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_마케팅_신라면중국진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농심 신라면 선정동기
ⅱ. 농심 신라면 소개
ⅲ. 농심 신라면의 중국진출 배경

Ⅱ. 본론

ⅰ. 중국 시장 환경 분석
ⅱ. 신라면 글로벌 마케팅 환경 (SWOT)
ⅲ. 신라면 글로벌 마케팅 STP
ⅳ. 신라면 글로벌 마케팅 4P

Ⅲ. 결론

ⅰ. 성과 분석
ⅱ. 마케팅에 따른 성과
ⅲ. 경영상 시사점
ⅳ. 중국진출 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제안사항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들을 애써 동기 부여 하면 이런 몇몇의 사람들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분위기가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3) 접대관행을 들 수 있다. 중국은 부패 척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접대 관행이 성행한다고 한다. 어떤 일을 진행시키기 위해서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이를 위해 관청에 들릴 때마다 관련 관리들에게 약간의 수고비를 준비해야 한다. 그 결과 일의 중요성에 비해 접대비의 항목이 비대하게 커지게 된다. 이는 경영상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4) 개선방안
농심이 중국시장에서 완전히 성공하기 위해서는 중국 전역 어디서나 라면을 판매할 수 있는 유통망이 필요하고 생각된다. 즉, 중국 전역에 걸친 네트워크 조직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법인들은 중국 동북, 동남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데, 제품의 부피가 크고 운반비가 많이 들며 보관, 운반 도중 제품의 파손이 많기 때문에 전 지역에 걸쳐 공장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전 지역에 걸쳐 공장을 설립하기에는 기업 자금에 한계가 있으며 공장을 설립할 때마다 현지국과의 마찰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점진적으로 오랜 시간을 두고 여러 지역에 공장을 설치하되 중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확실한 여건을 조성해야 될 것이다. 지금 상황에서는 우선 유통망 확보에 힘써야 한다고 본다. 농심 단독으로 중국 전지역에 유통망을 개설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중국 현지의 대형 유통 회사와의 협력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라고 생각한다. 농심은 현지에서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판매는 전국에 네트워크가 조직된 유통 회사를 이용하여 판매한다면 한정된 판매 시장을 극복하고 중국 전역에서 농심의 라면의 구매가 가능해져서 자연히 제품의 인지도까지 보다 높아질 것이다.
다음으로 매운맛에 편중되어 있는 제품특성에 대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중국의 소비자들은 쇠고기 맛 라면을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해산물이나 돼지갈비, 닭고기 등의 주로 고기 맛이 나는 라면을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심의 라면이 중국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켜서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쇠고기 맛 라면이나 해산물 맛 라면 등 좀 더 다양한 맛의 제품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농심은 중국 내 소비계층 확대를 위해 신라면보다 덜 맵고 면발은 탄력성이 조금 더 강한 특징이 있는 '상해탕면(上海湯麵)'을 판매하고 있다.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가 아닌 중국에서 최초로 판매되는 신제품 라면이라는 점에서 농심은 광고와 마케팅 등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 판매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처럼 농심은 앞으로 대도시 중산층 이상을 집중 공략하는 고급화 정책 외에도 현지인 입맛을 따라잡는 대중화 전략도 적절히 구사한다는 방침이라고 한다.
⑸ 제안사항
① 농심 신라면 음식점(대리점형태) 개설
맥도널드 같은 프랜차이즈 등의 형태를 가지고서 중국 곳곳에 진출한다면 신라면의 진출이 상당히 용이하다고 본다. 이로 인해 라면에 대한 조리법도 가르켜주는 시간을 갖거나, 아직 빈곤층이 많은 계층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무료시식 시간을 갖는 등의 이벤트를 갖으며, 라면하면 김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현재 김치제품이 없는 농심으로서는 한국 김치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같이 진출 한다면 동시 흥보효과도 있으며, 농심이 신제품을 출시할 때도 이 음식점을 통한다면 훨씬 적극적인 광고효과가 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한국의 음식문화도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② 이미지의 개선 및 관리가 중요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바둑대회는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어 잘 하고 있지만 이는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에서 말한 대리점을 통한 빈곤층 무료 시식으로 인해 불우이웃 돕는 등의 캠페인을 통해 기업이미지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며, 중국에 불고 있는 한류열풍을 이용하여 스타마케팅 또한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되리라고 본다.
③ 스포츠마케팅
세계적 관심사인 스포츠 마케팅에 많은 투자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본다. 13억의 중국인이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과 또한 세계인들의 눈이 쏠리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를 잘 이용하여 일석이조의 효과(중국 및 세계에 대한 흥보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본다.
이 외에도 다양한 대안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명심해야 할 것은 항신 신중한 자세를 가지고 앞뒤를 보며, 현재에 만족하지 말고 진취적인 생각을 갖고서 미래에 올 난관에 대해 헤쳐 나갈 수 있는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Ⅳ. 참고 문헌
1. 농심 신라면 공식 홈페이지 (www.shinramyun.com)
2. 농심 홈페이지 (www.nongshim.co.kr)
3. 가짜 한국상품 중국시장 범람 (www.shin-gi.com) (2003. 10. 21.)
4. 파이낸셜 뉴스 (www.fnnews.com) (2003. 04. 01.)
5. 중앙일보 (2003. 10. 20)
6. 내수 불황을 모르는 고성장 기업 (우량5사의 사례와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2003. 08. 13. (제413호))
7. 중국성장의 고성장 배경과 성장지속 가능성 (2003. 6.25.)
한국은행 조사국
8.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3. 05. 22.) www.seri.org
9. KOTRA 해외현장보고 제109호 (한국브랜드 인지도)
10. 중국시장 진출의 성공요인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2001. 10. 24. (제319호))
11. www.foodnews.co.kr
12. www.etoday.co.kr
13. www.dt.co.kr
14. www.hankyung.com
15. www.munhwa.com
16. www.mk.co.kr
17. www.edaily.co.kr
18. 신라면 중국 홈페이지, http://cn.nongshim.com/chi/main.jsp
19. 경제학원론 제2판 - 이준구이창용 저 -
20. 글로벌경영 2판 - 장세진 저 -
  • 가격5,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4.0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8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