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1.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녹지면적과 야생조류의 관계
2) 녹지용적과 야생조류의 관계
3) 배후녹지에서의 거리와 야생조류의 관계
4) 녹지의 층위구조와 야생조류의 관계
5) 야생조류의 선호도가 높은 수종
2.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 방법
1) 엽층의 다양화를 통한 먹이 자원 제공
2) 인공새집의 제공 등
3) 대면적 도시림 유지
4) 생태통로 보호 및 조성
Ⅲ. 결 론
* 참고문헌
Ⅱ. 본 론1.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녹지면적과 야생조류의 관계
2) 녹지용적과 야생조류의 관계
3) 배후녹지에서의 거리와 야생조류의 관계
4) 녹지의 층위구조와 야생조류의 관계
5) 야생조류의 선호도가 높은 수종
2.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 방법
1) 엽층의 다양화를 통한 먹이 자원 제공
2) 인공새집의 제공 등
3) 대면적 도시림 유지
4) 생태통로 보호 및 조성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능할 경우 관목층의 식재 비율을 높여 녹지를 조성하면 보다 많은 야생조류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주연부에 다양한 종과 많은 개체수가 출연하고 있는데 주연부에 출현하는 야생 조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파트단지 내 주연부 식생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야생조류는 각 종마다 생태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야생조류 서직공간조성을 위해서는 유치목표종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파트단지 내 유입 잠재성을 가진 조류로는 검은댕기해오라기, 노랑할미새, 알락할미새, 귀제비, 제비, 박새, 큰부리까마귀, 힝둥새, 쇠박새, 오목눈이, 멧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 굴뚝새, 곤줄박이, 노랑턱멧새, 딱새, 쇠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진박새, 어치, 산솔새, 쇠솔새, 조롱이로 총24종을 선정할 수 있다. 이중 쇠딱다구리, 오색딱다루기, 청딱다구리, 진박새, 어치, 산솔새, 쇠솥새, 조롱이와 같은 산림성 조류의 유입은 산림을 주로 이용하는 생태적 특성상 단시일에 이루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수변, 시가지, 주택지 및 작은 숲을 주로 이용하는 야생조류는 도시 지역의 아파트단지 내에 충분히 유치 가능한 목표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한 아파트단지 내에서 유치 가능한 목표종을 대상으로 각 야생조류별 서식공간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송인주(2015). 조류 도심유입을 위한 서식환경 개선 방안
원병오(2004). 자연 생태계의 복원과 관리. 다른세상
노백호 외(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셋째, 주연부에 다양한 종과 많은 개체수가 출연하고 있는데 주연부에 출현하는 야생 조류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파트단지 내 주연부 식생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야생조류는 각 종마다 생태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야생조류 서직공간조성을 위해서는 유치목표종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파트단지 내 유입 잠재성을 가진 조류로는 검은댕기해오라기, 노랑할미새, 알락할미새, 귀제비, 제비, 박새, 큰부리까마귀, 힝둥새, 쇠박새, 오목눈이, 멧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 굴뚝새, 곤줄박이, 노랑턱멧새, 딱새, 쇠딱다구리, 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진박새, 어치, 산솔새, 쇠솔새, 조롱이로 총24종을 선정할 수 있다. 이중 쇠딱다구리, 오색딱다루기, 청딱다구리, 진박새, 어치, 산솔새, 쇠솥새, 조롱이와 같은 산림성 조류의 유입은 산림을 주로 이용하는 생태적 특성상 단시일에 이루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수변, 시가지, 주택지 및 작은 숲을 주로 이용하는 야생조류는 도시 지역의 아파트단지 내에 충분히 유치 가능한 목표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한 아파트단지 내에서 유치 가능한 목표종을 대상으로 각 야생조류별 서식공간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송인주(2015). 조류 도심유입을 위한 서식환경 개선 방안
원병오(2004). 자연 생태계의 복원과 관리. 다른세상
노백호 외(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문제 (환경오염 사회문제 사회복지)
환경문제 (헌법적시각에서의 환경문제)
북한의 자연환경과 환경정책
숲의 기능과 우리에게 주는 혜택
독일의 환경운동 및 환경제도
수도권 생태 보고 레포트 -히어리 단풍숲길
[환경]태안 앞바다 원유누출사고로 살펴본 환경사고 대책
맹그로브 숲
숲에게 길을 묻다를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생태 혹은 숲 교육에 대한 조사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자연환경, 물리적 요인, 식물생장(식물성장)의 무성생식, 발육, 식물생...
2015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영향평가법을 비교)
2017년 2학기 환경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영향평가법을 비교)
[환경사회학] 송전탑 건설에 따른 환경문제의 사회학적 분석 - 태백. 삼척 지역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