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알츠하이머병 목차
1. 병태생리
(1) 구조적 변화
(2) 화학적 변화
2. 원인
3. 간호사정
(1) 신체검진
⓵ 알츠하이머병의 단계
⓶ 인지 변화
⓷ 행동과 인성 변화
⓸ 자가 간호 능력의 변화
(2) 심리사정
(3) 진단검사
⓵ 임상 검사
⓶ 방사선 검사
4. 간호진단
5. 간호계획 및 수행
(1) 만성적 정신혼란(chronic confusion)
⓵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 회상요법
⓶ 환경 재정비(structuring the environment)
⓷ 과다한 자극 예방
⓸ 일관성 제공
⓹ 지남력과 타당성 치료
⓺ 일상생활활동에서 독립성 증진
⓻ 배뇨, 배변 조절능력 증진
⓼ 대면 인식 돕기(Assisting with facial recognition)
⓽ 의사소통증진
⓾ 약물요법
⑪ 보완-대체요법
(2) 손상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③ 감정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3) 가족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확보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5) 가정간호
6. 평가
-참고문헌
1. 병태생리
(1) 구조적 변화
(2) 화학적 변화
2. 원인
3. 간호사정
(1) 신체검진
⓵ 알츠하이머병의 단계
⓶ 인지 변화
⓷ 행동과 인성 변화
⓸ 자가 간호 능력의 변화
(2) 심리사정
(3) 진단검사
⓵ 임상 검사
⓶ 방사선 검사
4. 간호진단
5. 간호계획 및 수행
(1) 만성적 정신혼란(chronic confusion)
⓵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 회상요법
⓶ 환경 재정비(structuring the environment)
⓷ 과다한 자극 예방
⓸ 일관성 제공
⓹ 지남력과 타당성 치료
⓺ 일상생활활동에서 독립성 증진
⓻ 배뇨, 배변 조절능력 증진
⓼ 대면 인식 돕기(Assisting with facial recognition)
⓽ 의사소통증진
⓾ 약물요법
⑪ 보완-대체요법
(2) 손상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③ 감정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3) 가족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확보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5) 가정간호
6.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ntipsychotics: neuroleptics)
· risperidone(risperdal)
· olanzapine(zyprexa)
· quetiapine(seroquel)
benzodiazepines
· lorazepam(ativan)
· temazepam(restoril)
· oxazepam(serax)
수면장애
zolpidem(ambien)
행동장애가 있는 경우 clozapine(clozaril), risperidone(risperdal), olanzapine(zyprexa)과 같은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⑪ 보완-대체요법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기 위한 많은 보완 대체요법이 있다. 약물로는 비타민E와 selegline(항산화제), ibuprofen, estrogen, melatonin, nicotine patch가 있다.
노인 요양시설에서는 대상자의 격앙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술, 마사지, 무용, 음악치료를 종종사용하고 있다.
(2) 손상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간호사는 대상자가 항상 팔찌나 배지를 착용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입원한 경우 대상자가 방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대상자가 자주 걸으면 불안정이 감소할 수 있다. 대상자가 배회하기 시작하면 간호사가 방향을 다시 가르쳐주고 대상자가 가려고 하는 곳을 규명한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옷을 사러 쇼핑하러 가겠다고 고집을 부리면 대상자를 옷장으로 데리고 가서 옷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상자는 단기 기억상실이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행동은 여러 번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어떤 곳이든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도록 계획한다. 개별 혹은 집단 활동이나 레크리에이션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방용 조끼, 노인용 의자와 같은 신체 억제대는 불안정과 감정동요를 악화시키므로 사용을 자제하고 마지막 대안으로 사용한다.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대상자는 판단력 상실, 망각, 기동력 손상으로 유해한 물체나 상황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손상받을 위험이 있다.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는 모든 물건을 제거하거나 안전한곳에 보관한다. 질병후기에는 대상자가 발작을 경험할 수 있다. 간호사는 각 기관의 규정에 따라 발작을 예방하고 발작 동안 적절한 간호를 수행한다. 대상자가 밖으로 나갈 대는 전화번호와 주소가 적힌 이름표를 꼭 착용하도록 한다.
③ 감정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감정동요가 나타나면 간호사는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하고 긍정적인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시킨다. 대상자가 격앙상태에 있다면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나중에 다시 올 것이라고 설명한 후 방을 떠나며, 대상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튜브나 거치물을 잡아 빼려고 할 것이다. 튜브나 캐뉼라를 대상자가 쉽게 볼 수 없는 부분에 삽입하고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킨다. 관심을 전환시키기 위해 대상자가 좋아하는 물건을 제공하도록 한다.
(3) 가족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확보
가족들은 질병과 문제에 관한 정보 교환과 서로간의 지지를 위해 알츠하이머병의 지지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간호사는 가족에게 지지 환경을 만들어 주고 가족간 서로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준다. 간호로 지쳐 있을 때는 쉴 수 있도록 단기 요양시설을 소개해준다.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알츠하이머 대상자들은 종종 밤에 잠을 자지 못하고 낮에 조는 경향이 있다. 밤에 잠을 잘 자게 하기 위해 낮 동안 매일 정기적으로 수동적 활동, 걷기, 스트레칭과 같은 활력 있는 운동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늦은 오후에 잠이 오더라도 가능한 자지 않도록 한다.
질병의 후기에 있는 대상자는 밤낮으로 많은 시간을 자게 된다.
간호사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와 투약 스케쥴을 조정한다. 이상의 노력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가벼운 항불안제나 수면제를 처방해준다.
(5) 가정간호
알츠하이머병은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말기에는 지남력을 상실하고 타인에게 의존하게 되는 병이다. 초기단계에서 대상자는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집에서 간호하게 된다.
간호 제공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교육 지침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에게 현실적인 기대를 유지한다.
한 번에 한 가지씩 처리한다.
매 상황에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도록 애쓴다.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와 유머를 사용한다.
매일 일정시간 휴식이나 여가활동을 위해 비워둔다.
일정기간 동안 환자를 돌보아 줄 기관을 찾는다.
지지 그룹 모임 등 알츠하이머 협회의 자원을 이용한다.
질병 후기에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질병 초기에 대안적 간호시설을 찾는다.
대상자는 기억력, 인격, 행위 변화가 더 뚜렷해짐에 따라 친구와 사회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사회적 고립감과 활동 감소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족의 책임이 증가하게 된다. 대상자의 간호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족의 사회활동 시간이 감소한다. 간호사는 가족들의 사회적 접촉과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많은 가족들은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 정서 건강에 영향을 받게 된다. 간호사는 간호제공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교육지침을 제공하고, 가족이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대상자를 단기간 돌보아 주는 단기 요양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가족들에게 대상자가 불안정, 감정동요, 투쟁적, 독설적이 될 상황에 준비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가족들은 질병 단계에 따라 현실 오리엔테이션이나 타당성 요법을 배울 수 있다.
6. 평가
간호사는 간호진단과 문제를 기초로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의 간호를 평가한다. 기대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능한 오래 가정에서 생활한다.
·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간 자가 간호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을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 낙상으로 인한 손상, 발작, 환경 위험이 없다.
· 질병 초기에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해 다시 지남력을 갖는다.
· 밤에 충분히 자고 적절한 시간에 깬다.
참고문헌)
병리학-현문사
성인간호학-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성인간호학-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매뉴얼-현문사
· risperidone(risperdal)
· olanzapine(zyprexa)
· quetiapine(seroquel)
benzodiazepines
· lorazepam(ativan)
· temazepam(restoril)
· oxazepam(serax)
수면장애
zolpidem(ambien)
행동장애가 있는 경우 clozapine(clozaril), risperidone(risperdal), olanzapine(zyprexa)과 같은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⑪ 보완-대체요법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기 위한 많은 보완 대체요법이 있다. 약물로는 비타민E와 selegline(항산화제), ibuprofen, estrogen, melatonin, nicotine patch가 있다.
노인 요양시설에서는 대상자의 격앙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술, 마사지, 무용, 음악치료를 종종사용하고 있다.
(2) 손상위험성(risk for injury)
① 불안정과 배회 대처 방안
간호사는 대상자가 항상 팔찌나 배지를 착용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입원한 경우 대상자가 방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대상자가 자주 걸으면 불안정이 감소할 수 있다. 대상자가 배회하기 시작하면 간호사가 방향을 다시 가르쳐주고 대상자가 가려고 하는 곳을 규명한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옷을 사러 쇼핑하러 가겠다고 고집을 부리면 대상자를 옷장으로 데리고 가서 옷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상자는 단기 기억상실이 있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행동은 여러 번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어떤 곳이든 대상자가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도록 계획한다. 개별 혹은 집단 활동이나 레크리에이션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방용 조끼, 노인용 의자와 같은 신체 억제대는 불안정과 감정동요를 악화시키므로 사용을 자제하고 마지막 대안으로 사용한다.
② 안전 확보(ensuring safety)
대상자는 판단력 상실, 망각, 기동력 손상으로 유해한 물체나 상황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손상받을 위험이 있다.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는 모든 물건을 제거하거나 안전한곳에 보관한다. 질병후기에는 대상자가 발작을 경험할 수 있다. 간호사는 각 기관의 규정에 따라 발작을 예방하고 발작 동안 적절한 간호를 수행한다. 대상자가 밖으로 나갈 대는 전화번호와 주소가 적힌 이름표를 꼭 착용하도록 한다.
③ 감정동요의 최소화(minimize agitation)
감정동요가 나타나면 간호사는 조용하고 부드럽게 말하고 긍정적인 활동으로 관심을 전환시킨다. 대상자가 격앙상태에 있다면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나중에 다시 올 것이라고 설명한 후 방을 떠나며, 대상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튜브나 거치물을 잡아 빼려고 할 것이다. 튜브나 캐뉼라를 대상자가 쉽게 볼 수 없는 부분에 삽입하고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킨다. 관심을 전환시키기 위해 대상자가 좋아하는 물건을 제공하도록 한다.
(3) 가족대응/간호 제공자 역할 긴장의 대안확보
가족들은 질병과 문제에 관한 정보 교환과 서로간의 지지를 위해 알츠하이머병의 지지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간호사는 가족에게 지지 환경을 만들어 주고 가족간 서로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준다. 간호로 지쳐 있을 때는 쉴 수 있도록 단기 요양시설을 소개해준다.
(4) 수면 양상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알츠하이머 대상자들은 종종 밤에 잠을 자지 못하고 낮에 조는 경향이 있다. 밤에 잠을 잘 자게 하기 위해 낮 동안 매일 정기적으로 수동적 활동, 걷기, 스트레칭과 같은 활력 있는 운동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늦은 오후에 잠이 오더라도 가능한 자지 않도록 한다.
질병의 후기에 있는 대상자는 밤낮으로 많은 시간을 자게 된다.
간호사는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치료와 투약 스케쥴을 조정한다. 이상의 노력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가벼운 항불안제나 수면제를 처방해준다.
(5) 가정간호
알츠하이머병은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말기에는 지남력을 상실하고 타인에게 의존하게 되는 병이다. 초기단계에서 대상자는 외부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집에서 간호하게 된다.
간호 제공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교육 지침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에게 현실적인 기대를 유지한다.
한 번에 한 가지씩 처리한다.
매 상황에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도록 애쓴다.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와 유머를 사용한다.
매일 일정시간 휴식이나 여가활동을 위해 비워둔다.
일정기간 동안 환자를 돌보아 줄 기관을 찾는다.
지지 그룹 모임 등 알츠하이머 협회의 자원을 이용한다.
질병 후기에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질병 초기에 대안적 간호시설을 찾는다.
대상자는 기억력, 인격, 행위 변화가 더 뚜렷해짐에 따라 친구와 사회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사회적 고립감과 활동 감소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족의 책임이 증가하게 된다. 대상자의 간호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족의 사회활동 시간이 감소한다. 간호사는 가족들의 사회적 접촉과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많은 가족들은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 정서 건강에 영향을 받게 된다. 간호사는 간호제공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교육지침을 제공하고, 가족이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대상자를 단기간 돌보아 주는 단기 요양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가족들에게 대상자가 불안정, 감정동요, 투쟁적, 독설적이 될 상황에 준비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가족들은 질병 단계에 따라 현실 오리엔테이션이나 타당성 요법을 배울 수 있다.
6. 평가
간호사는 간호진단과 문제를 기초로 알츠하이머병 대상자의 간호를 평가한다. 기대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능한 오래 가정에서 생활한다.
·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간 자가 간호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을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 낙상으로 인한 손상, 발작, 환경 위험이 없다.
· 질병 초기에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해 다시 지남력을 갖는다.
· 밤에 충분히 자고 적절한 시간에 깬다.
참고문헌)
병리학-현문사
성인간호학-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성인간호학-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매뉴얼-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알츠하이머 치매
Crohn`s disease(크론즈병)
알츠하이머
수두증,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약물(마취,환각, 알츠하이머,등등)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대한 음악치료에 대한 글 해석
[정신분열병] 조현병에 대한 사례연구 (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노인 근골격계 질환 :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변형성 관절증, 골절, 절단, 파킨슨병, 골다공증
프리온 질환 병인, 역학적 특성
정신건강센터(시설)의 역할 {시설의 존재 및 역할, 조현병 (Schizophrenia), 조울증(Bipolar ...
정신과질환 조사(조현병,양극성 장애, 우울증.공황장애등등)
영화감상문 솔로이스트 (조현병 정신분석 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