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갑상선 발작(Thyroid storm=Thyroid crisis) 목차
1. 병태생리
2. 증상 및 징후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1)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억제
2) 갑상선호르몬의 분비 억제
3) 베타아드레날린 차단
4) 기타
5) 간호
5. 추후관리
-참고문헌
1. 병태생리
2. 증상 및 징후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1)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억제
2) 갑상선호르몬의 분비 억제
3) 베타아드레날린 차단
4) 기타
5) 간호
5. 추후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량이 지속적으로 높으므로 포도당이 섞인 수액이 좋다. 5%포도당을 시간당 100-200ml 정도로 주입하되 전해질 불균형이 있으면 필요한 전해질을 섞어서 주입한다. 심부전 환자에게는 폐동맥관으로의 수액보충이 수액과다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근육통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인 횡문근융해를 동반한 탈수가 오기도 한다. acetaminophen을 투약하면서 동시에 냉담요와 냉찜질팩을 사용하여 열을 적극적으로 떨어뜨려야 한다. 심방세동이 있으면 색전을 예방하기 위해 wafarin(coumadin)과 같은 항응고제를 투약한다. digoxin은 심방과 심실간 전도시간을 증가시킨다. 즉, 방실결절의 불응기를 연장시키므로 심방세동에 대한 심실의 반응이 감소한다.
갑상샘중독위기의 응급간호
기도개방과 적절한 환기를 유지한다. (심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항갑상샘 약물을 투여한다. propylthiouracil(PTU)300-900mg/일, methimazole(tapazole)60mg/일을 줄일수 있다. 갑상샘 호르몬의 합성, 분비, 효과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sodium iodide용액(2g/일, IV)을 투여한다.
Propranolol(inderal) 1-3mg/일, IV로 3분 이상 천천히 투여한다. 환자에게 심장 모니터를 연결하고, 중심정맥 카테터를 삽입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이 있을 경우, 과도한 교감신경계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당류피질호르몬(glucocorticoid)을 준다. hydrocortisone 100-500mg/일, prednisone 40-60mg/일 IV 도는 IM으로 투여한다.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위를 도모한다. (증가된 대사로 발한과 열을 견디기 어려워 하므로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를 30분마다 측정한다. (상태 악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체온이 41℃로 오를 수 있다. 심부정맥이 나타나기도 한다.)
비아스피린제제(nonsalicylate)를 투여한다. (체온을 안전하게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aspirin은 결합부위에서 갑상샘호르몬을 대치할 수 있다.)
5. 추후관리
갑상샘 중독증 치료는 모두 부작용을 동반한다. 항갑상샘 약물,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인해 갑상샘 기능항진증이 재발하고 영구적인 갑상샘 기능저하증이 생길 수 있다. 항갑상샘 약물 치료를 완료한 지 1년 후에는 재발률이 45%이고, 5년후에는 75%이다. 치료 완료전에 항갑상샘 약물을 중단할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6개월 이내에 재발한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후의 재발률은 1년에 26%이고, 갑상샘 기능저하증은 1년에 28%, 5년까지는 90-100%이다. 갑상샘 부분 절제술의 경우 재발 빈도는 18개월에 19%이고,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발생 빈도는 수술 후 18개월에 25%가 보고 되었다. 이러한 합병증의 위험 때문에 갑상샘 기능항진증 환자들은 장기적 추후 관리를 받아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현문사
알기쉬운 병리학-현문사
최신 중환자간호-수문사
갑상샘중독위기의 응급간호
기도개방과 적절한 환기를 유지한다. (심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항갑상샘 약물을 투여한다. propylthiouracil(PTU)300-900mg/일, methimazole(tapazole)60mg/일을 줄일수 있다. 갑상샘 호르몬의 합성, 분비, 효과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sodium iodide용액(2g/일, IV)을 투여한다.
Propranolol(inderal) 1-3mg/일, IV로 3분 이상 천천히 투여한다. 환자에게 심장 모니터를 연결하고, 중심정맥 카테터를 삽입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이 있을 경우, 과도한 교감신경계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당류피질호르몬(glucocorticoid)을 준다. hydrocortisone 100-500mg/일, prednisone 40-60mg/일 IV 도는 IM으로 투여한다. 갑상샘 호르몬의 분비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위를 도모한다. (증가된 대사로 발한과 열을 견디기 어려워 하므로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를 30분마다 측정한다. (상태 악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체온이 41℃로 오를 수 있다. 심부정맥이 나타나기도 한다.)
비아스피린제제(nonsalicylate)를 투여한다. (체온을 안전하게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aspirin은 결합부위에서 갑상샘호르몬을 대치할 수 있다.)
5. 추후관리
갑상샘 중독증 치료는 모두 부작용을 동반한다. 항갑상샘 약물,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로 인해 갑상샘 기능항진증이 재발하고 영구적인 갑상샘 기능저하증이 생길 수 있다. 항갑상샘 약물 치료를 완료한 지 1년 후에는 재발률이 45%이고, 5년후에는 75%이다. 치료 완료전에 항갑상샘 약물을 중단할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6개월 이내에 재발한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후의 재발률은 1년에 26%이고, 갑상샘 기능저하증은 1년에 28%, 5년까지는 90-100%이다. 갑상샘 부분 절제술의 경우 재발 빈도는 18개월에 19%이고,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발생 빈도는 수술 후 18개월에 25%가 보고 되었다. 이러한 합병증의 위험 때문에 갑상샘 기능항진증 환자들은 장기적 추후 관리를 받아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현문사
알기쉬운 병리학-현문사
최신 중환자간호-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