성, 생명공학산업의 발전을 ...
인적자원개발론(지식기반사회에서 인적자원 개발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
[지식정보공유][지식정보공유 마케팅][지식정보공유 도서관][지식정보공유 사례]지식정보공유...
지식기반사회와 학습사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미래사회의 환경변화 양상에 비추어 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