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염증반응
2. 염증 증상
3. 염증치유과정
● 조직의 재생능력
● 알레르기원
2. 염증 증상
3. 염증치유과정
● 조직의 재생능력
● 알레르기원
본문내용
이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흔히 알레르기원(allergen)이라 한다.
즉시 과민반응은 알레르기(allergy) 또는 아토피(atopy)라고도 한다.
즉시형 과민반응은 항원에 노출되면 IgE 항체를 생산한다.
(1) 알레르기성비염
알레르기성비염(또는 고초열)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흔한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즉시형 과민반응 결과다.
알레르기원
흡입, 소화, 주사, 접촉
임상증상
콧물(rhinorrhea), 코막힘, 눈과 코의 가려움, 눈물 등의 증상
비강분비물은 희고 투명하다.
진단검사
전혈구 검사(CBC)와 백혈구 감별검사가 요구된다.
알레르기성비염 대상자는 호산구가 증가한다.
혈청 IgE 검사와 방사성 알레르겐 흡수검사(radioallergosorbent test, RAST)를 포함한다.
알레르기원을 파악하기 위한 피부검사는 피부를 긁어서 반응을 보는 자극검사(scratch test), 피내반응검사가 있다.
-치료와 간호
회피요법(avoidance therapy)*우선간호
특이한 환경적 알레르기원이 확인되면 확인된 항원을 피하거나 접촉을 금하도록 한다.
약물요법
스테로이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혈관수축제,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와 (leukotrience의 작용을 억제하는 새로운 약물)을 포함한다.
*알레르기성비염 약물요법
항히스타민제[졸음,(침콧물마름)]
Diphenhydramine
-간호중재
중장비 작동이나 운전금지
Cetirizine(Zyrtec)
-간호중재
신장이나 간기능장애 시 용량 감소
Corticosteroid(구강)
Prednisolone
-간호중재
점차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tapering)
단기간 투여
-이론적 근거
전신 부작용이 흔하고 심각함: 위궤양, 상처치유 지연, 면역 감소, 감염위험 증가, 체중 증가, 고혈당, 성격 변화, 체액정체
충혈완화제
염증조직의 혈관을 수축시켜서 부종 완화를 위해 사용한다. 충혈을 완화하기 위한 혈관수축제는 ephedrine, phenylephrine, phenylpropanolamine, pseudoephedrine 등이 있다.
흔한 부작용은 구강건조, 혈압상승, 수면장애다.
고혈압, 녹내장, 요정체(urinary retension) 등의 문제는 충혈완화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탈감작요법(desensitization)
알레르기원은 확인되었으나 계속 피할 수 없을 때 이용한다.
치료기간은 대략 5년이다.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흔히 알레르기원(allergen)이라 한다.
즉시 과민반응은 알레르기(allergy) 또는 아토피(atopy)라고도 한다.
즉시형 과민반응은 항원에 노출되면 IgE 항체를 생산한다.
(1) 알레르기성비염
알레르기성비염(또는 고초열)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흔한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즉시형 과민반응 결과다.
알레르기원
흡입, 소화, 주사, 접촉
임상증상
콧물(rhinorrhea), 코막힘, 눈과 코의 가려움, 눈물 등의 증상
비강분비물은 희고 투명하다.
진단검사
전혈구 검사(CBC)와 백혈구 감별검사가 요구된다.
알레르기성비염 대상자는 호산구가 증가한다.
혈청 IgE 검사와 방사성 알레르겐 흡수검사(radioallergosorbent test, RAST)를 포함한다.
알레르기원을 파악하기 위한 피부검사는 피부를 긁어서 반응을 보는 자극검사(scratch test), 피내반응검사가 있다.
-치료와 간호
회피요법(avoidance therapy)*우선간호
특이한 환경적 알레르기원이 확인되면 확인된 항원을 피하거나 접촉을 금하도록 한다.
약물요법
스테로이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혈관수축제, 항히스타민제, 비만세포안정제와 (leukotrience의 작용을 억제하는 새로운 약물)을 포함한다.
*알레르기성비염 약물요법
항히스타민제[졸음,(침콧물마름)]
Diphenhydramine
-간호중재
중장비 작동이나 운전금지
Cetirizine(Zyrtec)
-간호중재
신장이나 간기능장애 시 용량 감소
Corticosteroid(구강)
Prednisolone
-간호중재
점차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tapering)
단기간 투여
-이론적 근거
전신 부작용이 흔하고 심각함: 위궤양, 상처치유 지연, 면역 감소, 감염위험 증가, 체중 증가, 고혈당, 성격 변화, 체액정체
충혈완화제
염증조직의 혈관을 수축시켜서 부종 완화를 위해 사용한다. 충혈을 완화하기 위한 혈관수축제는 ephedrine, phenylephrine, phenylpropanolamine, pseudoephedrine 등이 있다.
흔한 부작용은 구강건조, 혈압상승, 수면장애다.
고혈압, 녹내장, 요정체(urinary retension) 등의 문제는 충혈완화제를 투여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탈감작요법(desensitization)
알레르기원은 확인되었으나 계속 피할 수 없을 때 이용한다.
치료기간은 대략 5년이다.
추천자료
류머티스성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Lysosome과 Peroxisome을 이용한 독성 연구 방법
모성간호학 실습 - PID case
전신성홍반성루프스
전신성홍반성낭창(루푸스)
[3지각인지]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SLE).
류마티스 관절염, 골 관절염, 통풍 비교
근골격계병태생리
[질환별 물리치료] 류마토이드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아동 APT란
(간호학과) 미생물 요약 총정리
b형간염, b형간염 약, 치료, 간단한 간호진단 3개
[기초간호과학 공통] 1 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2) 종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