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복합운송 정의
3. 복합운송 형태
4. 복합운송의 장점
5. 국제복합운송 주요경로
6. 국제복합운송의 현황 및 효과
7. 결론
8. 참고문헌
2. 복합운송 정의
3. 복합운송 형태
4. 복합운송의 장점
5. 국제복합운송 주요경로
6. 국제복합운송의 현황 및 효과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2) 미니랜드브리지(MLB:Mini-Land-bridge system)
극동에서 미국 서안 항까지 해상운송한 후 미서안 항만에서 철도 또는 철도-도로 운송을 통하여 대서양연안이나 걸프지역까지 내륙 운송하는 경로.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 시베리아대륙횡단철도(Siberian Land-bridge:SLB)
극동지역의 항만에서 유럽과 중앙아시아행의 화물을 러시아 극동 항만인 보스토치니 항으로 해상운송 후 시베리아 철도로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러시아의 서부 국경에서 유럽지역 또는 그 반대루트로 운송하는 복합운송경로. TSR(Trans Siberian Railway)라고도 불린다.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4) 중국대륙횡단철도(Trans China railway:TCR)
중국 연운항에서 시작, 구소련 접경지역인 아라산쿠를 경유하여 러시아 철도와 연결한 후 로테르담항까지 연결하는 복합운송 경로. TCR은 TSR보다 2,000km이상, 해상운송로보다는 9,000km가량 거리가 단축된다.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 국제복합운송 현황
1) TSR 물류 현황
2003년 보스토치니항의 TSR 이용 화물처리 실적은 204,650TEU, 2004년 272,529TEU로 화물 실적이 전년대비 52.9%가 증가 했으며, 2000년 이후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보스토치니아항의 TSR이용 화물처리 실적> 단위:TEU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물동량
72,701
89,917
133,804
204,650
272,529
전년 대비 증가율(%)
-
23.7
48.8
52.9
33
자료 : VICS(Vostochny International Container Services)
운임에 있어서도 해상운송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보여준다.
<대륙횡단철도와 해상 운임비교> 단위:달러/TEU
구분
TSR
해상운송
유럽수출화물
부산→로테르담
부산→밀라노
1,650
1,900
1,876
2,200
유럽수입화물
로테르담→부산
밀라노→부산
1,155
1,330
1,486
1,622
자료 : 이태우 21세기를 향한 한ㆍ중ㆍ러 간 해륙 수송망개발에 관한 연구. 1992
2) TCR 물류 현황
2004년 중국 국경철도역의 수출입 화물운송현황을 살펴보면 총 물동량이 3,750.9만 톤으로 2003년에 비해 707.7만톤(16.1%) 증가하였다. 그 중 수입물동량이 2003년 보다 23.8% 증가한 3,273만 톤이고 수출물동량이 19.4% 증가한 477.9만 톤이다.
<중국 국경철도역의 수출입 화물운송량(2002~2004)> 단위:만톤
연도
수출입 운송량
수입운송량
수출운송량
4대 국경역
2002
2,613(23.5)
2,309(29.3)
304(-8.0)
2,429(25.5)
2003
3,033(16.1)
2,643(14.5)
390(28.7)
2,791(14.9)
2004
3,750.9(23.3)
3,273(23.8)
477.9(19.4)
3,490.2(24.6)
자료 : http://www.china-mor.gov.cn
7. 결론
복합운송은 다수의 운송수단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운송을 하기 때문에 기존물류비를 많이 절감하며, 더욱 단축된 루트로 운송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는 각 국가와 물류를 담당하는 기업의 이익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며, 소비자들 또한 다른 국가의 상품을 빠르고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용이해진 화물추적시스템으로 간단하게 운송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0년 전만해도 받을 수가 없어 구매하지 못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따른 소비가 발생하면서 무역량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전 한 국가의 경제가 발전하게 되는 것이며 나아가 전 세계 경제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앞서 언급했듯이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이런 복합운송업의 발전을 통해 무역에서의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해야하며,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게끔 노력해야한다.
8.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김주중. 한국 복합운송 기업의 중국 물류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2008
김소연. 복합운송경로 선정에 관한 연구 : 서비스요인 중심으로. 2006
박용안. 동북아 국제복합운송 전망과 통과운송 협약의 추진방안 연구. 2011
송선우. 국제운송론. 두남. 2012
권오. 국제무역운송론. 청목출판사. 2012
백종실, 김영민, 우정욱. 국제운송론. 두남. 2011
2) 미니랜드브리지(MLB:Mini-Land-bridge system)
극동에서 미국 서안 항까지 해상운송한 후 미서안 항만에서 철도 또는 철도-도로 운송을 통하여 대서양연안이나 걸프지역까지 내륙 운송하는 경로.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 시베리아대륙횡단철도(Siberian Land-bridge:SLB)
극동지역의 항만에서 유럽과 중앙아시아행의 화물을 러시아 극동 항만인 보스토치니 항으로 해상운송 후 시베리아 철도로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러시아의 서부 국경에서 유럽지역 또는 그 반대루트로 운송하는 복합운송경로. TSR(Trans Siberian Railway)라고도 불린다.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4) 중국대륙횡단철도(Trans China railway:TCR)
중국 연운항에서 시작, 구소련 접경지역인 아라산쿠를 경유하여 러시아 철도와 연결한 후 로테르담항까지 연결하는 복합운송 경로. TCR은 TSR보다 2,000km이상, 해상운송로보다는 9,000km가량 거리가 단축된다.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 국제복합운송 현황
1) TSR 물류 현황
2003년 보스토치니항의 TSR 이용 화물처리 실적은 204,650TEU, 2004년 272,529TEU로 화물 실적이 전년대비 52.9%가 증가 했으며, 2000년 이후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보스토치니아항의 TSR이용 화물처리 실적> 단위:TEU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물동량
72,701
89,917
133,804
204,650
272,529
전년 대비 증가율(%)
-
23.7
48.8
52.9
33
자료 : VICS(Vostochny International Container Services)
운임에 있어서도 해상운송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보여준다.
<대륙횡단철도와 해상 운임비교> 단위:달러/TEU
구분
TSR
해상운송
유럽수출화물
부산→로테르담
부산→밀라노
1,650
1,900
1,876
2,200
유럽수입화물
로테르담→부산
밀라노→부산
1,155
1,330
1,486
1,622
자료 : 이태우 21세기를 향한 한ㆍ중ㆍ러 간 해륙 수송망개발에 관한 연구. 1992
2) TCR 물류 현황
2004년 중국 국경철도역의 수출입 화물운송현황을 살펴보면 총 물동량이 3,750.9만 톤으로 2003년에 비해 707.7만톤(16.1%) 증가하였다. 그 중 수입물동량이 2003년 보다 23.8% 증가한 3,273만 톤이고 수출물동량이 19.4% 증가한 477.9만 톤이다.
<중국 국경철도역의 수출입 화물운송량(2002~2004)> 단위:만톤
연도
수출입 운송량
수입운송량
수출운송량
4대 국경역
2002
2,613(23.5)
2,309(29.3)
304(-8.0)
2,429(25.5)
2003
3,033(16.1)
2,643(14.5)
390(28.7)
2,791(14.9)
2004
3,750.9(23.3)
3,273(23.8)
477.9(19.4)
3,490.2(24.6)
자료 : http://www.china-mor.gov.cn
7. 결론
복합운송은 다수의 운송수단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운송을 하기 때문에 기존물류비를 많이 절감하며, 더욱 단축된 루트로 운송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는 각 국가와 물류를 담당하는 기업의 이익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며, 소비자들 또한 다른 국가의 상품을 빠르고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용이해진 화물추적시스템으로 간단하게 운송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0년 전만해도 받을 수가 없어 구매하지 못한 상품을 구매하고 그에 따른 소비가 발생하면서 무역량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전 한 국가의 경제가 발전하게 되는 것이며 나아가 전 세계 경제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앞서 언급했듯이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이런 복합운송업의 발전을 통해 무역에서의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해야하며,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게끔 노력해야한다.
8. 출처
한국무역협회 www.kita.net
김주중. 한국 복합운송 기업의 중국 물류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2008
김소연. 복합운송경로 선정에 관한 연구 : 서비스요인 중심으로. 2006
박용안. 동북아 국제복합운송 전망과 통과운송 협약의 추진방안 연구. 2011
송선우. 국제운송론. 두남. 2012
권오. 국제무역운송론. 청목출판사. 2012
백종실, 김영민, 우정욱. 국제운송론. 두남. 2011
추천자료
국제 운송에 관한 문제 100문제 출력해오기
한솔CSN 국제 물류 사례조사
[국제경영학]글로벌 물류 산업과 경영전략 분석 (A+리포트)
국제항공운송
국제운송과 서류 종류
국제항공운송
다국적 기업의 국제 물류 국제 아웃소싱 사례연구
국제 물류관리
국제 수송형태의 선택(국제 운송주선업자와 해상수송, 육상수송, 철도수송, 항공수송)
국제운송주선업의 등장배경 및 장단점
국제공항(국제항공)의 특징, 국제공항(국제항공)의 운송, 국제공항(국제항공)의 국제민간항공...
국제운송조약의 종류와 체계
국제도로운송 및 철도운송
3D 프린터 & 국제 물류 . 3D 프린터가 국제 물류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