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니요, 또한 춘원의 전부가 아니듯이 아주 지극히 작은 생각일 뿐이며 그가 쓴 글은 그 당시에도 지금도 영향력을 일으키며 좋은 문학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생각하게 됩니다, 그가 진짜 문학으로 이루고 한 계몽은 무엇이고 계몽과 문학의 접합지점은 무엇일까. 저는 오랫동안 그 생각에 춘원을 잊지 못 할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일본 신파극
문체를 통한 근대소설의 발전 과정
민족주의와 문학
문학 속의 과학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문체상의 특질과 근대성
[김동인의 광화사 심리주의적 접근] 작가 김동인과 그의 작품 광화사에 대하여
조지오웰의 1984를 읽고 창의적 글쓰기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한국문학][문학][고전문학][현대문학]한국(한국문학) 고전문학, 한국(한국문학) 근대문학, ...
고등교육과정의 필독서 비교 및 경향 분석
춘원의 1910년대 단편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1910년, 1920년대 소설 (우리나라 신소설)
‘1910’ 년대 문학 (1910년대 문학, 근대문학의 출발점, 1910년대 문학의 양상, 시의 양상,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