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아 주로 초기 작품에 사용도니 수지법 중의 하나로 보여 집니다.
또한 황공망 양식의 표현도 나타나 있는데, 심사정이 순수한 황공망 양식이 아니라 명말 청초 양식화된 황공망 양식을 배웠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증거는 왼쪽 아래 토파 부근 바위에 보이는 Y자형 주름으로, 이러한 Y자형 주름은 산수도나 촉잔도 등 후기 작품에서는 더욱 뚜렷해지고 도식적인 면까지 나타내었습니다.
이처럼 수지법이나 준법 등 기법적인 면에서 화보를 따르고 있지만, 최초의 기년작인 주유관폭과 비교하여 훨씬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강상야박도는 근경과 중경의 바위와 훨씬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근경과 중경의 바위와 토파에 가해진 피마준과 미점, 그리고 연운에 쌓여 보일 듯 말 듯한 마을과 주산을 표현한 미법 등은 부드럽고 습윤한 대지의 느낌과 저물어 가는 강가의 정경을 잘 나타내었습니다. 또한 전경에서 중경으로, 그리고 다시 원경으로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시선의 흐름을 유도하며 전개되는 짜임새 있는 구도나 각 경물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 내는 고즈넉한 분위기는 심사정이 이룩한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현재 심사정의 인생을 통해서 강상야박도에 대해서 알아 본 결과 현재 심사정의 화풍의 형성은 조선중기 화풍의 계승과 정선 화풍의 학습, 중국 화보의 수용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남종화법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바탕으로 하규잡수법, 수지법, 문인화 기법 등을 사용하여 독자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작품에 있어 기법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을 동시에 추구했던 심사정은 철저한 전문적인 문인화로서, 그의 불행한 삶은 오히려 그림에 있어서는 기법적인 완성도에 입각하여 남·북종화법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었고, 심사정은 이러한 여건을 십분 활용해 진적과 화보를 통해 옛 화결을 연구하여 마침내 독자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심사정의 강상야박도는 문인화 기법을 교과서처럼 보여주고 있는데, 화면의 산과 바위에는 슬슬 부드럽게 먹선을 그어 질감을 표현하였고 산석의 윤곽선을 따라가며 먹점을 잘게 찍어 넣었으며, 이러한 선과 점은 토지를 부드럽게 표현하고 분위기를 평온하게 해 주고 있습니다. 크지 않고 볼품없는 나무 몇 그루가 모여 작은 숲을 이루며 소박한 운치를 보여 주는 대표적 양식인 미술과 슬슬 부드럽게 긋는 피마준을 사용하여, 그림 상단 먼 산턱 아래 잘게 보이는 나무를 표시하였고, 그림 하단 언던 위로 숲을 그리며, 문인화 기법으로 착실하게 그려내어 현재 심사정의 회화적 기량의 깊이를 증명해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재 심사정의 경상야박도을 조사하면서 그림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많이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저 또한 그림을 그릴 때 인생과 의도, 다양한 화법을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현재 심사정 연구 - 이예성 저 | 일지사 | 2000.08.15
우리 그림 백가지 - 박영대 저 | 현암사 | 2002.06.10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 고연희 저 | 다섯수레 | 2012.11.10
또한 황공망 양식의 표현도 나타나 있는데, 심사정이 순수한 황공망 양식이 아니라 명말 청초 양식화된 황공망 양식을 배웠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증거는 왼쪽 아래 토파 부근 바위에 보이는 Y자형 주름으로, 이러한 Y자형 주름은 산수도나 촉잔도 등 후기 작품에서는 더욱 뚜렷해지고 도식적인 면까지 나타내었습니다.
이처럼 수지법이나 준법 등 기법적인 면에서 화보를 따르고 있지만, 최초의 기년작인 주유관폭과 비교하여 훨씬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강상야박도는 근경과 중경의 바위와 훨씬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근경과 중경의 바위와 토파에 가해진 피마준과 미점, 그리고 연운에 쌓여 보일 듯 말 듯한 마을과 주산을 표현한 미법 등은 부드럽고 습윤한 대지의 느낌과 저물어 가는 강가의 정경을 잘 나타내었습니다. 또한 전경에서 중경으로, 그리고 다시 원경으로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시선의 흐름을 유도하며 전개되는 짜임새 있는 구도나 각 경물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 내는 고즈넉한 분위기는 심사정이 이룩한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현재 심사정의 인생을 통해서 강상야박도에 대해서 알아 본 결과 현재 심사정의 화풍의 형성은 조선중기 화풍의 계승과 정선 화풍의 학습, 중국 화보의 수용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남종화법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바탕으로 하규잡수법, 수지법, 문인화 기법 등을 사용하여 독자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작품에 있어 기법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을 동시에 추구했던 심사정은 철저한 전문적인 문인화로서, 그의 불행한 삶은 오히려 그림에 있어서는 기법적인 완성도에 입각하여 남·북종화법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었고, 심사정은 이러한 여건을 십분 활용해 진적과 화보를 통해 옛 화결을 연구하여 마침내 독자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했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심사정의 강상야박도는 문인화 기법을 교과서처럼 보여주고 있는데, 화면의 산과 바위에는 슬슬 부드럽게 먹선을 그어 질감을 표현하였고 산석의 윤곽선을 따라가며 먹점을 잘게 찍어 넣었으며, 이러한 선과 점은 토지를 부드럽게 표현하고 분위기를 평온하게 해 주고 있습니다. 크지 않고 볼품없는 나무 몇 그루가 모여 작은 숲을 이루며 소박한 운치를 보여 주는 대표적 양식인 미술과 슬슬 부드럽게 긋는 피마준을 사용하여, 그림 상단 먼 산턱 아래 잘게 보이는 나무를 표시하였고, 그림 하단 언던 위로 숲을 그리며, 문인화 기법으로 착실하게 그려내어 현재 심사정의 회화적 기량의 깊이를 증명해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재 심사정의 경상야박도을 조사하면서 그림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많이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저 또한 그림을 그릴 때 인생과 의도, 다양한 화법을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현재 심사정 연구 - 이예성 저 | 일지사 | 2000.08.15
우리 그림 백가지 - 박영대 저 | 현암사 | 2002.06.10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 고연희 저 | 다섯수레 | 2012.11.10
추천자료
양심적 병역거부
Hacking(해킹)에 대한 연구와 방지법
한국사회의 부정부패(A+)
[학위논문] 의료 CRM 시스템 운영이 병원 경영개선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환경분석
2007년 최신 건강보험법 레포트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미술치료사]미술치료 고찰과 미술치료기법 및 미술치료사의 자질 ...
성공적인 브랜딩 전략 구축방안
인적자원관리 (선발 도구의 평가 방법 및 사례)
[요구사항,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DIS 9001 2000 품질경영시스템, 테니스]전자지불시스템...
상법에 의한 경업금지
[사회복지법제론] 노인복지법보고서 (노인복지법 상세분석) {총칙, 경로연금 , 보건 &#82...
[생활과건강] 당뇨는 가장 흔한 내분비계 질환으로 인슐린 결핍에 의해 지방 및 단백질 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