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의 효능] 허브의 구성성분과 항산화 효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브의 효능] 허브의 구성성분과 항산화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허브의 범주
2. 허브의 용도
3. 허브의 구성성분
1) 일반성분
2) 페놀성분
3) 무기질함량
4) 지방산과 유리당
5) 향기성분
4. 항산화 효과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 민트 순이다. 허브식물은 여러 종류의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무기성분은 대체적으로 칼슘함량이 가장 높으며,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의 함량 순으로 높다. 허브 종류별 무기물 함량은 상이한 편으로, 칼슘함량은 보리지, 치커리에서 높고 칼륨은 나래지치, 보리지, 파슬리에서 철분은 고수, 나래지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대체로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함량보다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함량이 더 높은 편이다. 유리당의 경우 sucrose, glucose 및 rhamnose가 미량 존재한다. 향기성분의 주요성분은 terpinene, thujone, phellandrene, ocimene, pinenem, cineole, verbenone 등이다.
서양 허브식물의 항산화 활성에 있어서는 spearmint, marjoram, sweet bail 및 rosemary 식물의 추출물에서 토코페롤, BH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서양허브의 항산화효과에서처럼 국내에서 재배한 허브 식물체들도 유사한 경향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국내에서도 허브 식물체를 대량으로 재배하여 부작용이 없는 유용식물의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김영경(2000). 허브의 기능성. 한국식품연구원
캐서린 허킨스(2008). 세계의 명품 허브와 향신료 HERBS & SPICES. 세경
하순혜(2006). 허브도감. 아카데미서적
네이버 지식백과
  • 가격1,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6.10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4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