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거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주거문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의 주택구조의 특징
2. 건물의 특징과 주거형태
3. 일본의 주거형태
4. 주택의 내부 구조
5. 한국과 일본의 주택구조의 차이

본문내용

에는 자연을 조형한 것이 없다. 바깥마당, 마당 구석에 대나무, 철쭉 등을 자연스럽게 방치해 둔다. 말하자면 한국인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고 즐길 뿐이다. 일본의 관상용 마당이 경제적인 활동과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여도 우주의 신비와 자연의 미를 축소해 놓고 이것을 *선좌(禪座)
에서 감상하는 것이니 일본인의 자연관을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한국 집과 일본 집의 근본적인 차이는 온돌과 다다미라 하겠다. 한국은 일본과 동일 위도에 위치하고 있으나, 겨울에 한랭한 서북풍을 많이 받아 추운 겨울을 무사히 나는 것이 문제이다. 여기에서 발달시킨 것이 온돌이다. 일본의 경우 습기가 많아 땅바닥에 방을 내는 것보다 땅과 방 사이를 떼어 통풍을 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본 집은 방바닥 자체가 높고 다다미를 까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유리하다.
온돌방은 밑에서 열을 발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의 높이가 높은 것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온돌방은 문이 작고 실내가 어두운 편이다. 이와는 달리 일본 방은 온돌방보다 높이가 높고 넓이가 넓다. 다다미방에는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안전하고, 두터운 방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온돌방에서는 넓게 다리를 펴고 앉는 것이 유리하며, 방석이 얇은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앉는 자세는 의상에도 영향을 주어 무릎을 꿇는 일본식에는 타이트한 일본 옷이 좋고, 다리를 벌리고 앉는 한국식에는 한복이 더없이 편하다.
*외연형: 밖에서 늘여서 잇는 형태
*내열형: 안에서 쪼개어 분할하는 형태
*선좌(禪座): ‘결가부좌’. 참선하는 사람이 앉는 방법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4.14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0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