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QI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관리학 QI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주제 선정의 이유
2.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Ⅱ.본론
1.문헌고찰
2.생선 뼈 모양(Fish bone)

Ⅲ.결론 및 평가

1.결론
2.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을 간호하듯이!” - 교차감염 줄이기
① 원인&이유
의료인의 환자 접촉 전/후 손씻기 부족
환자 침상에 손 소독제 비치 되어 있지 않음
감염 환자만 사용하는 물품이 구비되어있지 않음
병실 앞 감염환자 표시되어있지 않음
보호자의 감염지식 부족
2) 설비
모든 침대에 손소독제 젤 비치하기
병실 앞 이름표과 침대에 감염 표시 스티커 부착
감염 환자 옆에 그 환자만의 V/S 물품 구비해놓기
병실마다 감염책자 만들어 비치하기
3) 절차
감염에 관한 교육자료 개발
개발된 교육자료를 이용한 입원 시 보호자 교육
- 감염 표시 스티커에 대한 설명
- 손씻기의 중요성과 올바른 방법 설명
- 감염균의 전파 경로에 대해 설명
- 감염 예방법에 대해 설명
- 보호장비에 대한 중요성과 올바른 착용법 설명
- 감염 환자에 대해 면회제한 설명하기
신규 및 기존 간호사의 감염에 관한 교육실시
감염관리실의 모니터링 및 병동별 평가
4) 인력
0W 수간호사 선생님
0W 간호사
학생 간호사
환자 및 보호자
청소 여사님
0000병원 감염관리실 직원
5) 효과
의료인의 환자 접촉 전/후 손씻기 이행으로 교차감염률이 감소한다.
다른 환자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품을 개별로 사용하여 다른 환자의 물품으로 인한 감염이 감소한다.
환자 입원 시 보호자 교육을 철저히 함으로서 보호장비 착용률이 높아진다.
병실 앞 감염 스티커 부착으로 인해 감염 환자임을 상기시켜 주의률이 높아진다.
Ⅲ.결론 및 평가
1.주제 관련 내용에 대한 요약
현재 0000병원 0W 내에 MRSA환자와 TB환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실 앞에 표시가 되어있지 않아 아무 보호장비 없이 환자를 만지게 되고, 환자 접촉 전 손씻기가 되지 않고, 감염 환자만의 처치 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높았다. 이를 모든 침대에 손소독제를 비치해 놓고, 감염표시 스티커를 병실앞에 붙여놓고, 감염환자만의 V/S 기구를 마련하며 감염책자를 비치하여 교차감염을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감염에 대한 교육 등을 하여 교차감염률을 낮춘다.
3. 참고문헌
1. 유문숙 외 5명. 일반 병원감염, MRSA 및 VRE 감염관리에 대한 간호사
의 인지도와 수행정도 비교연구. 기본간호학회지. 2004, 4; 11(1), 31-40
2. 김명자.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지식, 인지도 및 실천정도. 초당대학교 산업
대학원 간호학과. 2010, 2; 1-6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5.31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