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분만시작이론
1.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이론
2. 옥시토신 이론
3. 태아의 내분비 조절이론
4. 프로스타글란딘 이론
5. 자궁신전 이론
II. 분만의 전구증상
1. 하강감
2. 블랙스턴 힉 수축
3. 이슬
4. 양막의 자연파열
5. 기타 증상
III. 정상 분만기전
1. 진입
2. 하강
3. 굴곡
4. 내회전
5. 신전
6. 복구 및 외회전
7. 만출
1.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이론
2. 옥시토신 이론
3. 태아의 내분비 조절이론
4. 프로스타글란딘 이론
5. 자궁신전 이론
II. 분만의 전구증상
1. 하강감
2. 블랙스턴 힉 수축
3. 이슬
4. 양막의 자연파열
5. 기타 증상
III. 정상 분만기전
1. 진입
2. 하강
3. 굴곡
4. 내회전
5. 신전
6. 복구 및 외회전
7. 만출
본문내용
구가 상방으로 벌어지면서 선진부가 신전되고 아두가 가슴에서 턱이 떨어지면서(고개를 들면서) 만출된다. 먼저 후두, 전정, 앞이마, 눈, 코, 입, 턱 순서로 분만된다.
6. 복구 및 외회전
아두는 만출된 후 골반입구에서 진입된 그 상태의 위치로 회전하는데 이를 복구라 한다. 그후 어깨가 내회전하는 동안 아두는 45도 외회전하여 등과 어깨가 나란히 일치된다. 외회전은 태아의 넓은 견폭이 골반출구의 전후경선과 일치하여 태아의 몸체가 만출하기 위해 일어난다.
7. 만출
어깨가 만출된 후 아두와 어깨는 모체의 치골 쪽으로 들어 올려 지면서 태아의 몸은 굴곡 된 채 치골결합을 향하여 측면으로 만출된다. 태아가 완전히 만출될 때 분만이 완성되고 분만2기가 종결된다. 이 시간은 출생시간으로 기록지에 기입해야 한다.
6. 복구 및 외회전
아두는 만출된 후 골반입구에서 진입된 그 상태의 위치로 회전하는데 이를 복구라 한다. 그후 어깨가 내회전하는 동안 아두는 45도 외회전하여 등과 어깨가 나란히 일치된다. 외회전은 태아의 넓은 견폭이 골반출구의 전후경선과 일치하여 태아의 몸체가 만출하기 위해 일어난다.
7. 만출
어깨가 만출된 후 아두와 어깨는 모체의 치골 쪽으로 들어 올려 지면서 태아의 몸은 굴곡 된 채 치골결합을 향하여 측면으로 만출된다. 태아가 완전히 만출될 때 분만이 완성되고 분만2기가 종결된다. 이 시간은 출생시간으로 기록지에 기입해야 한다.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casestudy (LAVH)
모성간호학 전치태반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 분만실 케이스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레포트[나인먼쓰 감상] 임신관련 영화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 분만실 데일리 DR daily
여성간호학실습 자연분만 질분만 NSVD 케이스스터디
정신건강간호학 3학년 2학기 과제
[여성간호학] 다태임신과 임신오조증 문헌고찰 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자궁경부암 cervix cancer case study
정신건강간호학) 사회문화적 이해
여성간호학 생식기종양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