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의 정의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4.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Ⅱ.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의 정의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4.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목의 수강여부, 수강횟수, 수강유형 등의 조건들을 구분하지 않고 조사대상 대학생들은 문헌정보라는 용어에 대해 문헌에 대한 정보와 문헌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성별과 연령, 수강경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학년과 수강경험 횟수와 수강경험의 유형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데, 첫째, 개인적 특성, 수강경험의 유무, 수강경험의 횟수, 수강경험의 유형 등과 상관없이 응답자 대부분은 문헌정보라는 용어에 대해 문헌에 대한 정보와 문헌에 관한 정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문헌과 정보의 결합으로 인한 외연의 확장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재철의 문헌학과 정보학의 약칭이라는 견해와도 일치한다는 점이다.
둘째, 문헌정보에 대한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과 같은 특성보다는 수강횟수 및 수강유형 등의 수강경험이라는 점이다.
셋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문헌정보학에서 의미하는 문헌정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문헌과 정보의 화학적 결합으로 보기보다는 문헌에 대한 정보와 문헌에 관한 정보의 단순한 범위확장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목할 점은 수강경험과 같은 특수한 개인적 경험에 의해 다르게 이해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학문적 규명작업이 촉구된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이수상. 1997. 한국문헌정보학의 성장과정. 도서관학논집, 25: 109-141.
이재철. 1973. 집현전의 기능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 30: 127-168.
이재철. 1990. 문헌정보학의 학명에 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7(2): 3-34.
정동열, 김성진. 2010.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정동열, 조찬식. 2007. 문헌정보학총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정영미. 1978. 정보이론과 문헌정보검색. 정보관리연구, 11(3): 53-58.
정필모. 2011. 문헌정보학원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천혜봉. 1989. 책의 기원 및 명칭에 대하여. 서지학연구, 4: 3-21.
최성진. 1987. 도서관학 통론 증보판. 서울 : 아세아문화사.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0.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데, 첫째, 개인적 특성, 수강경험의 유무, 수강경험의 횟수, 수강경험의 유형 등과 상관없이 응답자 대부분은 문헌정보라는 용어에 대해 문헌에 대한 정보와 문헌에 관한 정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문헌과 정보의 결합으로 인한 외연의 확장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재철의 문헌학과 정보학의 약칭이라는 견해와도 일치한다는 점이다.
둘째, 문헌정보에 대한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과 같은 특성보다는 수강횟수 및 수강유형 등의 수강경험이라는 점이다.
셋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문헌정보학에서 의미하는 문헌정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문헌과 정보의 화학적 결합으로 보기보다는 문헌에 대한 정보와 문헌에 관한 정보의 단순한 범위확장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목할 점은 수강경험과 같은 특수한 개인적 경험에 의해 다르게 이해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학문적 규명작업이 촉구된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이수상. 1997. 한국문헌정보학의 성장과정. 도서관학논집, 25: 109-141.
이재철. 1973. 집현전의 기능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 30: 127-168.
이재철. 1990. 문헌정보학의 학명에 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7(2): 3-34.
정동열, 김성진. 2010. 문헌정보학 이론과 원칙.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정동열, 조찬식. 2007. 문헌정보학총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정영미. 1978. 정보이론과 문헌정보검색. 정보관리연구, 11(3): 53-58.
정필모. 2011. 문헌정보학원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천혜봉. 1989. 책의 기원 및 명칭에 대하여. 서지학연구, 4: 3-21.
최성진. 1987. 도서관학 통론 증보판. 서울 : 아세아문화사.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0.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추천자료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 gement)논문
마케팅조사-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신용카드 이용실태에 관한 탐색조사
중국 관광 마케팅에 대한 고찰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남북관계 인식과 통일관에 대한 조사
노후 생활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보고서
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
교원능력개발평가정책 연구논문에 대한 요약 및 비판
사회복지 관련 주제를 한 가지 선정하여 문헌 검토 및 조사 문제 선정을 작성하시오
대중의 구매 욕구에 대한 인식 : 미디어 속 연예인의 영향에 노출된 대학생 FGI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사론 (청소년교육과)] 교재 제2-6장 양적 조사를 수행한 논문이나 보고서를 선정 ...
[국가 정보학] 주요국가의 정보경찰 조직 및 활동 - 미국, 중국, 일본, 독일의 정보기구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과 예방처치에 대한 인지
사회복지조사론)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httpwwwrisskr)에서 아래의 논문을 찾아서 사회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