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기관지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기관지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적 검사
5.치료 및 간호
6.경과/합병증
7.간호


case study

본문내용

구강건조를 포함하는 경미한 상부 위장관계 이상반응, 드물게 위부불쾌감, 위복부팽만감, 위복통, 설사, 변비,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IV
SYNATURA SYRUP
다음 질병으로 인한 기침, 가래 : 급성 상기도 감염, 만성 염증성 기관지염
연령에 따라 아래의 용량으로 1일 3회 경구투여
2 6세 : 1회 5ml
7 14세 : 1회 10ml
15세 이상 : 1회 15ml
소화기계 : 설사(2.5%), 소화불량(2.5%), 상복부통증(2.5%), 구토(1.7%), 구역(0.9%)
PO
RHINOCOLD SYRUP
. 감기 또는 알레르기성 및 혈관운동성 비염(코염)에 의한 다음증상의 완화 ; 재채기, 콧물, 코막힘, 눈물
2. 부비동염에 의한 비충혈(코막힘)의 일시적 완화
1. 성인(만 12세 이상) : 4시간마다 10㎖씩 복용하되, 24시간동안 6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거나 의사의 지시에 따른다.
2. 만 6-12세 소아 : 4시간마다 5㎖씩 복용하되, 24시간동안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거나 의사의 지시에 따른다.
3. 만 2-6세 이하 소아 : 의사의 지시에 따른다.
교감신경아민을 포함한 약제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공포, 불안, 긴장, 진전, 쇠약, 창백, 호흡곤란, 배뇨곤란, 불면, 환각, 경련, 중추신경억제, 부정맥, 어지러움, 저혈압을 동반한 심혈관 허탈
PO
POTERAL SYR
(경구 : 정제)
1. 주효능 효과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증상의 완화 :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성기관지염
(경구 : 건조시럽제)
성인 : 푸마르산포르모테롤로서 1일 160μg을 2회 분할 경구투여한다.
소아 : 1일체중 kg당 4μg을 2-3회 분할 투여한다.
<소아의 1일 표준투여량>
연 령 1일량 (푸마르산포르모테롤로서)
10-11세 120-160μg
7-9세 80-120μg
4-6세 60-80μg
1-3세 40-60μg
6개월-1세 미만 20-40μg
연령, 증상에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진전, 신경과민, 졸음, 마비감, 드물게어지러움, 불면, 근경직,
흥분, 불안, 발열열감, 취침시 식은 땀,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O
HOKUNALIN PATCH 0.5mg
다음 질환의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 기관지 천식,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1일 1회, 1회 다음 용량을 가슴, 등 또는 상완부의 피부에 붙인다.
- 6개월- 3세 미만 : 0.5mg
- 3세- 9세 미만 : 1mg
- 9세 이상 : 2mg
주요 이상반응으로, 진전(떨림) 3.8%(23건), 심계항진 2.7%(16건), 가려움증/부착 부위 가려움증 2.5%(15건), 부착 부위에서의 접촉성피부염 2.5%(15건)이 있었다.
patch
7.간호과정
우선순위
1.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2. 분비물 및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사정
주관적자료 : “애기 몸이 너무 뜨거워요.” “애기가 열이나서 그런지 땀이 많이나요.”
객관적 자료: 체온_ 38.6도 , 몸이 뜨거움. 몸에 땀이 남. 얼굴이 빨갛게 됨. (P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기대결과
장기목표 : 대상자는 3일 내에 정상체온을 회복한다.
단기목표 : 체온이 36.0~36.7℃의 범위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 체온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 발열로 인한 홍조 띤 얼굴을 진정 시키고 미지근한 물로 닦아준다.
· 활동을 제한하고 안정 취하게 한다.
· 필요시 해열제 투여
· 안정의 중요성을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간호 수행 :
① 체온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② 오한이 없었으므로 이불을 걷고, 환아의 환의를 벗기고, 미온수로 마사지를 해준다. (오한이 있을 시에는 담요로 덮어주고, 오한이 사라지면 미온수 마사지를 해준다.)
③ 활동을 제한하고 안정 취하게 한다.
④ 필요시 해열제 투여한다.
⑤ 안정의 중요성을 보호자에게 설명
이론적 근거 :
① 체온 상승 시 빈맥, 빈호흡, 혈압상승 등이 나타 날 수 있다.
③ 활동을 하거나 환아가 불안해 할 경우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④ Acetaminophen이 흔히 쓰이며, Aspirin은 Reye syndrome이 발생할 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음.
간호평가
· 보호자가 “ 애기 열이 내려간 것 같아요.”라고 하였다.
· 환아의 체온이 36.8도 까지 내려옴.
· 피부색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편안한 모습으로 지냄.
사정
주관적자료 :
“애가 계속 기침하고 가래도 나와요” (보호자)
"숨쉴 때 마다, 특히 잘 때 쌕쌕 거려요." (보호자)
객관적 자료:
기침할 때 가래 끓는 소리가 들린다.
호흡음 청진 시 가래소리(Death rattle)가 있음.
기침시 점액성의 가래가 소량씩 배출됨.
간호진단
#2. 분비물 및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기대결과
대상자는 효율적인 기침과 객담배출로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 V/S 측정 시 호흡양상 관찰한다.
· 타진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 보호자에게 수분섭취 및 가습기 사용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깨어있는 동안에는 반좌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간호 수행 :
① V/S 측정 시 호흡양상 관찰하였다.
② 타진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③ 보호자에게 수분섭취 및 가습기 사용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④ 깨어있는 동안에는 반좌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론적 근거 :
① V/S는 대상자의 상태변화를 신속하게 알려주는 지표이다.
② 기관지 벽에 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고 기도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③ 수분 섭취 및 가습기의 사용은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해짐을 설명해 주어야 한다.
④ 반좌위는 기도를 유지하고 횡경막에 압력을 감소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청진 시 잡음이 들리지 않았다.
· 대상자의 보호자는 효율적인 객담배출 방법으로 가습기사용, 충분한 양의 수분섭취, 흉부 타진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5.06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1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