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와 아모레퍼시픽 경영실적
1.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
2. 아모레퍼시픽 경영실적
Ⅲ 아모레피시픽의 경영전략
1. 라네즈의 브랜드화
2. 설화수의 한방화장품
3. 자연주의 브랜드 이니스프리
Ⅳ.전망 및 시사점
1. 색조화장품 시장의 성장
2. 전자상거래 활성화
3. 한-중 FTA 적극 활용
Ⅴ 참고문헌
Ⅱ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와 아모레퍼시픽 경영실적
1.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
2. 아모레퍼시픽 경영실적
Ⅲ 아모레피시픽의 경영전략
1. 라네즈의 브랜드화
2. 설화수의 한방화장품
3. 자연주의 브랜드 이니스프리
Ⅳ.전망 및 시사점
1. 색조화장품 시장의 성장
2. 전자상거래 활성화
3. 한-중 FTA 적극 활용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널에도 영향을 미쳐 화장품 온라인 판매 비중이 2009년 1%에서 2013년 14%까지 높아져 앞으로도 그 비중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2014 해외 화장품 소비자 심층조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2014년 11월 p.18
특히 각 온라인 쇼핑몰마다 최근에는 한국관()이라는 코너를 따로 두어 많은 종류의 한국 물품을 취급하고 있는데 이중 화장품은 의복 및 패션용품과 함께 가장 인기가 높은 품목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핵심상권과 더불어 2·3선 도시에서의 점포개설을 통해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고 오프라인 판매와 함께 중국 직구 쇼핑몰들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솔, “중국 글로벌 E-Commerce '폭풍 성장', 해외상품에 러브콜”, KOTRA, 2015년 7월 2일
3. 한-중 FTA 적극 활용
그동안 화장품에 대한 위생허가는 기술무역장벽으로 작용해 한국화장품의 수출을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한-중 FTA의 협상결과 화장품에 대한 관세는 일부품목에 대해 5년 후 기존 6.5%에서 5.2%로 관세할인 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한국에서 실시한 시험성적서 결과를 중국 정부가 인정하는 내용이 타결됨으로 인해 화장신제품 위생허가 기간이 상당부분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생허가 규제 완화 등의 제도개선을 위한 정부의 교류협력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재, “한-중 FTA 화장품 관세철폐 효과 없다”, etnews, 2014년 11월 18일
Ⅴ 참고문헌
1. “이니스프리, '中 소셜무비 오픈' 인기 폭주”, 아이뉴스24뉴스, 2012년 4월 11일.
2. “이니스프리, 中진출..첫날 3500만원 매출실적 달성”, 이데일리, 2012년 5월 2일.
3. “아모레퍼시픽, 중국 대륙 사로잡은 비결은?”. YAKUP. 2014년 7월 8일
4. “2014 해외 화장품 소비자 심층조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2014년 11월
5. “2014 아모레퍼시픽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 2015년 4월 20일.
6. “불황 모르는 중국 화장품 시장”, 한겨레신문, 2015년 5월 24일.
7. 윤수영, “화장품 한류의 미래 바이오 화장품이 이끈다”, LG경제연구소, 2015년 5월 27일.
8. 김지효 외 2, “애널리스트 3人의 일본탐방기”, 유진투자증권, 2015년 7월 1일.
9. 이맹맹, “중국 백화점에서 가장 인기 있는 화장품은?“, KOTRA, 2015년 9월 2일.
10. 자오차오, “한국 화장품기업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주) 아모퍼시픽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년.
11.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http://www.amorepacific.com)
12. 박영훈, “中, 색조화장품시장 급성장”, KOTRA, 2015년 9월 16일
13. 이솔, “중국 글로벌 E-Commerce '폭풍 성장', 해외상품에 러브콜”, KOTRA 2015년 7월 2일
14. 정부재, “한-중 FTA 화장품 관세철폐 효과 없다”, etnews, 2014년 11월 18일
특히 각 온라인 쇼핑몰마다 최근에는 한국관()이라는 코너를 따로 두어 많은 종류의 한국 물품을 취급하고 있는데 이중 화장품은 의복 및 패션용품과 함께 가장 인기가 높은 품목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핵심상권과 더불어 2·3선 도시에서의 점포개설을 통해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고 오프라인 판매와 함께 중국 직구 쇼핑몰들을 이용해 온라인 판매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솔, “중국 글로벌 E-Commerce '폭풍 성장', 해외상품에 러브콜”, KOTRA, 2015년 7월 2일
3. 한-중 FTA 적극 활용
그동안 화장품에 대한 위생허가는 기술무역장벽으로 작용해 한국화장품의 수출을 저해하는 요인이었다. 한-중 FTA의 협상결과 화장품에 대한 관세는 일부품목에 대해 5년 후 기존 6.5%에서 5.2%로 관세할인 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한국에서 실시한 시험성적서 결과를 중국 정부가 인정하는 내용이 타결됨으로 인해 화장신제품 위생허가 기간이 상당부분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생허가 규제 완화 등의 제도개선을 위한 정부의 교류협력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재, “한-중 FTA 화장품 관세철폐 효과 없다”, etnews, 2014년 11월 18일
Ⅴ 참고문헌
1. “이니스프리, '中 소셜무비 오픈' 인기 폭주”, 아이뉴스24뉴스, 2012년 4월 11일.
2. “이니스프리, 中진출..첫날 3500만원 매출실적 달성”, 이데일리, 2012년 5월 2일.
3. “아모레퍼시픽, 중국 대륙 사로잡은 비결은?”. YAKUP. 2014년 7월 8일
4. “2014 해외 화장품 소비자 심층조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2014년 11월
5. “2014 아모레퍼시픽그룹 지속가능성 보고서”, 2015년 4월 20일.
6. “불황 모르는 중국 화장품 시장”, 한겨레신문, 2015년 5월 24일.
7. 윤수영, “화장품 한류의 미래 바이오 화장품이 이끈다”, LG경제연구소, 2015년 5월 27일.
8. 김지효 외 2, “애널리스트 3人의 일본탐방기”, 유진투자증권, 2015년 7월 1일.
9. 이맹맹, “중국 백화점에서 가장 인기 있는 화장품은?“, KOTRA, 2015년 9월 2일.
10. 자오차오, “한국 화장품기업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주) 아모퍼시픽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년.
11.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http://www.amorepacific.com)
12. 박영훈, “中, 색조화장품시장 급성장”, KOTRA, 2015년 9월 16일
13. 이솔, “중국 글로벌 E-Commerce '폭풍 성장', 해외상품에 러브콜”, KOTRA 2015년 7월 2일
14. 정부재, “한-중 FTA 화장품 관세철폐 효과 없다”, etnews, 2014년 11월 18일
추천자료
[경제학경영학]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중국시장진출의 대처방안
기업의중국유통시장으로의진출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인적자원관리의 특성과 과제
[기업][기업의 본질][기업의 역할][기업의 채용시험][기업의 중국진출][기업의 청소년문화활...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현황과 문제점
현대자동차 중국진출 사례
중국진출을 시작으로 하는 이마트의 글로벌 마케팅 보고서
글로벌_마케팅_신라면중국진출
중국시장진출성공사례,해외마케팅,글로벌마케팅,중국시장조사,사례비교 롯데백화점,브랜드마...
BBQ 중국시장진출-BBQ 글로벌 현지화전략,BBQ 프랜차이즈,BBQ 브랜드파워,브랜드마케팅,서비...
오리온 초코파이 중국진출 마케팅_ SWOT,STP,4P전략분석과 오리온 새로운전략제안및 초코파이...
스타벅스(Starbucks) vs 카페베네(Caffe Bene) 중국진출 글로벌경영전략분석 및 스타벅스,카...
국내기업의 중국시장진출에 관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모색
오리온 초코파이 중국진출 마케팅 4P,STP전략분석과 초코파이 제품전략과 경쟁전략분석및 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