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사회 B형)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도시, 혹은 내가 살아 본 적이 있는 마을이나 도시를 하나 골라서, 우리가 몸 담고 살아가는 공간은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사회 B형)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도시, 혹은 내가 살아 본 적이 있는 마을이나 도시를 하나 골라서, 우리가 몸 담고 살아가는 공간은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가 살던 마을
2. 내가 살던 마을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
1) 골목문화
2) 5일장과 여가문화
3) 사회적 관계
4) 방과 후 열린 학습장
5) 건강과 위생

3. 본인이 살던 공간에서 좋은 삶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1) 사회적 관계 측면
2)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의식 측면
3) 환경과 삶의 질적 관계 측면
4)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자연환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깨끗한 공기, 계절마다 바뀌는 주위 들판과 산들, 흙문화로 이루어진 자연과의 친교, 이 모든 것들은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이들에게 안정적이고 좋은 삶의 공간이 된다. 흙이 주는 교훈에 대해 농촌사람들은 이론적으로는 모른다. 그러나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학습효과는 어떤 이론적의 학습보다도 주민들에게 깊이 새겨져서 일상의 생각과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학습이며 자연스러운 배움인가! 이렇게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내가 살던 마을의 주민들은 지금도 좋은 삶을 살 수 있는 공간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내가 살았던 마을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면서 이런 조사가 매우 의미 있는 공부가 되었다. 마침 최근의 경주에서 일어난 5.8 지진을 보면서 삶의 공간인 환경의 영향으로 인간의 삶이 많이 변한다는 것을 보고 느낄 수가 있었다. 지진과 무관하다고 생각했던 경주지역 주민들이 큰 지진과 계속 이어지는 여진으로 인하여 삶이 어떻게 변활까. 아마 많은 고민을 하면서 인간이 막을 수 없는 자연재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식을 찾으면서 그런 방향으로 삶이 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좋다고 실제로 그렇게 느끼면서 살았기에 그런 생각을 했는데 경주지진을 보면서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에는 극복하기 어려운 매우 힘든 부분도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내가 살았던 공간으로 한정하여 생각한다면 나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삶이라고 생각한다. 환경 측면에서 인간의 좋은 삶을 생각한다면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삶을 좀 더 편리하게 한다고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삶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좋은 삶에 대한 판단의 기준은 매우 주간적인 판단이다. 본인의 생각으로는 내가 살던 마을의 그 공간이 주는 영향 속에서 좋은 삶이란 자연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삶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삶에 큰 피해를 주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처방식은 꼭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윤미숙, 춤추는 마을 만들기-동피랑 벽화마을에서 시작된 작은 기적, 남해의봄날, 2015
김상철, 권단, 김신범, 김정찬, 박영길, 하승우, 한채윤 저, 모두를 위한 마을은 없다 - 마을 만들기 사업에 던지는 질문, 삶창(삶이보이는창), 2014
정진, 농부의 삶이 그립다, 기탄교육, 2013
살던 마을의 이장과 전화 인터뷰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9.23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9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