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그리드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이해 및 이용지역 사례 현황 ( 디지털 전력 보급 체계 )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 그리드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이해 및 이용지역 사례 현황 ( 디지털 전력 보급 체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란?

II. 본론
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원리
2.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효과
3.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과 현재 전력망의 차이
4. 스마트 그리드 관련기술
4.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국내외 도입 사례
(a) 국내 도입 사례
(b) 해외 도입 사례

III. 결론
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해결과제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사용에 대한 정보 제공 및 분석 등이 수행되었으며, 2단계 사업에서는 발전소, 배전 설비, 소비자를 포함하는 정보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며, 추가적인 스마트 미터 보급 사업 및 전기자동차 보급 등도 포함하고 있다.
2. 유럽의 스마트 그리드 현황
EU는 2010년까지 에너지 소비 중 재생 에너지에의한 비중이 12%까지 도달하도록 목표를 수렴했다. 또한 EU 가입국들은 재생 에너지원에 의한 저기소비 비율에 대한 국가 목표를 택해왔는데 모든 가입국들이 국가별 목표를 달성할 경우 전기 소비중 재생 에너지원에 의한 전기 비율이 21%를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EU가 제시한 로드맵에 따르면 거대한 양의 재생 에너지의 통합과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 그리드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A. 독일
독일은 스마트 그리드 프로젝트를 미래 성장 동력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6개의 지역에서 6개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1천만 유로, 즉 6천만 유로의 정부 지원금이 제공되고 있으며 참여 기업의 출연금은 8천만 유로로 총 1억 4천만 유로가 투자되어 2012년까지 시범사업이 시행될 예정이다.
B.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시는 EU 최초의 지능형 청정도시의 구현을 목표로 2006년 암스테르담시와 전력회사인 Alliander사가 암스테르담 스마트 시티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제 1단계 사업의 투자비는 약 11억 유로의 수준이며 스마트 그리드에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주택용 소비자에 대한 스마트미터 및 디스플레이 보급사업
2. 스마트 빌딩 사업
3.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전기충전 시범 사업
4. 주요 상가지역인 Ucrechtsestraat을 대상으로 가로등 및 건물 벽면에의 고효율 조명 설치, 상점 및 레스토랑 내부에 스마트 미터와 에너지 소비량 디스플레이 설치 사업 등이 있다.
C. 영국
영국은 최근 대규모 풍력단지의 도입, 효율적인 난방 시스템 구축, 전기자동차 적극적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가 스마트 그리드 마스터 플랜을 제시하였고, 2010년 초에 상세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영국의 저탄소 경제 구축의 핵심은 실시간으로 소비자에게 소비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미터 및 스마트 그리드 기술이다. 이를 위해 영국 정부는 스마트 미터 기술 개발에 6백만 파운드를 투자하고, 에너지 규제기관인 Ofgem은 향후 5년 동안 스마트 그리드 시범사업을 위해 5억 파운드 수준의 재원을 마련할 것이라 공표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에너지 공급 사업자, 가전기기 제조업체, 스마트 그리드 전문기업이 연합하여 실시간 연동형 스마트 가전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져있다.
III. 결론
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과제
1.1 전력망 보안시스템 구축
현재 전력망과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디지털로 전기 공급 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킹과 같은 사이버 공격에 위험할 수 밖에 없다.
- 스마트 기기, 시스템의 설계단계부터 보안성이 고려될 수 있도록 보안 가이드라인 마련
- 제주 실증단지 내에서 주기적으로 모의 해킹 실험, 사이버 테러 훈련 등을 실시하여
보안기기, 시스템의 보안 적합성 검증
1.2 새로운 요금 체제 도입
용도별 요금체계는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요소인 실시간 가격신호 기능을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기의 판매시장에서 경쟁체제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용도별 요금체계에서는 판매 경쟁이 어려우므로 이는 결국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구현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기요금이 가격기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체계로 전환하여 용도별 교차보조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요금제를 원가와 연동하여 실시하는 요금제가 필요로 하다.
1. 변동비(연료비)
전기 요금 연료비 연동제를 시행하여 연료비 변동분을 전기 사용량에 따라 전기요금에 반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요금 연료비 연동제를 실시할 경우 전기요금의 급격한 인상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료 가격의 변동과 환율에 의한 연료비 변동을 적기에 반영하여 전력 수요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1970년부터 연동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1996년부터 도입 실시중이다.
2. 고정비(운전유지비 및 투자비)
운전 유지비 및 투자비와 같은 고정비의 회수 여부는 매년 연 1회 기본요금 산정시 반영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1.3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도입을 위한 정책 과제
1. 기술 개발 및 표준화 지원
1.1 스마트 그리드 핵심 기술 개발 지원
- 신재생 발전,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술인 에너지 저장 기술 및 전략망 IT와 핵심기술, 보안 기술 등의 핵심 기술 개발계획을 구체화해 2009년 중에 확정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보안 요소기술 및 시스템 등 핵심 기술 개발 계획 병행 수립
- 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등 관련 산업 보급 계획과 연계한 기술 개발로 녹색 정책의
일관성 확보
- 정부는 큰 중장기 기술개발에 중점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단기 상용화 분야는 실증 단지 등을 통해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
1.2 스마트 그리드 기술, 제품의 조기 국제 표준화 지원
- IT 전력 가전 등 기술간 상호 호환성 확보를 위한 스마트 그리드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
- 표준화 관련 국제회의 유치 및 산, 학, 연 전문가의 국제포럼활동 지원 프로그램 활성화
IV. 출처 및 참고 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46521&cid=51639&categoryId=51639
(EBS 동영상)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B%A7%88%ED%8A%B8_%EA%B7%B8%EB%A6%AC%EB%93%9C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31205000487
스마트그리드 해외사업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verseas Business Strategies of Smart Grid Project - 배재대학교 김범수
스마트 그리드 성공을 위한 추진 정책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여현구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06.03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